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5.10.27 09:00

인간들이 모르는 개들의 삶

조회 수 20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간들이 모르는 개들의 삶/엘리자베스 마셜 토머스



인류학자인 저자가 자기 집에서 개들을 10마리 쯤 키우면서 최대한 객과적으로 관찰한 것을 썼다. 그녀는 개들을 훈련시키려 하지 않았고 집을 떠나 동네를 싸돌아다니는 것을 괘념치 않았으며, 같이 산책에 동행하며 만 시간 이상을 관찰했다고 한다. 그녀가 기른 개는 허스키와 퍼그, 그리고 딩고였다.



최대한 자유롭게 풀어키운 개는 활동범위가 무척 넓어서 3, 40 평방킬로에 달했다고 한다. 저자가 보기에 개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한다. 그 넓은 면적을 끊임없이 돌아다니지만 먹이를 구하거나 하는 등의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고, 서열을 정하고 관계(친밀한 관계가 아니고)를 맺는 것 때문인 것 같다고 한다. 한 집안에서는 특히 서열이 중요한데, 으뜸 암컷이 아니면 임신(교미)도 하지 않는다.(개들끼리의 압력 및 스스로도) 심지어 으뜸암컷이 아닌 개가 새끼를 낳은 경우는, 다른 개가 그 자식을 죽여도 어미가 반항하지 못한다. 개는 주로 정보를 후각으로 알아내기 때문에, 밖에 갔다 온 개가 있으면 다들 모여 냄새를 맡는다. 어떤 개들은 일부일처제를 고수하며, 그 관계가 깨질 때 슬퍼하고 외로워하는 것 같다고 한다. 또 근친혼도 흔한 일이다.





저자가 보기에, 개는 어느정도의 학습능력은 물론이고, 감정도 확실히 가진다. 전에 로렌츠의 책에서도, 개는 생각보다는 멍청하고, 생각보다는 훨씬 감정이 많다고 했다. 그리고 중요한 건, 개는 그럴수 있는 상황이 되면, 인간과 같이 보다는 개들끼리 있는 걸 더 좋아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건 말하자면 질적연구라 할 수 있을 텐데, 개와 그렇게도 친한 인간이, 왜 여태까지 애완견으로서의 개가 아닌, 그냥 개 자체에 대한 연구가 없었는지 놀랄일이라 했다. 생각해보면 그렇다. 이 연구는, 개가 충분히 돌아다닐 만한 주위환경(가령 허스키가 눈썰매를 끌 수 있었던 환경, 넓은 마당)이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아파트에 사는 개들, 하루에 산책 한 번도 변변히 못하는 개들이 학대받고 있다는 생각이 더욱 강해진다.

난 언제쯤 넓은 마당과 산이 있는 곳에서 개와 함께 달려볼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6 공지 김훈은 김훈이고 싸이는 싸이다 한은정 2005.10.27 1752
575 공지 사막의 꽃 한은정 2005.10.27 1921
574 공지 풀하우스 1 임성빈 2005.10.27 2229
573 공지 진화 임성빈 2005.10.27 1601
572 공지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임성빈 2005.10.27 3715
571 공지 바다에 오르다 임성빈 2005.10.27 1966
570 공지 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 1 임성빈 2005.10.27 2639
» 공지 인간들이 모르는 개들의 삶 임성빈 2005.10.27 2003
568 공지 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임성빈 2005.10.27 2486
567 공지 8. 천국에서 만난 다섯사람-미치 앨봄 정청미 2005.10.24 1551
566 공지 해변의 카프카 김세영 2005.10.22 2148
565 공지 너는 내 운명 file 김세영 2005.10.22 1644
564 공지 '포기하지 않으면 불가능이란 없다'를 읽고 36th 독후감 file 송근호 2005.10.21 1970
563 공지 sdfasdf 파라곤 2005.10.19 1418
562 공지 선물-스펜서존슨 송은경 2005.10.17 1537
561 공지 김훈의 칼의 노래 file 김세영 2005.10.16 2099
560 공지 생산적 책읽기-안상헌 송은경 2005.10.11 1546
559 공지 7. 머리 보다 손이 먼저 가는 메모의 기술 정청미 2005.10.09 1472
558 공지 [31] 유림 1부2권-공자편 (최인호) 서윤경 2005.10.04 1758
557 공지 [30] 기찬 하루 (권오상) 서윤경 2005.10.04 15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