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2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학교 석과교수로 김지하 시인이 있다.

한달에 한번 정도 생명학에 대해 강의를 한다.

저번달 까지는 출, 퇴근이 정해진 회사 때문에 듣지 못했으나, 시간이 자유롭게 된 난 일을 빼고 강의를 들으러 갔다.

강의를 듣기 전 예전에 읽은 그분 시집 몇권은 학교 고시원 들어가면서 고시원에서 살 줄 알고 집에 있던 모든 책을 주변인들에게 나눠주고 집을 가볍게 만든 상태라 집에 존재치 않았다. 아무 정보 없이 그냥 강의 들으러 가는 건 집들이에 빈손으로 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도서관에 가서 이 책을 빌렸다.

토막이야기로 된 성장사였다.

1권을 읽고 남은 건 학생시절 고집이 상당했을 것 같고, 술을 엄청 좋아한다는 것.



요즘도 술을 많이 드시는지 잘 모르겠는데

강당에 들어가기 전 화장실 옆자리에서 시인을 뵈었다.

인사를 하려다 일 보는데 너무 집중해 계셔서 인사는 못하고 손을 씻으며 인사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었으나 일이 좀 오래 걸리는 듯 싶어 그냥 나왔다.,

어제 술을 좀 드셨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대천왕이 떠오르는 무서운 인상이었다.



사람(20-30명)이 많이 없었다. (뒤에 알았지만 같은 시간에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다른 곳에서 강의를 하고 있었다. 500명 정도가 왔다던데 자리가 모자라 사람들이 서서 봤다고 한다.) 그것도 학생이고 순수히 강의를 들으러 온 사람은 거의 없어 보였다. 거의가 취재 혹은 외부에서 온 나이 지긋한 사람들이었다. 뜬금없이 내 머리 속에 인문학의 위기가 떠올랐다.

제일 앞줄엔 나 혼자 밖에 없었다.

강당 뒤에서 천천히 걸어오던 시인은 자신의 보따리로 보이는 가방에서 주섬주섬 오늘 강의할 때 쓸 것으로 보이는 자료를 꺼냈다. 어린아이가 주머니에서 꼬깃꼬깃한 천원짜리 지폐 꺼내듯 그렇게 양끝이 가방에 눌려 20도 정도 둥그렇게 구부러진 자료를 손에 든 시인은 연단으로 올라갔다.

인사도 서론도 없이 바로 강의를 시작했다.

강의의 요지인 즉.

요즘은 우리가 생명을 죽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죽임으로부터 지구와 온 생명체를 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숫자가 제시된 구체적인 행동강령은 없었고 커다란 틀을 만들고 있는 듯 했다.

시인도 아직 한국엔 없는 학문 분야라고 했다.

쉬는 시간 없이 3시간 가량 진행된 강의는 김지하 시인의 내공을 느낄 수 있는 강의였다.

끊임없이 솟구치는 지식이 강당을 가득 채우고 나를 질식시키는 것 같았다.

하지만 내겐 생명학이란 학문이 안개속을 걷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이런 질문을 던졌다.

“저는 생명과 죽음이 따로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죽음은 생명의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로 보면 지구가 죽어가는 건 지구의 수명이 다하고 있는 것이고, 인간의 죽음처럼 피할 수 없는 숙명 같은 게 아닐까요. 생명의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 건 아닐까요. 여기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죽음과 죽임은 다릅니다.”

로 시작된 대답은 30분 동안 그칠 줄 모르게 쏟아지던 지식을 또다시 실감했다.

저번 독서 모임 때처럼 나의 지식이 모자라 옮기지 못함이 한스러울 뿐이다.



대답을 다 듣고 아직은 혹은 이 학문 자체가 커다란 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했다.





그리고 요즘 나의 화두.

잠에 대해 질문했다.

“……. 잠을 많이 충분히 자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것입니까. 잠을 적게 조금만 혹은 아예 없이 사는 게 생명을 살리는 길입니까.”

고등학교 시절 공부할 땐 3-4시간만 자고 생활했다는 걸 이 책에서 읽은 뒤라 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하지만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잠은 충분히 자세요. 몸을 쓰는 생활을 하면서 잠을 안 잔다는 건 상당히 피곤한 일입니다. 움직임이 거의 없이 참선만 하는 상태라면 잠이나 먹는 게 줄어도 생활에 불편이 덜할 수도 있지만 사회 속에서 생활을 하고 있을 땐 다릅니다.”



동학과, 선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이 더 오가고 강의는 마무리 되었다.



사람이 많이 없어 걱정했으나, 몇 되지 않던 사람들을 가슴에 안고 정해진 시간을 30분이나 넘겨가며 열정적으로 무언가를 전달해주고 싶어하시던 의지가 빛을 발하던 강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6 공지 인디언 이야기.............. 3 송윤호 2002.10.18 3359
1435 공지 40대에 다시 쓰는 내 인생 이력서 6 현영석 2002.10.21 7263
1434 공지 농사꾼 전우익 할아버지의 말 말 말 5 윤석련 2002.10.23 3224
1433 공지 박완서 산문집 [두부] 소개 : 한겨거레신문 전재 현영석 2002.12.15 3580
1432 공지 <경영학의 진리체계> 윤석철 지음, 경문사 펴냄 1 현영석 2002.12.30 3900
1431 공지 빵장수 야곱 3 강신철 2003.04.20 4399
1430 공지 바보들은 항상 결심만 한다 - Pat McLagan 4 강신철 2003.05.01 4954
1429 공지 무한한 힘 나는 성공한다(1990) 1 권윤구 2003.05.29 3464
1428 공지 인생을 단순화하라 권윤구 2003.06.04 3241
1427 공지 최고경영자 예수 - Laurie Beth Jones 1 강신철 2003.06.09 3507
1426 공지 오늘 김지순 2003.06.25 2119
1425 공지 좋은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콜린스] 1 이혜영 2003.06.25 2155
1424 공지 [re] 좋은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콜린스] 이혜영 2003.06.25 2215
1423 공지 삶이 고달플때 김지순 2003.06.25 2134
1422 공지 이인화 하늘꽃 김영환 2003.06.25 2103
1421 공지 서울대보다 하버드를 겨냥하라. 이선영 2003.06.25 1902
1420 공지 화 - 틱낫한 강신철 2003.06.25 3042
1419 공지 이런 사람은 어떨까... 박수일 2003.06.25 2087
1418 공지 중도라는 것이.. 박수일 2003.06.25 2086
1417 공지 힘 - 틱낫한 강신철 2003.06.25 30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