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조회 수 38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러나 이제 도시는 나의 굴욕과 실패의 地圖같은 것


그 門에서 나는 석양을 보아왔고, 그 대리석 앞에서 나는 부질없는 기다림을 배웠다.


여기 어제는 불확실하고 오늘은 다른 나날이


내게 모든 인간이 겪는 평범한 日常을 가져다 주었다


여기 발자국을 측량할 수 없는 미궁을 그린다


여기 잿빛오후가 약속한 내일의 열매를 기다린다


여기 나의 그림자도 또 하나의 부질없는 마지막 어둠속에 가볍게 사라져 가리라


이 도시와 나를 잇는 것은 사랑이라기보다 차라리 경악이다


아마 그래서 나는 이 도시를 그토록 사랑하는 걸까***


아르헨티나의 詩人 보르헤스의 <부에노스아이레스>라는 詩의 일부분입니다.


보르헤스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느낀 절망과 고뇌를, 나는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느낍니다.


아마 나뿐만 아니라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대부분 그런 고비의 순간과 맞닥뜨릴 겁니다.


삶이라는 것이 어차피 희망과 절망의 외줄타기라고 할진대,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고


내리막이 있으면 또 오르막이 있겠지요.


보르헤스의 표현대로 도시의 삶이란 '측량할 수 없는 미궁'을 헤매는 건 아닐까요?


굴욕과 실패, 부질없는 기다림, 마지막 어둠---. 보르헤스는 이 도시에서 절망을 읽어냅니다.


사실 우리네 삶이라는 것이 어디 그렇게 녹녹한 건가요?

먹고사는 문제는 걱정 안한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로 걱정하며 살아가는 게 도시인의 삶이겠지요?





보르헤스의 표현대로, 이 도시와 나를 잇는 것은 사랑이라기보다 차라리 ‘경악'이 아닐까요?


이 도시는 우리에게 참으로 많은 것을 주었으면서도, 참으로 많은 것을 빼앗아 갔습니다.


사실은 빼앗아간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분실했다는 표현이 맞겠지요.

내 삶의 주체는 나 자신이니까요.


인생은 농사 같아서 뿌린 대로 거두는 법. 노력한 만큼 거기에 합당한 결실을 주는 것이겠지요?


 어느 순간, 삶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했을 때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겠지만,


이 도시에 과연 그런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이 도시엔 정말 너무 많은 아웃사이더들이 넘쳐납니다.





중요한 것은 자기 삶의 아웃사이더가 되지 않는 것이겠지요. 어쩌면 이 도시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누구나 보르헤스의 '굴욕과 실패'를 겪으며 살아가고 있을 겁니다.


보르헤스가 말했던 '잿빛오후가 약속한 내일의 열매'가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목표가 아닐까요?


누군가 얘기했지요? 희망은 가난한 인간의 빵이라고. 이 도시도 따지고 보면 많은 희망의 씨앗을


곳곳에 숨겨놓고 있을 겁니다. 우리가 그걸 찾아내서 싹 틔우고 가꾸어서 열매 맺게 한다면,

그게 바로 우리의 것이 되는 거겠지요.

도시가 삭막하고 어둠이 깊을수록, 그 속엔 은밀한 희망과  건강한 빛이 숨어있는 거 아닐까요?

그 희망과 건강은, 그것을 발견하는 사람이 주인일 테지요.

詩의 끝 구절---"아마 그래서 나는 이 도시를 그토록 사랑하는 걸까---처럼 우리는 이 도시를


사랑해야 합니다. 이 도시란 결국 우리네 삶의 터전이며, 삶 그 자체입니다.


말하자면 우리네 삶을 정말 사랑해야 한다는 뜻이지요. 중요한건 인생이란 누구한테나


공평하다는 사실입니다. 인생은 땀 흘리는 만큼 결실을 주는 거니까요.


우리는 '잿빛오후가 약속한 내일의 열매'를 쟁취해야하겠지요.


보르헤스의 <불면>이란 詩에 이런 구절이 나오지요?

***포도주 빛 성긴 구름이 하늘을 모독할 때, 내 무거운 눈꺼풀 너머로 먼동이 터 오리라***


밑줄을 그을 만한 구절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일반 다시 비누의 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전동주 2019.10.16 123
206 일반 행복한 마음 송택정 2018.06.21 142
205 일반 산성비누 만들기가 어려운 이유? 전동주 2019.10.16 142
204 일반 의약화학 관점에서 본 구충제의 항암효과 전동주 2019.12.26 152
203 공지 예쁜 사랑을 이어가는 10가지비법 부쓰 2018.10.23 155
202 일반 바둑과 뇌신경계 전동주 2019.12.26 182
201 일반 유기화학 자율합성 로봇 등장하나 전동주 2019.12.26 267
200 일반 아이스와인이 더 맛있는 이유는? 전동주 2019.10.16 288
199 일반 지무재수필을 읽고 2 산에꽃 2020.11.18 391
198 일반 물은 100 도에서 끓지 않는다? 전동주 2019.10.16 930
197 몇 권의 책이 사는 것을 행복하게 1 신동찬 2012.09.24 1632
196 8.16(목) 10시, 장대익 초청 강연회 - 다윈의 식탁 1 강장미 2012.08.14 1660
195 詩人憂詩 不當憂貧 1 박성일 2012.10.29 1685
194 적정기술 이중훈 2012.08.23 1692
193 외상사절 4 이병록 2012.02.04 1700
192 잠시 활동을 접으며... 9 임석희 2012.08.29 1707
191 함정에 빠져 계시는군요 1 우현종 2012.08.29 1717
190 걷는다는 것에 대하여 7 이기두 2012.08.06 1720
189 신입의 다짐 3 홍성욱 2013.03.05 1723
188 일한다는 것에 대하여 6 이기두 2012.08.06 1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