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6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독서클럽에서 신년 첫 모임때 선정한 도서...
모임이 있던날 막상 출장 떄문에 참석하지 못하여 아쉬웠던 기억이...

부제 : 윤석철 교수의 경영학 특강
이 책은 우리나라 경영학 분야의 대가이신 윤석철 교수가 30여년 동안 경영학을 한 줄기 통일된 체계로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온 그 결과를 일반 지성인들이 읽을 수 있는 '이야기'체제로 정리하여 <동아일보> <매일경제> 등 일간지에 연재한 글들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윤석철 교수의 전공 이력이 다소 이채롭다. 1958년 서울대학교 입학때는 독어독문학과를 선택하여 라인강의 기적을 이뤄낸 독일을 한국 발전으로 삼아보겠다는 뜻을 품고 독일의 문학, 철학,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후 한국이 후진 상황에서 탈피하려면 과학과 기술 발전이 급선무라는 사실을 깨닫고 물리학과로 진로를 바꿨으며, 이후 미국 유학 시절에선 전기 공학, 경영학 등을 공부하여 귀국해서는 서울대 경영학과의 교수로서 연구 생활을 하였다. 음...경영학으로 최종 결정을 한 연유는 밝혀져 있지 않아 궁금하기도 하지만 어찌됐든 인문, 사회, 자연과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닦은 학문의 길이 이 책을 읽는 동안에도 저자가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예를들면, 26편 기업의 길은 타원과 같다에서 타원 궤도상으로 공전하는 기업과 타원의 촛점으로서 창조성과 생산성을 도시한 부분이나 이외에 행복을 결정하는 초기조건에서의 예(141쪽) 등등...

제목에 "인생"이란 단어가 들어가 있는 이유가 책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냥 경영 경제라고만 제목이 되었더라면 이는 필경 그 분야의 전공자들을 위한 책이 되었을 텐데, 인생이란 단어가 들어감으로써 어쩌면 일반인 각자의 인생 경영에 대한 조언을 주기 위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경제적 개념들은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이런 개념들의 앞뒤에는 인생 살이와 연결시켜 철학적 사고를 제시하고 있다. 그럭저럭 다 보는데 결코 오래 걸리지 않았던 책이었고...지금 다시 펼쳐보니 기억해 놓고자 밑줄을 꽤나 그어놓은 책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6 문학예술 [문학일기 1] 칠레의 밤 /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정광모 2010.09.28 2667
1255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 독서감상문 대회가 열립니다. 류지은 2010.08.31 1945
1254 경영경제 데이비드 케이 존스턴저 "프리런치" 1 장재훈 2010.08.14 2692
1253 자연과학 산소같은 여자라구? 그럼, 전자를 조심하라구! 5 신호순 2010.07.03 2936
1252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1 최윤배 2010.04.27 2900
1251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3 지석연 2010.04.26 2539
1250 자연과학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4 신동찬 2010.03.22 3111
1249 기타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조예진 2010.03.07 2838
1248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7
1247 엄마를 부탁해 2 file 최윤배 2010.03.02 2613
1246 [더글러스 애덤스] '영혼의 길고 암울한 티타임' 1 김희정 2010.02.04 2269
1245 '정 성' 3 김희정 2010.02.03 2234
1244 [보살핌], 2008, 사이언스 북스 2 이중훈 2009.12.26 2418
1243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을 읽고 1 지석연 2009.12.25 2649
1242 누리야 누리야를 읽고... 최유현 2009.12.16 2297
1241 기타 우동 한 그릇을 읽고.... 최유현 2009.12.07 4059
1240 인문사회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신영호 2009.11.28 3528
1239 자연과학 기억을 찾아서 3 이대건 2009.11.27 2972
1238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39
1237 <북배틀>, 김명철 지음, 왓북, 2009 이중훈 2009.11.16 22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