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75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아들아! 머뭇거리에게는 인생이 너무 짧다’를 읽고 29th



①지은이 : 강헌구

②펴낸이 : 김철중

③펴낸곳 : 한언

④출판일 : 01년 10월 1판 48쇄 펴냄



♣책 분류 : 동기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

자기 경영, 능력 개발서







☞ 지은이 강헌구박사는 제가 일 년 전쯤에 강연을 듣고 사인을 부탁했더니 흔쾌히 21세가 경영리더라는 과분한 사인을 해 주었던 기억으로부터 일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자기성찰의 부문에서는 일 년 전에 비해서 이 책이 자아성장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자신있게 말하고 싶다.











◉지은이 소개

강헌구 박사는 현재 장안대학 교수로서 수원비젼스쿨이라는 리더쉽프로그램을 개설해 이 땅의 청소년과 젊은이에게 비전의 중요성에 대하여 혼신을 다해서 설(說)하고 있다.이책을

읽기 전에 지은이의 강연을 듣고 그 내용이 다시 상기되면서 이해하기가 더 쉬었다고 생각한다.

사랑하는 우리의 아들딸을 개인적으로 젊은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젊은이야 말고 미래 한국의 주인공이기 때문에 비전의 중요성을 더욱더 강조하게 된다.









☞물줄만능주의(物質萬能主義)! 아직까지는 우리의 삶속에 깊이 박혀있는 사회의 부조리인 것이다 나는 지금의 우리나라의 경제현실과 젊은이들의 취업대란이라는 현상이 물질만능주의가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직업의 귀천을 더욱더 중시하는 풍조가 만연되어있다는 것이다.

실재로 원하는 사람이 아닌 모든 젊은이들이 편안함을 추구하기위하여 공무원이나 교사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한 가지 예로 들 수 있습니다.









73P

무의미한 출세

(비전 없는 출세는 삶의 소중한 가치들을 져버리게 한다.)

-1920년 미국 대공황이후 미국 경제난국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 회의가 열렸다.

참석자 명단, 세계 최대의 철강회사 사장,뉴욕 증권거래소사장, 연방정부 각료등

거물인사들이 모였으나 22년 후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살하거나 감옥에서 여생을

보내게 되었다.



과연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게 된 것인가? 이들로부터 비전 없는 삶은 당장의 영화로운

삶을 유지할 수 있지만 곧 자멸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7P

버려진 마법의 돌

(비전이 퇴색되면 천부적인 재능과 소질들도 물속에 던져지게 된다.)









80P

정신적 난쟁이

(부정적인 길들이기가 우리시대의 정신적 난쟁이를 만들어 낸다.)









83P

데워지는 물속의 개구리

(비전상실 증후군은 무의식중에 서서히 익혀지기 때문에 빠져 나올 수 없다.)









107P

미치면 미치고 안 미치면 못 미친다.

-미치듯이 몰입하게 하는 비전만이 개인의 운명을 바꾸고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









118P

65세의 젊은이

-비전은 젊은 세대의 전유물만이 아니며, 비전을 가진 자만이 진정한 젊은이다.

136p 문서화 되지 않은 목표는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다.







※바람직한 비전의 조건

①비전의 고유성이 有

②비전의 탁월성이 有

③비젼의 역사성

④비전의 항구성

⑤비전의 소명의식













【개인적 결론】

⇒Vision 이라는 것이 지금 꿈을 읽고 방황하는 젊은이에게 가져야 할 필수 요소라고 생각한다. 요즘 친구들을 만나면 비전을 묻고 한다. 과연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느냐?......

쉬운 듯하다 그러나 쉬이 정하기 어려운 비전……. 목표의식.모든 사람이 행복하게 상호욕구 충족할 수 있는 유통, 제약기업의 총수가 되는 것이 나의 비전이다. 아직까지 많은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 나의 비전은 현재 진행형이다…….

한 가지 진실로 유의해야 할 점은 비전 상실 증후군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한계를 우물 안에 가두어서 정장 기회가 와도 잡을 힘도 없어버리는 무서운 병이다. 마음의 병.

육체는 약으로 처방할 수 있으나 마음의 병은 지독한 바이러스와 같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비전을 가지고 살아가야 진정한 삶을 살아가는 지표가 된다고 강력하게 말하고 싶다.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 ?
    송근호 2005.05.29 09:00
    글을 보고 짧은 코멘트(지적도 좋음) . 격려 부탁 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6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261
1435 인문사회 브랜드가 되어 간다는 것 -강민호 김주한 2019.07.01 263
1434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김홍표 박용태 2018.09.27 373
1433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383
1432 자연과학 생물체를 구성하는 현상---GENOME EXPRESS을 읽고 이기두. 2016.12.20 398
1431 자연과학 인간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박용태 2016.09.07 432
1430 자연과학 <맥스 태그마크의 라이프 3.0> 박용태 2017.12.22 442
1429 자연과학 <인간 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박용태 2016.09.30 567
1428 자연과학 <바이탈 퀘스쳔: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1 박용태 2016.12.21 582
1427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김홍표 박용태 2017.01.04 588
1426 자연과학 <스핀> 이강영 1 박용태 2018.02.01 797
1425 현대인의 시각으로 보는 근대예술 임석희 2015.01.14 815
142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12이진우 gggggg 2015.03.30 826
1423 인문사회 "통일은 대박이다"란 것만을 내세우는 우리사회에 대한 우문현답 코리안드림 wizy 2015.02.12 876
1422 인문사회 백북스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 한남대학교 경영정보학과 12학번 전재국입니다. 경정12전재국 2015.03.30 910
1421 인문사회 [307차] 모델링 강연을 듣고 홍덕화 2015.05.21 912
1420 인문사회 백북스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 한남대학교 경영정보학과 12학번 김병용 경영정보12학번김병용 2015.03.27 927
1419 인문사회 사람들은 왜 성공하려 할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정현빈 2015.04.08 937
1418 인문사회 [307차] 모델링 전병관 2015.05.21 938
1417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이강영>를 읽고 박용태 2016.08.09 9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