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6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제 - 일을 쉽고 편하게 만들어주는 기술...



난 원래 일잘하는 사람은 이렇게 한단다 라든가 일을 잘할라믄 이렇게 해라 하는 식의 책들을 체질적으로 싫어하는 편인데...

누군가의 강력한 추천에 그래? 하는 맘으로 사서 봄...

정말이지 단숨에 쉽게 읽어 낼수 있는 내용임.



조각상 같은 예술 작품을 만들 경우에도 절차가 중요하다고 조각자들은 이야기 한다. 어쩌면 예술적 재능은 약간만 있으면 되는 것이고, 나머지는 절차를 제대로 알고 익힘으로써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되는 건지도 모른다. (프롤로그 중에서)



이 책의 저자는 세상의 모든 일에는 절차가 있으며 이 절차를 파악하고 그 절차대로 일을 계획하고 수행하면 조각이든 요리이든 자동차 일이든 쇼쌩크 탈출에서와 같은 감옥 탈출이든 무엇이든 잘 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앞부분 세 장에서는 다양한 절차의 힘에 대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절차에 따라 하는 일이 어떤 것인가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후반부 에선 드뎌 저자가 생각하는 절차의 힘이란 무엇인가를 그리고 그런 절차의 힘을 익히는 방법을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을 읽기전에 살짝 오해할 뻔 했다.

내가 싫어하는 매뉴얼 식과 절차에 따라 일하는 것이 같은건 줄 알고... 하지만 절차의 힘은 매뉴얼과는 다르다고 한다.

매뉴얼 인간은 창조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고 그저 보고 들은 대로밖에 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즉 스스로 계획을 세우거나 순서를 정하지 못하고 상황에 맞고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할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맨 처음 그 매뉴얼을 만든 사람은 뛰어난 능력을 가지 자이다. 합리적인 차례와 방법을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보편화 시키므로 굉장한 절차의 힘을 갖고 있는 사람임에 분명한 것이다. 즉 이처럼 절차의 힘에는 일의 차례나 방법을 스스로 세워가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절차의 힘을 익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완성품으로부터 일의 차례 역추적하기

2. 절차라는 칼로 잘라본다.

3. 소절차로부터 시작하여 차츰 대절차로 확장해 간다.

4. 소재와 미래상을 연결하는 회로를 만든다.

5. 전체적인 흐름을 놓치지 않는다.

6. 일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7. 일에 완전 몰입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다.

8. 이면의 절차를 인식한다.

9. 메이킹 비디오는 최고의 절차의 힘 트레이닝 방법

10. 관점을 바꾼다.

11. 중복을 피하는 기술



절차의 힘은 모든 영역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어떤 일에 뛰어난 절차의 힘을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다른 일에도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잘하는 일에 비추어 일을 해 나가면 자신감을 잃지 않고 일할 수 있다고 한다. (찐짜?)



어찌보면 모두가 다 아는 이야기를 하는거 같지만, 나름대로 중요한 요소를 지목해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주변의 일잘하는 사람들을 보면 이 책에서 이야기 하는 것들이 대부분 맞는 듯 싶다. 조용히 혼자서 고민하고 차근차근 끝내는 스타일들이 이런 절차의 힘을 가진 이들이 아닌가 싶다. 본받아야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6 문학예술 [문학일기 1] 칠레의 밤 /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정광모 2010.09.28 2667
1255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 독서감상문 대회가 열립니다. 류지은 2010.08.31 1945
1254 경영경제 데이비드 케이 존스턴저 "프리런치" 1 장재훈 2010.08.14 2694
1253 자연과학 산소같은 여자라구? 그럼, 전자를 조심하라구! 5 신호순 2010.07.03 2937
1252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1 최윤배 2010.04.27 2900
1251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3 지석연 2010.04.26 2539
1250 자연과학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4 신동찬 2010.03.22 3112
1249 기타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조예진 2010.03.07 2839
1248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8
1247 엄마를 부탁해 2 file 최윤배 2010.03.02 2614
1246 [더글러스 애덤스] '영혼의 길고 암울한 티타임' 1 김희정 2010.02.04 2269
1245 '정 성' 3 김희정 2010.02.03 2234
1244 [보살핌], 2008, 사이언스 북스 2 이중훈 2009.12.26 2418
1243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을 읽고 1 지석연 2009.12.25 2650
1242 누리야 누리야를 읽고... 최유현 2009.12.16 2297
1241 기타 우동 한 그릇을 읽고.... 최유현 2009.12.07 4061
1240 인문사회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신영호 2009.11.28 3530
1239 자연과학 기억을 찾아서 3 이대건 2009.11.27 2980
1238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43
1237 <북배틀>, 김명철 지음, 왓북, 2009 이중훈 2009.11.16 22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