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5.05.09 09:00

How to pass exam 23th

조회 수 15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ow to pass exam

(c)

저자: 도미니크 오브라이언

역자: 이상영

출판사 : 수희재

출판일 : 04년도





책 제목을 원제목과 한국 번역판 제목을 두개 다 적어 보았습니다. 책 제목에 대한 번역이 아주 한국적(?)으로 된 거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Arlbert Einstein (1879-1955)



즉 지식은 유한하지만 상상력의 한계가 없다는 말이다.





-저자 오브라이언은 영국태생으로 94년 올해의 암기왕의로 선정

통산 8회의 기억력 세계 챔피언에 등극,

무작위 제시숫자를 30분 동안 2358개를 기억해냄 (기네스북기록)





책 내용을 살펴보면



27P

-> 기억에 대한 일반인들의 오류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1)소리 내서 읽는 습관이 좋다

2)한번밖에 읽을 수 없다는 생각을 갖는다.

3)손가락으로 짚어가며 읽는다.

4)눈에 길잡이(펜,연필등)을 갖는다.



위의 네 가지는 다 읽고 기억하는 이에게 약간의 산만함을

방지하지는 하지만 궁극적으로 상상력과 기억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28P

-> 노트의 중요성

노트는 기억의 효과적인 여과기와 같다.

전체적인 시각을 바라 볼 수 있다.

복습시 이해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29P

주의력 산만의 이유.



이 내용은 교수님들 또는 학생에게 중요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1)수업의 활기가 없기 때문이다. 즉 단조로움을 줄이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

2) 과목에 대한 흥미가 적기 때문이다. 또는 선생님이 매력적이면

주의력이 산만해짐(제 생각으로는 이성적 매력을 뜻한다고

생각함)

3) 수업 내용이 너무 어렵거나 수업시간에 비해 학생들에게

제공된 정보량이 너무 많았을떄

4) 공부외적인 스트레스의 압박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이를 반대로 전환하면 수업의 활기가 있고 과목에 흥미를

유발시키고 수업내용이 학생 수준보다 약간 어려울떄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피드백 작용및 스승의 제자에

대한 가르침의 보람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33P



우리 머릿속에는 두 가지의 뇌가 존재한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듯이 좌뇌/우뇌로 나뉘어져 있는데

1)좌뇌-분석, 논리, 연속, 직선, 언어, 나열, 숫자에 관한 기능

2)우뇌-시각, 상상, 공간, 직관, 율동, 색의 식별등



좌뇌와 우뇌의 뇌량이라는 것이 존재함으로서 서로간의 연결

역할을 한다.





39P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의 하나로써

mind map방법을 쓸 수 있는데 이것의 효과는

1)핵심내용 파악이 용이

2)상대적으로 중요도 구분 가능

3)독자성존재-기억이 용이하게 함



-즉 일반 나열 노트에 비해 창조적이고 다차원적



61P



상상력과 연상법을 통한 기억력 증진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고대 사람들의 지혜의 전달 목적으로 구술을 또는

노래를 통한 지식 전달의 방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한 예로서 고대 아테네의 기억술이 있는데.

그 당시에는 기억을 저장매체인 종이의 부재로 사람들이

기억에 의존하여 인공적으로 사람들의 기억력을 훈련하였는데

이것을 니모테크닉(mnemotechnic)이라 하였다.



이의 예로서 우리가 잘 아는 '오딧세이나 일리어드'를

통째로 외우는 사람들이 생겨났는데 이것을 지금의 책분량으로

환산하면 800-900페이지에 해당하는 분량이라고 하니 실로

엄청난 양이라 생각한다.



이런 니모테크닉에 대한 책에서 우리 스스로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그것에 대한 장소를 기억하여 놓고 장소간에 연결

되어야 하고 그 순서에 따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즉 상상력의 가상여행을 하라고 했다. 저자 오브라이언이

자신만의 독특한 기억술을 창안했다고 즐거워했지만 결국

고대 아테네에도 이런 방법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실망하였다고

한다.





123P 기억력 이해에 증진 방법

(학생입장)

1)토의, 교사에게 질문하기

2)공부내용의 능동적인 선택

3)전체적인 시야의 확보





여기서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 나오는데

쥐라기 공원의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곤충 다음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사람 앞에서 말하는 것'이라 한다.



=>태어날 때부터 말을 잘하는 사람은 없다 언제나 청중은

우리 편이고 언젠가 청중도 입장이 바뀌어서 발표를 하게

될 입장이 된다. 즉 같은 불안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ㅡ효과적인 발표 방법

1)구체적인 발표계획을 세운다.(mind map)

2)말할 순서를 정한다.

3) 발표내용을 암기한다. (그래야 청중과의 눈 마주치기,

내용은 원활한 전달, 자신감, 발표 시 집중가능)











->독후감평문 요약



야무지게 5등안에 들어가기란 책에서 내가 크게 느낀 점은

공부라는 것은 일정한 틀에 억매이지 말고 자신만의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찾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책에서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 가지 상상력과

연상을 통한 암기는 제가 해 본 결과 확실히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복합적인 사고와 비해 단순암기였을떄는 보다 효과가

있었다.

자신의 두뇌 발달을 위해 한번 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고 ]

생각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공지 기도 고윤의 2005.01.27 1519
95 공지 [14] 한 남자의 그림사랑 서윤경 2005.02.21 1518
94 공지 [5]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전시륜) 서윤경 2005.02.17 1517
93 인문사회 엄지족 만세! 임석희 2014.03.16 1516
92 마종기와 루시드 폴의 시,시가(詩歌),산문,소설 그리고 서한집(書翰集) 김세영 2013.10.13 1516
91 공지 나무 남기원 2005.03.10 1516
90 경제학 카페 019 (2-1편) 내용이 길어 두편으로 나눔. 한창희 2012.01.27 1514
89 공지 5. 미운오리새끼의 출근 -매트 노가드 지음 정청미 2005.10.03 1514
88 공지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류시화 file 유지만 2004.09.30 1514
87 인문사회 [308차 강연] 그림자 여행을 듣고 경정12전재국 2015.06.09 1509
» 공지 How to pass exam 23th 송근호 2005.05.09 1506
85 공지 4.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정청미 2005.09.24 1499
84 공지 [8]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서윤경 2005.02.17 1499
83 자연과학 중력파 1 박용태 2016.05.12 1498
82 공지 [12] 이방인 (알베르 카뮈) 서윤경 2005.02.21 1498
81 인문사회 [307회차] 모델링 강연을 듣고 12이진우 2015.05.31 1497
80 경제학 카페 019 (2-2편) 3 한창희 2012.01.27 1497
79 공지 정상에서 만납시다 이대근 2005.03.16 1497
78 공지 10.당신안에 기적을 깨워라.-나폴레온 힐 정청미 2006.04.04 1492
77 공지 마시멜로 이야기 file 정영옥 2006.09.20 1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