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2010.08.05 19:19

어떤 야합에 대해

조회 수 32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치 못한 목적으로 서로 어울리는 일을 야합이라 한단다. 뒤돌아 보니, 난 지금까지 살면서 야합을 좀 한 것 같다. 



 난 정의(正義, justice)라고 믿고 싶었으나, 어떻게 그리도 쉽고 단순무식하게 정의(正義, justice)에 대한 정의(義, definition)를 고민없이 내릴 수 있었던가 싶다. 따지고 보면, 치기요, 만용이었고, 나름의 독선이었다.



 내가 정의(正義)라 정의(義)내렸던 그 것은 상대의 입장에서 보면 결국 물리적 폭력이었고 불의였다. 주변 사람들을 끌어들여 내 정의에 동의하게 하고 다짐하게 했던, 소위 상대의 입장에서 볼 때, '야합' 그 것은 피해자 시각에서 꽤나 몰염치한 일이다.



 야합의 사례를 일반적으로 두 가지만 들자면, 주로 조직에서 누군가 한 사람을 지목하여 그 또는 그녀를 밖으로 쫓아내는 일이거나, 그러한 조직의 의도를 알아차렸을 때 뜻맞는 이들의 결집을 유도하여 뒤짚는 시도를 하는 이 두 가지가 당장 떠오른다. 야합을 안 하고 살 수는 없다. 야합 그것은 DNA로 전해온 인류의 생존유산으로서 우리네 삶의 한 부분이다.



 야합임에도 불구하고 정의(義)나 대의(大義) 라며 팩트나 자신의 느낌을 갖다 붙여 부연 강조하길 좋아하는 우리네 습성으로 볼 때 우리는스스로 이러한 야합 본능에 대해 인지하고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불현듯 하고 싶었다.



 그렇다고 야합에 정의를 부연하려는 측은한 노력들을 아예 빼라는 주장은 아니다. 다만, 그것이 당신이 믿고 있는 정의는 아니라는 점과 당신이 저지른 일이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인지하길 바라는거고, 거기에 알맞는 행동을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어제의 예를 들면, 나의 지인은 야합의 일원으로서 피해자를 향한 연민을 가졌었다. 위로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난 심히 모순된 그를 향해 겉으론 차마 못하고 마음 속으로 통렬히 꾸짖었다. 야합의 일원으로서 피해자를 향해 동정심을 갖고 그를 위로해준다면 그것은 마치 사랑했던 연인을 제 발로 차버리고 실연당한 옛 애인 옆에 앉아 얼마나 슬프냐며 위로해주는 꼴 아닐까. 옆에 있는 사람 귀싸대기 때리고 얼마나 아프냐며 위로해주는 일을 당신이라면 할 수 있을까.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대처할 것이다. 나는 먼저 내가 야합했음을 인지하고 야합의 일원으로서 그를 위로해주는 일은 절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를 향한 감정을 배제할 것이다. 그렇다고 왕따시킨다는 얘기는 아니다. 위로만큼은 절대로 하지 못하겠다는 의지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느낀 감정(느낌)을 변명하고 정당화시키는게 아니라 사실(fact)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과 스스로를 향한 냉철한 성찰이라 믿는다. 




 서두에서도 언급했지만, 나란 인간은 지금까지 살면서 야합을 좀 하면서 살아온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돌아왔습니다. 7 장준오 2012.11.10 2133
86 공지 독서클럽을 통해 구원 받다. 8 이보표 2007.11.09 3746
85 공지 독서클럽과 백과사전 9 문경목 2007.11.24 4141
84 독서의 5단계說 4 강신철 2009.06.02 2881
83 독서와 정신의 성장단계 3 강신철 2012.05.07 1885
82 공지 독서여행을 다녀와서... 6 이명희 2007.11.27 3948
81 공지 독서산방 단상 3 문경수 2007.12.01 3590
80 독서 노마드 2 강신철 2011.07.09 2053
79 당연히.. 3 우성범 2011.05.20 2164
78 공지 당신이 작가라면, 당신이 경험한 것만 써야 한다 8 김주현 2007.11.16 4050
77 일반 다시 비누의 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전동주 2019.10.16 123
76 공지 눈이 왔다 3 김민경 2008.01.12 3644
75 너와 나의 고향 1 김용전 2009.12.13 2181
74 남자의 눈물 - 배우 김명민의 눈물 4 김용전 2009.10.27 2528
73 공지 남자는 남자를 모른다 1 김용전 2008.08.29 4224
72 공지 남매탑이야기. 3 이소연 2008.01.16 4199
71 공지 낡은 일기장과의 만남 9 황보영 2007.11.07 3993
70 난감했던 동네서점 4 이병록 2013.01.22 2161
69 공지 나의 독서법 - 유비쿼터스 책 읽기 15 송윤호 2007.11.05 4017
68 공지 나무 이야기 5 김용전 2008.07.26 40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