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공지
2008.02.05 01:46

세월의 가속도

조회 수 3774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제 계룡산 산행시 박문호 박사님께서 말씀하신 디테일의 심리학에 대한 말이 떠오른다. 사람들이 의식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들중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 많다고 한다. 항상 새로운 경험을 할때마다 그 행동이 불러오는 결과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디테일한 사고를 할수 있다면 조금더 윤택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매순간 생각하고 사고하는 습관이 되어 작은것에도 큰 의미를 발견할수 있다면 하루하루가 다르게 느낄수 있을것이고 시간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보장해 줄것이다.

 

누구에게나 세월에는 가속도가 있다. 어렸을적에는 시간이 더디게 흐르는것 같았지만 나이가 들면 들수록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가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똑같은 시간이 세월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느껴질수가 있는 것일까?

 

네덜란드의 심리학자 다우베 드라이스마의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 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늙어서는 젊은 시절의 기억, 13살~25살까지의 일을 많이 회상하게 된다고 한다. 그때 중요한 일들(갖가지 첫 경험들, 자아정체성에 기여하는 일들)이 많이 있었고, 그 이후부터는 점점 별거 없는 하루하루의 반복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변화없는 하루하루는 현재는 지루해서 늦게 흐르지만 뒤를 돌아봤을 때는 그 하루하루들이 마치 하나로 겹쳐진 것과 같이 인식되어서 "벌써 1년이나갔어! (난 한게 없는데!)" 이렇게 되는것이다.

 

세월의 가속도를 늦추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방법은 간단하다. 신선한 체험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강렬한 기억이 익숙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도  늘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분 일초가 나에게 가장 값진 시간이라고 인식하는것..누구나 알고 있지만 누구나 그렇게 하지는 못한다.

 

인생을 머나먼 길에 비유한다면, 인간을 미아로 만드는 것은 관성이 아닐까..주위의 풍경들을 세심하게 살피고, 그것들과 교감하는 사람이 길을 잃는 법은 없다. '주어진 시간마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 과 '생각없이 허송세월을 하는 사람'은 똑같은 시간을 보내고도 기억하는 것이 다를것이다. 만약 미카엘 엔데가 쓴 '모모'라는 책에서 처럼 시간을 사고 팔수가 있다면 기억할 것이 많은 사람에게 더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을까..

 

기억할 것이 많은 사람에게 시간은 천천히 흐른다...
  • ?
    이병록 2008.02.05 01:46
    그래도 주5일 근무가 6일 근무에 비해서 1주일이 후딱 지나갑니다.
  • ?
    송근호 2008.02.05 01:46
    시간의 가속도는 개인의 Emotional 한 측면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판단 또는 욕구에 따라

    시간은 정지또는 화살과 같이 속도를 달리 하는 게 아닐까요? 전재영님..!^^:
  • ?
    전재영 2008.02.05 01:46
    그렇지요..지극히 개인적인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박문호 박사님이 말씀하셨던 것 처럼
    우리가 의식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해서 생각하려는 노력을 해야하는 것이 아닐까요?
    인간은 1분 1초의 삶에 질문을 던질수 있는 책임을 부여 받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 기억의 흐름은 무엇보다 강렬하게 다가올테니깐요..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면서
    겪는 아픔의 기억또한 매순간 순간 질문을 하고 답을 내는 과정이잖아요? 그 시간은
    상대적으로 그 당사자한테는 기~인 시간일 것입니다..그 굴레에서 벗어나기 전까지는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공지 옥수 4 문경목 2007.12.06 3424
126 공지 세상 참 좋아졌어! 4 김민경 2007.12.04 3406
125 시간은 환상인가, 현실인가 - 과학의 근본 문제 2 고원용 2013.05.12 3346
124 어떤 야합에 대해 전광준 2010.08.05 3247
123 [스위스] 1. 체르마트 - 마터호른이 보이는 마을 6 이정원 2010.07.31 3236
122 아버지의 주례사 15 file 이병록 2012.06.04 3159
121 공지 [re] 균형독서 포트폴리오에 답하며 3 김하늘 2009.03.16 3117
120 [스위스] 0. Intro - 열흘 간의 스위스 여행 13 이정원 2010.07.05 3082
119 <뇌 이데올로기>를 아십니까 8 미선 2013.04.05 3006
118 토론(혹은 논쟁)의 기술 3 미선 2013.08.29 2904
117 [스위스] 3. 라보 포도밭 - 세계자연유산의 명품 와인 2 이정원 2010.08.01 2902
116 독서의 5단계說 4 강신철 2009.06.02 2881
115 책을 위한 공간으로 다듬고 싶다 1 file 송병국 2009.03.27 2873
114 [스위스] 4. 체르마트 - 클라인 마터호른 전망대 7 이정원 2010.08.01 2854
113 침팬지가 느끼는 동료의 죽음 5 file 이기두 2010.05.02 2845
112 "왜 예수인가" (예수운동의 밈Meme) 미선 2013.04.27 2794
111 학문을 도시에 비유하면..? ^^ 3 장종훈 2009.05.01 2793
110 '외국어로 생각'하는 것이 도덕적 판단에 영향 1 고원용 2014.05.26 2748
109 [스위스] 5. 아스코나 - 재즈아스코나 페스티벌 10 이정원 2010.08.03 2745
108 <자유>에 대한 짧은 생각.. 1 미선 2013.09.05 27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