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5.10.22 09:00

해변의 카프카

조회 수 21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무라카미 하루키의 해변의 카프카



정말 오랜만에 읽은 2권짜리 장편소설이었다.

짧은 글이나 영상, 음향에 익숙해져 있던 나의 단조로운 리듬을 깰 수 있었던 것은 하루키이기 때문에 가능했을지 모른다.

‘상실의 시대’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시작된 하루키와의 인연은 끊어질 듯 간간히 이어지고 있다. 그의 작품에 열광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인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

오십대 중반을 넘긴 나이임에도 그의 작품은 여전히 젊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환갑을 넘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이 나이를 잊었듯이 ‘해변의 카프카’에서 하루키는 여전히 내게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게 한다.

해변의 카프카는 열다섯살의 생일에 가출을 감행한 조숙한 소년 카프카와 어릴 때 이상한 비행물체를 목격한 후로 고양이와 대화를 나누는 능력을 가졌지만 지능이 성장하지 않은 노인 나카타의 이야기이다.

전혀 다른 듯 보이는 두 사람의 이야기가 평행선을 그리며 앞서거니 뒤서거니 나아간다. 그렇게 두 이야기들을 숨가쁘게 따라가다 보면 결국은 교묘하게 두 이야기가 만나게 된다. 좀 더 정확히 표현한다면 어느 순간부터 만나게 되는 게 아니라 둘 사이에는 이미 처음부터 교묘한 씨줄과 날줄로 얽혀진 사이라는 걸 알게 된다.

하지만 시종일관 현실의 세계와 의식을 세계,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이야기의 경계는 모호하고 몽환적이다.

“그래, 맞아. 그래서 나는 이렇게 살고 있는 거야. 사물이 계속 훼손되고, 마음이 계속 변하고, 시간이 쉬지않고 흘러가는 세계에서.” 그녀는 시간의 흐름을 암시하듯 한참 입을 다문다. 그리고 다시 계속한다. “그렇지만 나도 열다섯 살 때에는 그런 장소가 세계의 어딘가에 꼭 있을 것으로 생각했거든. 그런 다른 세계에 들어가기 위한 입구를, 어딘가에 찾을 수 있지는 않을까 하고.”

소설의 첫머리에 카프카는 15살의 소년이고 나이답지 않은 조숙함이 있었다. 하지만 소설의 끝머리에서 카프카는 나이답지 않은 조숙함이 묻어있는 소년이 아니라 성장한 소년의 모습으로 변화해 있었다.



하루키의 경쾌한 문체와 사물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은 여전히 글을 읽는데 속도감과 재미를 준다. 다만 장편 소설을 읽었을 때 느껴지는 무게감과 존재감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인문사회 [307차] '모델링' 강연을 듣고 안도건 2015.05.20 1015
1395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김병용 2015.05.06 982
1394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file 신보람 2015.05.04 1288
1393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홍덕화 2015.05.03 1094
1392 자연과학 305회차 후기 : 이명현의 별 헤는 밤 - 이명현 박사 file 신보람 2015.04.19 1059
1391 인문사회 사람들은 왜 성공하려 할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정현빈 2015.04.08 935
1390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권남용 2015.04.06 1196
1389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안도건 2015.04.01 952
1388 인문사회 백북스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 한남대학교 경영정보학과 12학번 전재국입니다. 경정12전재국 2015.03.30 910
1387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12이진우 gggggg 2015.03.30 826
1386 인문사회 백북스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 한남대학교 경영정보학과 12학번 김병용 경영정보12학번김병용 2015.03.27 926
1385 인문사회 "통일은 대박이다"란 것만을 내세우는 우리사회에 대한 우문현답 코리안드림 wizy 2015.02.12 876
1384 현대인의 시각으로 보는 근대예술 임석희 2015.01.14 815
1383 감각,착각,환각 (최낙언 지음) 김동일 2014.11.20 1098
1382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스티븐 핑커) 김동일 2014.10.13 1333
1381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김동일 2014.09.07 1801
1380 이중나선_제임스 왓슨 김동일 2014.07.28 4646
1379 플라톤의 네 대화편을 읽고 임민수 2014.04.25 2305
1378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김동일 2014.04.02 1624
1377 인문사회 엄지족 만세! 임석희 2014.03.16 15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