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조회 수 2854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체르마트에서.

아침 일찍 호텔을 나서자마자 다리 옆에 묘지가 보인다.
마터호른 등반 중에 목숨을 잃은 모험가들이 묻힌 곳이다.
마터호른 등정에 처음 성공한 것이 겨우 150년 전이다.

오르기 어려운 만큼 많은 사람들의 도전을 부르는 산,
그 어떤 높은 이상을 품고 오르더라도 결코 실망하지 않을 마터호른.




'클라인 마터호른 전망대'는 빙하동굴과 통틀어 글레이셔 파라다이스(Glacier Paradise)라 부르기도 한다.

클라인 마터호른 전망대는 유럽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전망대이다. 3883 m.
물론 전망대에서도 마터호른은 올려다 보아야 한다. 마터호른 정상은 4478 m.
참고로 백두산 정상이 2750 m, 한라산 정상이 1950 m.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갔다 내려오는 것은 썩 좋은 취미는 아니다.
여튼 내가 3883 m를 걸어 올라갈 수 없다는 사실이 앞에 놓여 있다.
오전 중 하기로 계획한 트래킹을 대비한 준비운동 정도라고 생각하며 케이블카에 오른다.

케이블카는 중간에 몇 번 내릴 기회가 있다.
중간에 내려 보드를 어깨에 둘러매고 보드족 흉내도 내어보고,
빙하동굴에 들러 빙하 안으로 돌아다녀 보기도 하고,
고산병을 경험하기도 했다. 어질어질 미식미식.

잡다한 사진과 설명은 생략하고
3883m의 기억을 사진으로 더듬어 본다.


























- 이전 글 -
[스위스] 3. 라보 포도밭 - 세계자연유산의 명품 와인

[스위스] 2. 체르마트 - 잊을 수 없는 진정한 퐁듀의 맛




  • ?
    연탄이정원 2010.08.01 10:14
    위에서 9번째 사진을 보면서 '보드타고 내려오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였는데,
    바로 아래 사진에 보드족들이 보이는 군요.^^ 아~~ 가고싶다.
    아래서 7번째 마터호른 사진, 안개 맞지요?
  • ?
    이정원 2010.08.01 10:14
    안개보다는 구름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더욱 운치있지요. ^^
  • ?
    연탄이정원 2010.08.01 10:14
    <신의 물방울>의 주인공 도미노 잇세가 어린시절 마트호른을 올려다 보면서,
    "파란 하늘로 날아올라가는 로켓 같다"고 했던 말이 떠오릅니다.
  • ?
    이정원 2010.08.01 10:14
    아 정말, 로켓이라는 표현이 딱이군요!!
  • ?
    이정원 2010.08.01 10:14
    저도 스키 하나 얻어 어깨에 둘러매고 사진 찍었어요. ^^;;
  • ?
    연탄이정원 2010.08.01 10:14
    <중간에 내려 보드를 어깨에 둘러매고 보드족 흉내도 내어보고>,
    내가 미쳐요. 진짜...^^

    댓글 창이 실시간 채팅 창이 되었습니다.^^
  • ?
    이기두 2010.08.01 10:14
    로케트 보다는 얼음귀신 같네요.

    유럽사람들
    홑이불쓰고 귀신분장한 모습 같잖아요?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일반 다시 비누의 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전동주 2019.10.16 123
206 일반 행복한 마음 송택정 2018.06.21 142
205 일반 산성비누 만들기가 어려운 이유? 전동주 2019.10.16 142
204 일반 의약화학 관점에서 본 구충제의 항암효과 전동주 2019.12.26 152
203 공지 예쁜 사랑을 이어가는 10가지비법 부쓰 2018.10.23 155
202 일반 바둑과 뇌신경계 전동주 2019.12.26 182
201 일반 유기화학 자율합성 로봇 등장하나 전동주 2019.12.26 267
200 일반 아이스와인이 더 맛있는 이유는? 전동주 2019.10.16 288
199 일반 지무재수필을 읽고 2 산에꽃 2020.11.18 391
198 일반 물은 100 도에서 끓지 않는다? 전동주 2019.10.16 930
197 몇 권의 책이 사는 것을 행복하게 1 신동찬 2012.09.24 1632
196 8.16(목) 10시, 장대익 초청 강연회 - 다윈의 식탁 1 강장미 2012.08.14 1660
195 詩人憂詩 不當憂貧 1 박성일 2012.10.29 1685
194 적정기술 이중훈 2012.08.23 1692
193 외상사절 4 이병록 2012.02.04 1700
192 잠시 활동을 접으며... 9 임석희 2012.08.29 1707
191 함정에 빠져 계시는군요 1 우현종 2012.08.29 1717
190 걷는다는 것에 대하여 7 이기두 2012.08.06 1720
189 신입의 다짐 3 홍성욱 2013.03.05 1723
188 일한다는 것에 대하여 6 이기두 2012.08.06 1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