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2004.09.30 09:00

엔트로피 015

조회 수 231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 

                                           김명자, 김건 옮김




 

 

 

“인류의 발전을  발전으로만 볼 것인가?”
내가 느낀 이 책의 화두(話頭)를 한 문장으로 축약한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엔트로피(entropy)는 결국, 카오스(chaos)로 귀결된다는

생각을 했다.
시원(始原)으로 시작해서 탄생 → 성장 → 발전 → 절정 → 쇠퇴 → 소멸의 순환을

겪으면서 결국 시원(kosmogonia)으로 다시 돌아가는 자연의 순환법칙..!


솔직히, 나는 이 책에 대한 독후감을 공개하기 겁난다.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는데,


첫째, 하고 싶고, 해야 할 이야기가 너무 많은 관계로 짤막하게

        대충 정리한다는 것이 나에게 있어서는 너무 어려운 주문이기 때문이다.


둘째, 2주에 걸쳐 나름대로는 촘촘하게 짚어가며 읽었으나,

        그 지식의 방대함에 기가 질려 설익은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수박 겉핥기식으로 대충 정리한다는 것이 내 양심으로는 도저히

        용납지 않기때문이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각종 메모와 자료의 기록으로 책이 너덜너덜 해질 정도로 혼돈과 충격 속에

읽은 책이니만큼,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정리를 해봐야지..!
이런 관계로 이 글은 원론과 개념에 대한 설명보다는,

개인의 감상에 대한 기록이라는 것임을 밝히니,

이 글을 읽는 회원들께서는 이점에 있어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이 책은 쉽지 않다.
그래서 이전에 읽었던 다른 책들과는 사고(私考)의 질과 양에 있어

차원을 달리해야 했다.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르네 데카르트(Ren Descartes),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존 로크(John Locke),

아담 스미스(Adam Smith) 등 을 통해서 두 세기 동안 절대 불변의 진리로

추앙받던 기계적 세계관에서 시작하여,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의 판단 비판을 주장한,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기독교적 주체사상을 완전히 뒤엎은,  챨스 다윈(Charles Darwin)의 진화론,
고전 역학론을 철저히 비판해온,  니콜라스 조지스 큐 로이젠(Nicholas George-scu-Roegen),
동양 자연과학의 최고봉이라 일컫는,  혜강 최한기의 기(氣)철학,
전체주의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한,  ‘1984’의 조지 오웰(George Orwell),
자연인식의 제 원리를 주장한,알프레드 노드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탈 모더니즘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주창한, 미셸 푸코(Michel Paul Foucault),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현실 재구성을 위한 해체주의,
이성주의와 인간성에 대한 신념을 사회운동으로 재 창출하려는

노암 촘스키(Noam Chomsky)까지,  순수과학과 자연철학의 각 장을

넘나들어가며, 과거와 현재까지의 다양한 접근이 필요했다.


시간이라는 인간의 측정단위 개념이 들어선 이래로,

지구의 역사를 대략 46억년 정도로 추정한다.
1859년 다윈이 "종의 기원"을 발표한 후,

진화론에 있어 인류의 시조를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로 할 것이냐,

호모 사피엔스(크로마뇽 인)로 할 것인가? 에 대하여 관점에 따라 차이를 두곤

했지만, 현생인류와 동류[사고(私考)체계의 시작]인 호모 사피엔스를 기준으로

한다면 인류는 지금으로부터 3~4만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해 왔다.

 


이로부터 시작된 인류의 생활방식은 수렵 → 농경(목축) → 산업 → 정보사회로

변천해왔고,  엔트로피 설명의 시작은 바로 이 인류의 생활방식부터

설명해야 한다.
생활방식은 즉, 에너지의 변천사로 이야기 할 수 있는데,

당시,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가

인구론에서 주장한 것처럼,  산술적으로 증가하는 식량자원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증가의 비율불균형(반비례)에 맞서,

인류는 지구라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얼마만큼 인간의 물질적 삶에 대한

질을 높이는가? 가 현실적 화두로 존재해왔다.


물질적 풍요로운 삶은 결국, 자연으로부터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끌어오는가? 로

귀결이 되었고, 폭발적 인구증가와 더불어 물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부터

“인간의 자연에 대한 수탈행위는 그 도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인류의 생활방식이 농경에서 산업사회로 변천하면서부터 지구의 광물자원을

필요로 하기 시작했는데, 그 대표자원이 석탄과 석유였고,

이것이 산업혁명으로부터 비롯된 기계적 세계관의 시발(始發)이요, 근원이었다.
에너지의 흐름이 변천하면서 인간 생활전반의 모든 것들이 같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그 속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상을 초월할 만큼의 가속도를 붙여갔다.
그러나, 그 에너지 자원은 유한(由限)한 것이었고,

지구 에너지 자원이 고갈된 후를 인류는 걱정하고 대비해야만 했다.
그에 발맞추어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고,

이러한 미래의 혼돈상태를 물리학적 법칙으로 풀어낸 것이 바로,

엔트로피의 등장이다.


