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0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목 : 아리랑 작가 : 님 웨일즈, 김산 옮긴이 : 송영인

출판사 : 동녘



작은 혁명가의 삶



대체적으로 역사의 이름을 남긴 사람들의 삶은 일반 사람들의 삶과는 다른 삶을 산 것은 틀림이 없다. 상상도 하지 못할 정도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기 위해 어렵고 고난의 연속인 삶을 살았던 인물도 있고, 그와는 반대로 풍부한 물질로 인해 육체적인 어려움 없이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람[예들 들어, Immanuel Kant (1724-1804)]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적인 인물은 자신의 어려운 삶의 환경을 극복하고 개척한 인물이었다. 그들이 처한 지옥 같은 환경을 옥토로 바꾸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가는 큰 상상을 하지 않아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지금 소개하려는 ‘김산(本名 : 張志樂)’이라는 인물도 같았을 것이라 추측을 해본다. 우리나라 역사 인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이지만, 님웨일즈가 쓴 『아리랑』을 통해 그의 삶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그의 삶 속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를 두 가지로 요약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로, 그는 배움을 통해서 행동으로 몸소 실천을 하려고 노력했던 사람이었다. 보통 사람들은 배우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김산은 그렇지 않았다. 행동으로 실천하기위해서는 먼저 배워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본과 중국으로 가서 유학생활을 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의학과 중국어와 일본어, 톨스토이의 작품과 마르크스이론, 기독교 신앙, 철학서(헤겔의 변증법)를 통해서 혁명가로서의 삶(광둥과 하이루펑의 전쟁 - 중국대혁명, 만주에서 조선독립 투쟁)을 구체화시키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김산의 삶은 철저한 준비를 통해 자신이 이루고자 한 일에 대하여 끊임없이 노력했던 것이다. 님 웨일즈가 김산을 표현한 단락을 보면 명확해 질 것이다.



김산은 우리 시대에서 가장 많은 피를 흘리고, 가장 추악하고, 가장 혼란스러운 대변동 속으로 내던져진 한명의 민감한 지식인이자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이상주의적인 시인이요, 작가였다. (p.48)



두 번째로, 진정한 만남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정립하였으며, 그것을 통해 인간을 깊이 이해하는 법을 배웠다고 책은 전하고 있다. 김산은 상하이에서 이동휘 장군(군인으로서의 삶), 안창호 선생(정치적면)과 이광수 선생, 무정부주의자들, 박진부부와 그의 동생들, 김약산(고전적인 유형의 테러리스트, 냉정하고 두려움을 모르고 개인주의적인 경향이 강함)과 오성륜(정역적인 사람으로 비밀리에 행동하며 묵은 된장 맛이 나는 친구)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고백을 하고 있다. 이것은 사람을 통한 진정한 만남이 없이는 이루어 질수 없는 것이다. 또한 수많은 사람들과의 만남과 헤어짐을 통해 김산은 인간을 이해하는 법을 배웠다고 진술을 하고 있다. 다시 한번 님 웨일즈의 표현을 빌려보자.



내가 묻는 것은 무엇이 가치 있는 것이고 무엇이 낭비인가,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이 쓸데없는가,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부차적인가 하는 것이다. 다년간의 마음의 고통과 눈물을 통하여 '오류'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선이라는 것을 배웠다. 오류는 인간 발전의 통합적인 일부분인 것이다. 사람들은 말을 믿을 정도로 그렇게 어리석지가 않다. 사람들은 실험을 통하여 비로소 지혜를 배우는 것이다. 실험은 사람들의 안전장치이며 권리이다. 거짓을 배우지 않는 자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의 교과서는 잉크로 쓰여 진 것이 아니라 피와 고통으로 쓰여 진 것이다. 사람들을 죽음과 실패로 이끌기는 쉽다. 그러나 승리로 이끄는 것은 어려운 일다. (p.471)



‘김산’의 삶을 통해서 무수히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겠지만, 위에서 제시한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작고 조용한 혁명가로서의 삶을 추구한 그는 진정한 독립투사이자, 우리 겨레의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움직이는 위대한 민족의 스승이자, 지도자였다. 혁명가의 삶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남기고 간 발자취가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김산에 관해서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이 사이트를 추천하고 싶다.



http://www.arirangnara.com/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6 공지 세상을 가슴에 품은 사람들 - '고수기행' 이재철 2006.10.04 1897
675 공지 과학콘서트~* 황은애 2006.10.04 2027
674 공지 피라니아 이야기 file 정희정 2006.10.05 1759
673 공지 21. 연탄길3 -이철환- 정청미 2006.10.05 1449
672 공지 22. 살아있는 동안 해야 할 49가지 이야기 정청미 2006.10.05 1601
671 공지 23. TV속 행복한 동화 정청미 2006.10.05 1382
670 공지 24.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 정청미 2006.10.05 1584
669 공지 1400년 전 온달과 평강공주를 깨우다. 이재철 2006.10.06 2168
668 공지 펭귄뉴스 1 김미 2006.10.07 2085
667 공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 1 김미 2006.10.07 2180
666 공지 25.긍정의 힘(실천편) 정청미 2006.10.07 1454
665 공지 YOU CAN CHANGE THE WORLD - 2 file 정영옥 2006.10.08 1709
664 공지 마시멜로이야기 file 정영옥 2006.10.08 2057
663 공지 스페인 너는 자유다 - 4 file 정영옥 2006.10.08 1960
662 공지 고수기행(196)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이재우 2006.10.08 1732
661 공지 사찰기행(198) -조용헌- (이가서) 이재우 2006.10.08 1756
660 공지 신영복 함께 읽기 신원식 2006.10.08 1804
659 공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아리송송송~ (소설 한반도를 읽고..) 김수지 2006.10.08 1821
» 공지 작은 혁명가의 삶 - 아리랑(조선의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이재철 2006.10.10 2008
657 공지 춤추는 뇌 유경화 2006.10.10 19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