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4.12.26 23:55

김대식의 빅퀘스천

조회 수 36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77
저자 김대식 교수
출판사 동아시아
발표자 김대식 교수
일자 2015-02-06
장소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시간 저녁7시 30분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6262088X


<
김대식의 빅퀘스천> 2월 6일 강연 안내


백북스의 많은 분들께서 기다려 온 강연이 드디어 준비되었습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스스로에게 물었던 질문을
뇌과학자인 김대식 교수님과 함께 풀어 봅니다.

2015년 신년의 첫 강연
!
많은 분들이 오셔서 함께 하면 좋겠습니다. 2월6일은 백북스 하세요~~!



강 연 자 : 김대식 교수(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날 짜 : 20152월 6 (금요일) 저녁 730


장 소 : 템플스테이(3)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입 장 료 : 1만원 (학생 5천원)



저자
: 김 대 식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기공학과 교수이며 신경과학과 신경공학, 사회신경과학, 인공 지능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뇌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MIT에서 뇌인지과학 박사후 과정을 밟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조교수, 보스턴대학교 부교수로 근무했다.
지은 책으로
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공부 혁명, 진심은 어떻게 전해지는가(공저) 과학적 사유와 인간이해(공저) 등이 있다


 


책 소개

문학, 과학, 철학, 신화를 가로지른 지금 여기, 최선의 지혜.

3장으로 나뉜 책은 삶의 의미와 철학, 신화를 주제로 한 1부와 사회, 역사, 가치의 문제를 다룬 2, 과학과 미래, 인공지능을 다룬 3부로 구성된다...

저자는 서사의 언어인 인문학과 이성, 논리, 법칙의 언어인 자연과학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과 사회, 역사 전반에 깔린 전인적이며 창의적인 잠재력을 발휘한다.

뇌과학자 김대식의 31가지 질문과 대답은 뇌가 현실을 이해하는 방식, 그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와 사회와 가치가 세워져온 시간을 통찰하고, 나아가 과학 기술에 기반한 미래,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또한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혹은 전문적인 예술 영역으로 여겨졌던 100장의 그림, 사진, 연극, 영화의 이미지들이 실려있어 저자 메시지의 이해를 돕는다... (출판사 리뷰 )



책 차 례


삶은 의미 있어야 하는가 


1 존재는 왜 존재하는가
2 우리는 왜 먼 곳을 그리워하는가
3 원인이란 무엇인가
4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5 친구란 무엇인가
6 삶은 의미 있어야 하는가
7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8 무엇이 환상이고 무엇이 현실인가
9 인간은 왜 죽어야 하는가
10 운명이란 무엇인가
11 영혼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정의를 기대하는가

12 진실은 존재하는가
13 인간은 무엇을 책임질 수 있는가
14 우리는 왜 정의를 기대하는가
15 민주주의는 영원한가
16 로마는 정말 멸망했는가
17 왜 서양이 세계를 지배하는가
18 인간은 왜 유명해지고 싶어 하는가
19 우리는 누구인가
20 소유란 무엇인가
21 가축은 인간의 포로인가


만물의 법칙은 어디에서 오는가

22 우리는 왜 사랑을 해야 하는가
23 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
24 시간은 왜 흐르는가
25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가
26 만물의 법칙은 어디에서 오는가
27 노화란 무엇인가
28 정보란 무엇인가
29 마음을 가진 기계를 만들 수 있는가
30 인간은 기계의 노예가 될 것인가
31 인간은 왜 필요한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8 자연과학 통찰의 시대 file 홍경화 2015.09.30 1895 86 에릭 켄달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10-30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오후 7시 30분
57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56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17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55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54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53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17 file 홍경화 2013.02.25 8411 54 윌리엄 데이먼 한국경제신문 한혜민(공역자,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2013-03-19 하자센터(5호선 영등포시장역 1번 출구 or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저녁 7시
52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393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51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50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49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 2 file 홍경화 2016.07.29 2029 95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6-08-19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8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0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47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 2 file 홍경화 2011.03.27 12976 31 이강영(건국대 물리학부 교수) 사이언스북스 이강영(건국대 물리학부 교수) 2011-04-29 조계종 건너편 템플스테이 3층 '보현' 교육장 저녁 7시
46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45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11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4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43 자기와 자기실현 5 file 송윤호 2010.06.01 8873 20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한길사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2010-06-23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42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1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41 지식의 대융합 1 file 송윤호 2010.10.04 8715 24 이인식 고즈윈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 2010-10-25 배움아카데미 저녁 7시
40 자연과학 생물학 산책 file 홍경화 2015.04.28 1813 81 이일하 궁리 이일하 교수(서울대 생물학) 2015-05-29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39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홍경화 2014.12.05 5567 76 이종필 동아시아 이종필 교수 (저자) 2014-12-23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년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