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6.12.31 09:00

수학의 몽상

조회 수 233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자 이진경 박사는 우리나라 철학자 가운데 명징한 언어로 독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분들 중의 하나.



김용옥, 이정우, 탁석산, 이진경, 이현주, 법정... 이 분들은 저자의 이름만으로도 책을 사보고 싶은 분들이다.



수학의 몽상에서도 이진경 박사는 나를 실망시키지 않고 명쾌하고 쉬운 언어로 수학의 세계를 여행하고 난 후 뿌듯함을 느끼게 했다.



"수학은 기발한 상상력으로 가득 찬 문학이요 시요, 동화적 세계이다" 이 얼마나 멋진 수학에 대한 정의인가? 이진경 박사의 수학에 대한 이 정의는, 이름이 정확히 기억이 나진 않지만 중국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리정따오 or 량전닝?)가 시집을 발표하고 어느 TV에 출현하여 아나운서가 "물리학과 시는 연관성을 찾기가 쉽지 않은데 어떻게 물리학자가 시를 쓰게 되었느냐?"는 질문에, "우주의 현상을 관찰하여 짧고 명징한 언어로 표현하는 시와 아주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하는 물리학에 어떤 차이가 있지요?"라고 반문했던 말이 기억이 난다.



경지에 이른 사람들은 모든 것이 통섭되는 세계에서 노는 것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만드는 책이다.



과학적이냐 비과학적이냐를 구분짓는 기준이 실험이 아닐까 라는 기존의 관념도 깨어진다. 실험으로 따지자면 오히려 마술사들이 더 과학적이다. 피사의 사탑에서 낙하실험을 했다고 하는 갈릴레이도, 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류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고 하는 뉴튼도, 빛이 휘는 것을 예측한 아인슈타인도 사실은 실험을 통해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이 아니라 머릿 속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간단한 수학식으로 이를 표현했다는 데서 과학적임을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이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통쾌함을 준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을 이렇게 쉽게 설명한 수학책이 또 있을까? 수학 교과서에 나와있는 공리와 명제를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문제를 푸는 기계적 방법을 익히도록 강요하는 지금의 수학교육이 온 국민을 안티수학인(Anti-math)으로 만든 게 아닐까? 수학은 게임이요, 지적 유희의 한 수단으로 본 이진경 박사의 견해에 동감한다. 현상세계에서 관찰할 수 없는 음수와 영(0), 무리수, 무한소, 허수 등을 만들어내어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 수 있게 만든 수학, 평면으로 이루어진 유클리드 기하공간에서 벗어나 곡면으로 이루어진 리만공간에서 신나게 날아다닐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준 수학, 이런 수학적 개념들이 우리의 뇌에서 자유롭게 떠 다니게 하여 지적유희를 벌일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아니겠는가?

  • ?
    엄준호 2006.12.31 09:00
    무척 재미있을 것 같네요. 저도 꼭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 ?
    양경화 2006.12.31 09:00
    저자의 학문적, 아니 지적 경계는 도대체 어디까지일까요? 왠지 제 모습이 부끄럽습니다

  1. 도덕의 기원에 관한 생물학적 고찰

    Date2006.12.17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3370
    Read More
  2. 상실의 시대

    Date2006.12.19 Category공지 By정희정 Views1887
    Read More
  3. 조상이야기- 미쳐도 독한술

    Date2006.12.20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2282
    Read More
  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Date2006.12.24 Category공지 By김미 Views1809
    Read More
  5.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Date2006.12.24 Category공지 By김미 Views2029
    Read More
  6. 철학 삶을 만나다

    Date2006.12.25 Category공지 By김미 Views2140
    Read More
  7. 불교개론(마스터니 후미오)- 나의 첫 걸음마

    Date2006.12.25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1920
    Read More
  8. 수학의 몽상

    Date2006.12.31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2331
    Read More
  9. 부여족의 이동과 기원 고깔모자를 쓴 단군

    Date2007.01.01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3620
    Read More
  10. 주말 경쟁력을 높여라

    Date2007.01.01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1902
    Read More
  11. 한나라 기행(시바 료타로)

    Date2007.01.03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2255
    Read More
  12. 긍정적인 말의 힘

    Date2007.01.03 Category공지 By이득재 Views2205
    Read More
  13. 2007 좋은 습관 만들기 그 첫번째!

    Date2007.01.04 Category공지 By김수지 Views1938
    Read More
  14. [1] 잭 웰치, '끝없는 도전과 용기'

    Date2007.01.04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1895
    Read More
  15. 우리는 너무나 복잡하게 산다.

    Date2007.01.04 Category공지 By정희정 Views1904
    Read More
  16. 거꾸로 흐르는 강

    Date2007.01.05 Category공지 By정희정 Views1886
    Read More
  17. 덫에 걸린 황우석

    Date2007.01.06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1918
    Read More
  18. 세간속에서 해탈 이루리

    Date2007.01.06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1947
    Read More
  19. 누구를 위한 종교인가-종교와 심리학의 만남

    Date2007.01.06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2404
    Read More
  20. 잭 웰치 위대한 승리(1,2번에 실려있음)

    Date2007.01.06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211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