엔트로피를 사전적인 의미로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  정도로 정리할 수 있으나,

그 속에 내제된 이야기들은 그야말로 무궁무진하다.
엔트로피에 있어 중요한 물리법칙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열역학 제 1, 2법칙이다.


열역학 제 1법칙이란,

우주의 물질과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

오직 그 형태만이 바뀌는 것을 말한다.


제2법칙, 즉 엔트로피 법칙은,

물질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바뀔 수 있음을 천명한다.
즉,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부터,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얻을 수 있는 형태로부터,  얻을 수 없는 형태로,

     질서가 있는 상태로부터,  질서가 없는 상태로만 변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질적으로 열역학 제2법칙은 우주의 삼라만상은 질서가 있고

가치가 있는 상태로부터,  무질서하고 가치가 없는 혼돈 상태로의 한 방향으로만

변할 수 있음을 뜻한다.
우주의 어느 계(System)에서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얼마나 변형되었는가에 대한 척도가 바로 엔트로피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간단한 물리법칙이 정치, 사회, 문화, 경제, 과학, 철학, 인간, 생명, 심지어는

생활방식과 사고체계까지도 엄청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것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저히 간단하게 정리할 수 없는 분량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1980년 초반에 출간되었다.
그렇다면, 오늘날까지 20여년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수많은 자연과학자와

철학자, 각 부분의 핵심세력들에 의해 조사, 분석되고 검증받으면서

그 진위(眞僞)를 가려 왔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의 내용들은 미래의 예언서처럼 오늘날에도 상당히 많은 부분이 

들어맞는다.
이에 반대의견으로 네겐트로피(negentropy)의 개념이 생겨나기도 했으나,

부분 계(System)에 국한되는 것일 뿐,  어떤 이론이나 기술에 의해서도

계 전체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길은 아직 찾아지지 않고 있다.


엔트로피 법칙은,

우주의 어느 곳에 질서가 더 생기는 것은,  다른 곳에 그보다 더 큰 무질서가

생긴다는 것을 절대 진리로 천명한다.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이른바,  발전에 의해  ‘더 질서 있는’  물질적 환경을

만든다는 것은,  동시에 다른 한편에 그보다 더 큰 무질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자연 세계에서의 인공적 변화란,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불가능한 형태로 바꾸면서 주위의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방향,  즉, 값어치가 있는 상태에서 값어치가 없는 상태로의
한 방향으로 밖에 일어날 수가 없다는 한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세계가 경쟁적으로 벌이는 경제 성장이란 결국,
사용 가능한 자원을 사용 불가능한 쓰레기로 바꾸면서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저절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엔트로피의 증가를 지속적으로 높임으로써
끝(End)을 향해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오늘날 우리가 (특히, 미국이) 누리고 있는 풍요로운 혜택은
우리의 후손들이 사용해야할 에너지까지 미리 끌어다 쓰는 것이기에
우리는 우리의 후손에게 씻을 수 없는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말하면 2004년 현재 지구의 인구를 61억 명 정도로 추산하는데,
그 중 4% 정도를 차지하는 인구 2억 8천명의 미국이 소모하는 전세계 자원량이
100% 비율에서 40%가 넘는다.
만일, 지구 전체인구가 미국과 같은 풍요로운 삶을 산다면,
현재 지구 자원보다 대략 280배가 들어간다는 통계가 나왔다.
그야말로 미국은 지구의 전체 자원을 긁어모아서 자신들의 풍요를 유지하는
것이다.



만약에, 자국에서 만들어내는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아마겟돈(Armageddon)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미국의 숨은 양심을 지닌 사람들이 우려하는대로
인류 최후상황의  그 중심에는 미국이 존재할 것이란 것이
나와 그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중에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과학, 산업기술을
부러워하고, 찬양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이 세상 모든 것에는 양면성이 존재하듯,  그것이 무조건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과학, 산업기술에도  야누스(Janus)의 이중성이 존재한다.
분명한 것은,
과학적 물질만능을 숭배하며, 그대들이 눈부셔하는 물질의 풍요 속에
서양의 근대 이후의 과학은 원초적인 유기성과 통일성을 깨뜨린 상태에서
오로지 인간의 실리적인 관점에만 집중하여, 인간욕구의 탐닉(耽溺)한
방향으로 기술을  끌어옴으로써 
결국, 자연을 무모하게 착취하였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되었다.

