독후감

공지
2006.12.31 09:00

수학의 몽상

조회 수 233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자 이진경 박사는 우리나라 철학자 가운데 명징한 언어로 독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분들 중의 하나.



김용옥, 이정우, 탁석산, 이진경, 이현주, 법정... 이 분들은 저자의 이름만으로도 책을 사보고 싶은 분들이다.



수학의 몽상에서도 이진경 박사는 나를 실망시키지 않고 명쾌하고 쉬운 언어로 수학의 세계를 여행하고 난 후 뿌듯함을 느끼게 했다.



"수학은 기발한 상상력으로 가득 찬 문학이요 시요, 동화적 세계이다" 이 얼마나 멋진 수학에 대한 정의인가? 이진경 박사의 수학에 대한 이 정의는, 이름이 정확히 기억이 나진 않지만 중국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리정따오 or 량전닝?)가 시집을 발표하고 어느 TV에 출현하여 아나운서가 "물리학과 시는 연관성을 찾기가 쉽지 않은데 어떻게 물리학자가 시를 쓰게 되었느냐?"는 질문에, "우주의 현상을 관찰하여 짧고 명징한 언어로 표현하는 시와 아주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하는 물리학에 어떤 차이가 있지요?"라고 반문했던 말이 기억이 난다.



경지에 이른 사람들은 모든 것이 통섭되는 세계에서 노는 것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만드는 책이다.



과학적이냐 비과학적이냐를 구분짓는 기준이 실험이 아닐까 라는 기존의 관념도 깨어진다. 실험으로 따지자면 오히려 마술사들이 더 과학적이다. 피사의 사탑에서 낙하실험을 했다고 하는 갈릴레이도, 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류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고 하는 뉴튼도, 빛이 휘는 것을 예측한 아인슈타인도 사실은 실험을 통해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이 아니라 머릿 속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간단한 수학식으로 이를 표현했다는 데서 과학적임을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이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통쾌함을 준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을 이렇게 쉽게 설명한 수학책이 또 있을까? 수학 교과서에 나와있는 공리와 명제를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문제를 푸는 기계적 방법을 익히도록 강요하는 지금의 수학교육이 온 국민을 안티수학인(Anti-math)으로 만든 게 아닐까? 수학은 게임이요, 지적 유희의 한 수단으로 본 이진경 박사의 견해에 동감한다. 현상세계에서 관찰할 수 없는 음수와 영(0), 무리수, 무한소, 허수 등을 만들어내어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 수 있게 만든 수학, 평면으로 이루어진 유클리드 기하공간에서 벗어나 곡면으로 이루어진 리만공간에서 신나게 날아다닐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준 수학, 이런 수학적 개념들이 우리의 뇌에서 자유롭게 떠 다니게 하여 지적유희를 벌일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아니겠는가?

  • ?
    엄준호 2006.12.31 09:00
    무척 재미있을 것 같네요. 저도 꼭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 ?
    양경화 2006.12.31 09:00
    저자의 학문적, 아니 지적 경계는 도대체 어디까지일까요? 왠지 제 모습이 부끄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6 공지 거꾸로 흐르는 강 file 정희정 2007.01.05 1885
875 공지 우리는 너무나 복잡하게 산다. file 정희정 2007.01.04 1904
874 공지 [1] 잭 웰치, '끝없는 도전과 용기' 이동훤 2007.01.04 1894
873 공지 2007 좋은 습관 만들기 그 첫번째! 김수지 2007.01.04 1938
872 공지 긍정적인 말의 힘 2 이득재 2007.01.03 2205
871 공지 한나라 기행(시바 료타로) 4 양경화 2007.01.03 2254
870 공지 주말 경쟁력을 높여라 이병록 2007.01.01 1901
869 공지 부여족의 이동과 기원 고깔모자를 쓴 단군 이병록 2007.01.01 3619
» 공지 수학의 몽상 2 file 강신철 2006.12.31 2331
867 공지 불교개론(마스터니 후미오)- 나의 첫 걸음마 3 양경화 2006.12.25 1920
866 공지 철학 삶을 만나다 김미 2006.12.25 2138
865 공지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김미 2006.12.24 2029
864 공지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김미 2006.12.24 1809
863 공지 조상이야기- 미쳐도 독한술 강신철 2006.12.20 2281
862 공지 상실의 시대 file 정희정 2006.12.19 1887
861 공지 도덕의 기원에 관한 생물학적 고찰 5 엄준호 2006.12.17 3370
860 공지 불교가 좋다 이병록 2006.12.17 1945
859 공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새겨진 한국신화의 비밀 이병록 2006.12.17 2785
858 공지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이병록 2006.12.17 1935
857 공지 간신론 이병록 2006.12.17 22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