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6.08.24 09:00

불랙홀이 불쑥불쑥

조회 수 17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빌 브라이슨의 `거의 모든 것의 역사`에서 세이건의 글을 인용하여"만약 우주 공간에 우리를 임의로 뿌린다면 ,우리가 행성 부근에 떨어질 가능성은 1조의 1조의 10억분의 1보다 더 작을 것 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그렇게 귀중한 것 이다."라고 하였다.

우리는 우리 은하를 이루는 1천억 개의 별 중의 하나인 해라는 이름을 가진 작은 노란별이 거느린 세 번째 행성,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헉헉!) 우리 은하의 이웃이라고 할 수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는 우리 은하보다 약 2배 가량 더 많은 별 들로 이루어져 있고 약 200만 광년 떨어져 있다한다.



이쯤되면 머리로는 그려지나 안경을 썼던가? 안썼던가?확실하지 않은 아이작 뉴턴이나, 아인슈타인같은 과학자가 만유인력을, 상대성이론을 우주를 상대로 체계화시킨 것 만으로 평범한 대한민국 주부의 머리로는 벅찬 일 일 수 밖에 없다.

하물며 우주와 은하, 소멸하는 별의 마지막 모습일 수도 있는 불랙홀의 탐구는 가슴을 누르다 못해 터질 듯 형언하기 어려운 난제임에 틀림이 없다.



100books club에 가입하여 처음으로 접한 권장도서가 블랙홀이라니 이는 책의 두께와는 별개로 지구인으로 지구를, 그 구성원인 인류를 , 내 이웃을, 내 가정을 사랑하며 살라는 말의 다름아니달라는 계시를 받았다.

이 우주는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끊임없는 별의 핵융합 과정에 의하여 언젠가는 수소와 헬륨이 고갈되어 은하들은 백색왜성, 중성자성, 블랙홀과 같은 별들의 시체만을 지니게 될 것이라고 한다. 약 1조년 뒤에.

휴!다행이다.

딸의 책꽂이에 얌전히 꽂혀있는 불랙홀의 정체는 그 다음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6 공지 탈무드 file 정희정 2006.08.27 1790
715 공지 내 인생 최고의 조언 1 이상희 2006.08.26 1896
714 공지 블링크를 읽고 윤석영 2006.08.25 1833
713 공지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 file 정희정 2006.08.25 1635
» 공지 불랙홀이 불쑥불쑥 유경화 2006.08.24 1777
711 공지 굶주림-크누트 함순 file 표현봉 2006.08.24 1892
710 공지 마지막 여행 file 정희정 2006.08.23 2003
709 공지 [대화]를 읽고서 이진석 2006.08.23 1644
708 공지 "The Present" 1 인윤숙 2006.08.23 2387
707 공지 허삼관매혈기-위화 김종오 2006.08.22 2277
706 공지 마시멜로 이야기 3 김춘수 2006.08.22 2815
705 공지 [52]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1권 (현각) 서윤경 2006.08.21 1932
704 공지 행복을 나르는 집배원 file 정희정 2006.08.21 1756
703 공지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file 정희정 2006.08.18 1673
702 공지 Back to the BASICS 신원식 2006.08.16 1634
701 공지 생산적책읽기50 - 1 2 file 정영옥 2006.08.13 1711
700 공지 호밀밭의 파수꾼 인윤숙 2006.08.09 1807
699 공지 알기쉬운 요가를 읽고.. 42th 송근호 2006.08.09 1826
698 공지 세상을 바꾸는 작은 관심 file 정희정 2006.08.07 1814
697 공지 16.세상을 바꾸는 작은 관심 정청미 2006.08.07 16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