다만, 내가 우려하는 것은,
서양의 근대화 이후 동,서양 간에 물질적 질량의 차이가 점점 커짐에 따라
그들을 따라가기 위해 동양은 과학과 산업기술에 관해 서양의 발전양상을
그대로 답습(踏襲) 해왔다는 것과,
이제 서양에서는 일방적 성장론 그 자체에 대한 문제점이 붉어져 나오기
시작한 시점에서 우리는 그간 고도성장의 단맛에만 빠져 엔트로피 확대의
폐해에 대한  미래의 준비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에 대한 것이다.


어찌 보면, 지구상의 엔트로피를 정지시키는 방법은,
인간 그 자체의 소멸로서만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인류가 존재하는 한은 엔트로피를 최대한 늦추는 방법뿐인데,
그 일은 인류가 간절히 소망하고 기다리는 메시아(messiah) 혼자의 힘이나,
어느 순간으로 우연찮게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현대인의 삶에서 과학과 기술은 결코 버릴 수 없는 상황이 이르렀음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것들이 사람의 삶을 지배하게 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목적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더 이상 범해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도 다시 옛날의 기억을 되살려
‘인간과 자연은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한다’ 는 근본적 믿음을
복원시켜야 한다. 
이런 간절함이 통(通)한 것인지, 
요즘 전세계적으로 오리엔탈리즘 으로의 복고(復古)나,
자연을 근간으로 둔 희랍사상이나,
동양철학을 배우려는 친환경적인 서양인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한다.
참으로 불행 중, 다행한 일이다.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 우리의 후손이나 인류의 미래역사에 대한
생각 없이,  그냥 우리끼리만 즐기고, 잘살다 죽으면 그만 이라는
사고방식이라면  엔트로피의 존재에 대해 우리는 더 이상 아무런 위협과
의식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나는 다만, 몇 세기가 흐른 후에 우리의 후손들이,  선조였던 우리의 행적을
어떻게 평가할지가 궁금할 뿐이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깔아놓은 그 두터운 시멘트 바닥을 뚫고 피어나는
이름모를 풀 한 포기를 지켜보는 나는,
생명의 기적을 만들어내는 대자연에 대해 형언할 수 없는
경의(敬意)의 예(禮)를 표한다. 


추신 : 이 글을 읽는 회원 중 혹시, 자연과학이나 사회철학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이나,  엔트로피에 관한 관심과 정보를 가지고 계신 분이 계시면
        
의견을 나누고 싶은 바램이 있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개인적평점 : ★★★★★



** 표현의 언어 중, 가장 마음에 남는 구절 **

너무 많은 관계로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다.

“천인합일(天人合一).”


 

  • ?
    송윤호 2004.09.30 09:00
    언제나 한창희 회원님 독후감을 읽을때면 읽었던 책이건 그렇지 않은 책이건 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정말 게으르게도 제레미 리프킨의 저서를 2 권 정도 읽었는데 가장 역작으로 꼽히는 엔트로피에 대해선 개념상으로만 알고 있을뿐 제대로 읽지를 못했습니다. 우리 클럽에 박문호 박사님, 그리고 요즘은 자주 안보이시는 고원용 박사님과 의견을 나눠보시면 상당히 좋은 의견들이 오갈것이라 생각이 드네요. ^^
  • ?
    송윤호 2004.09.30 09:00
    부지런히 엔트로피 읽은 후에 짧은 지식/의견이나마 코멘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6 갈매기의 꿈 018 한창희 2004.10.31 1671
395 잭웰치, 끝없는 도전과 용기 017 한창희 2004.10.28 1569
394 공지 6가지 인간형 박동신 2004.10.23 1642
393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 016 한창희 2004.10.10 1921
392 공지 홀로사는 즐거움 박동신 2004.10.10 2092
» 엔트로피 015 2 한창희 2004.09.30 2319
390 공지 대화의 법칙-래리 킹 file 유지만 2004.09.30 1377
389 공지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류시화 file 유지만 2004.09.30 1514
388 공지 Next Society-피터드러커 file 유지만 2004.09.30 1231
387 공지 선물 -스펜서 존슨- 정청미 2004.09.26 1243
386 공지 학문의 즐거움 -히로나카 헤이스케- 정청미 2004.09.26 1769
385 공지 혼불7 -최명희- 정청미 2004.09.26 1323
384 공지 혼자만 잘 살면 무슨 재민겨. 전우익- 정청미 2004.09.26 1857
383 공지 책 읽는 소리 2 박동신 2004.09.22 1690
382 한국 CEO의 조건 014 4 한창희 2004.09.14 1699
381 공지 끝없는 도전과 용기 (14th) file 송근호 2004.09.11 1631
380 공지 일과 삶의 -더블 라이프(13th) file 송근호 2004.09.11 1681
379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GOOD TO GREAT) 013 17 한창희 2004.09.09 1708
378 공지 노인예찬(5) 1 박동신 2004.09.08 1653
377 공지 가야산으로의 7일간의 초대(3) 박동신 2004.09.07 16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