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3.09.18 09:00

반디네 행복 통신

조회 수 174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나무>

잎이 유난히 푸르고 가지는 곧아 어떤 비바람도 능히 당해 낼 듯한 나무가 있어 이유를 물어 보았습니다.

" 깊은 뿌리가 있기 때문이야" 나에겐 아내가 있습니다.



***************************************************************



아내가 있다는 이 한마디로 시작하는 반디네 행복통신이라는 책은

작은 가족의 행복을 쓴책이다.



최근 카툰집에 흥미를 많이 느끼고 있어 보고있다. 나도 언젠가는

카툰집을 내리라는 작은 소망을 가지고 ...



나의 일기를 누군가가 본다는 것은 정말 싫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이런 카툰이라면 사람들이 봐서 내가 하루에 느꼈던 것들을

같이 공유하고 서로 반성했으면 좋겟다는 생각이 들었다.



카툰은 그저 자신의 삶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문제도 다루고 있다.



<달팽이>

달팽이가 도시로 나왔습니다.

사람들 사이로 걸어가는 달팽이의 모습이 불안해 보입니다.

사람들이 달팽이를 보고 웃었습니다.

달팽이도 사람들 보고 웃었습니다.

그래도 달팽이는 자기 집이 있습니다.



이것은 정말 가슴에 와닿는 얘기다.



우리집도 아직 우리집이 없다. 아버지가 군인이시라 항상 이사다녀서 집이 없기도 하지만 ..



돈이 부족하다. 우리집은 대대로 잘살던 집도 아니라 아버지께서

공무원으로 그저 우리를 대학까지 보내주신 것만으로도 고마워하며 살고있다.

그러니 집이 있을리는 없다.



달팽이는 집이있는데 우리는 왜 집이 없는지...정말 슬프고 달팽이한테는 정말 웃긴 일일것이다.



"각본에서 감독, 촬영까지 제가 다합니다. 당연히 주연배우는 저고요. 행복하게 끝나는 영화가 되었으면 좋겟습니다.

한가지. 제가 찍는 인생이라는 영화.. 재촬영이 없습니다.

하루 하루 한순간 한순간이 중요한 것입니다.."



정말 마음에 와 닿는다. 작가 역시 정말 한순간 한순간을 행복하게 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보인다.



우리 모두 지금 삶이 행복한지 불행한지는 자신이 선택한 인생이라는 영화가 아닐까싶다. ^^
  • ?
    장미란 2003.09.18 09:00
    그래서 행복이 가까운 곳에 있다고 말하는가 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6 공지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060430) 최병관 2006.04.30 2889
1235 공지 '도시 풍수'를 읽고 2 강민균 2007.04.14 2884
1234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템플 그랜딘 3 손진경 2009.07.09 2883
1233 공지 생명, 최초의 30억년 - 앤드류 H.놀 2 양경화 2007.06.20 2879
1232 공지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 양경화 2007.10.20 2877
1231 공지 "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를 읽고 4 엄준호 2007.01.22 2875
1230 공지 천개의 공감 1 김미순 2007.12.18 2871
1229 공지 생각의 벽 -요로 다케시(김순호)- (고려문화사) 2 이재우 2007.07.31 2868
1228 공지 [34] 마키아벨리, '군주론' 1 이동훤 2008.02.11 2862
1227 공지 고독한 한국인 김미순 2008.01.20 2861
1226 젊은 혁명가의 초상/ 최태환.박혜강 지음/ 공동체 2 최유미 2011.04.05 2859
1225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8
1224 공지 On the Road - 박준 2 양경화 2007.06.06 2846
1223 기타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조예진 2010.03.07 2839
1222 공지 색채 심리 1 이혜영 2003.07.15 2833
1221 공지 도덕교육의 파시즘 1 윤성중 2007.10.11 2828
1220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 / 가스가 마사히토/살림출 2 최유미 2012.01.09 2827
1219 자연과학 <마음의 기원>과 <이타적 유전자>로 읽는 영화 <마더> 4 file 정인성 2009.06.12 2826
1218 공지 "이보디보"를 읽고 2 엄준호 2007.12.08 2826
1217 인문사회 나스타샤를 읽고 - 공간적 완성의 포기에 대한 냉소적 생각 1 신동찬 2009.06.14 28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