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4.09.02 02:34

우주의 끝을 찾아서

조회 수 58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73
저자 이강환
출판사 현암사
발표자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일자 2014-09-26
장소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시간 오후 7시 30분

http://www.yes24.com/24/goods/13113686

책소개

우주의 끝을 찾는 여행은 우주의 시작과 미래를 동시에 만나는 가슴 뛰는 여정이다. 과거에서 온 ‘빛’에만 의지하여 끈질기게 거리를 측정해서 우주의 나이(무려 138억 년!)를 알아내고, 어떤 우주에서 살고 있는지 탐구한다. 풍부한 자료와 스토리를 바탕으로 재미있게 천문학을 소개하는 이 책은 한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내려놓기 어렵다! “번역서가 주를 이루는 지금 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 국내 저자의 책은 뜻 깊은 사례”(이형목 교수)이기도 하다. 

이 책은 학생들에게 추상적으로만 생각하던 과학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과학자는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해 호기심을 자극할 뿐 아니라, 탐구에 대한 열정을 안겨줄 것이다. 그리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머리 위로 펼쳐진 우주에 대한 가슴 벅찬 희열을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우주의 미래뿐 아니라 천문학자들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먹고사는’ 데 관계없는 이 탐구 과정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저자 소개

저자 : 이강환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영국 켄트 대학에서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로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 재직하면서 천문 분야와 관련된 시설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와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공역), 『우리 안의 우주』 등이 있다.

목차

추천사_ 우주는 어디로 가고 있나? 이형목 
책머리에 

Ⅰ. 가속 팽창하는 우주
1.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 
2. 빈 공간에서 나오는 에너지? 

Ⅱ. 우주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1.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다 
2. 표준 광원 
3. 커지는 우주 
4. 잘못된 거리 측정과 허블 상수 
5. 우리는 모두 별의 잔해 
6. 초신성과 별의 죽음 
7. 거리 측정의 열쇠, Ia형 초신성 

Ⅲ.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1. 초신성 탐색을 시작하다 
2.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팀’의 구성 
3. 누가 더 좋은 망원경을 더 오래 사용하는가 
4. 초신성, 확실한 표준 광원이 되다 
5. ‘높은 적색편이 초신성 탐색 팀’의 추격 
6. 더욱 정교해진 거리 측정 방법 
7.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팀의 앞선 성과들 
8. 감속 팽창하는 우주? 
9. “안녕, 람다”
10. 노벨상 공동 수상으로 끝난 두 팀의 경쟁 
11. 암흑물질과 우주의 줄다리기 

Ⅳ. 우주는 정말 가속 팽창하는가?
1. 검증대에 오른 Ia형 초신성 
2. 이상한 먼지들? 
3. 멀리 더 멀리 
4. 우주배경복사와 빅뱅 우주론 
5. 우주 탄생의 비밀을 간직한 우주배경복사 
6. 인플레이션 우주론, 빅뱅 이론의 한계를 해결하다 
7. 또 하나의 가속 팽창의 근거, 은하들의 분포도 
8. 우주의 미래, 그리고 암흑에너지의 정체는? 

참고문헌 
찾아보기 
닫기

출판사 리뷰

안드로메다은하와 우리은하가 충돌한다고?
전 세계 교과서의 내용을 바꾼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빅뱅 뒤 급팽창, 우주배경복사, 중력파,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지금 천문학계의 가장 ‘핫한’ 이론을 단숨에 읽는다

전설적인 명작 ‘코스모스’가 새 옷을 입고 방송되고 있어 화제다. 멋진 외계인이 주인공인 드라마(별에서 온 그대)가 최고의 인기를 얻고, 우리나라에 운석이 떨어져 시선을 모았다. 그리고 빅뱅 직후 인플레이션의 증거 발견!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우주의 비밀을 한 꺼풀 벗겨낸 대단한 한 세기의 사건이다. ‘먹고사는 데 관계없는’ 우주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에 한 가지 해답을 줄, 커피 한 잔의 여유에 재미있게 읽는 정말 쉬운 최신 천문학!

우주는 무한한 작은 점에서 태어나 팽창하고 있다. 그것도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는 사실은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뀐 것만큼이나 역사적인 사건이다. 모든 과학자의 예측을 뒤엎은 ‘우주 가속 팽창’은 증명되지 않은 채 발견한 사실 자체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아이들이 밤하늘을 보는 시선을 바꿔버린 발견을 분야 최초 국내 전공 저자의 집필로 그 과정을 꼼꼼하게 만나본다. 이 책은 우주의 미래뿐 아니라 천문학자들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먹고사는’ 데 관계없는 이 탐구 과정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친절한 천문학자가 소개하는 ‘달아나는 우주’ 따라잡기

공중으로 공을 던져 올리면 공은 속도가 점점 줄어들다가 다시 땅으로 떨어진다. 그런데 공중으로 던진 공이 속도가 줄어드는 대신 오히려 점점 빨라져서 우주로 날아가버린다면? 어떤 경우에도 속도가 점점 빨라질 수는 없다. 그런데 실제로 우주에서는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바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는 어떤 모양의 우주에 살고 있을까? 나중에는 어떻게 생긴 우주에서 살게 될까? 빅뱅은 무엇인가? 암흑물질, 암흑에너지는 도대체 무엇일까? 빅뱅 뒤 급팽창은 무엇일까? 우주가 태어난 이래 가장 큰 미스터리를 푼다!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은 수많은 과학자들이 연구 결과를 나누고, 경쟁하고, 끈질기게 관찰한 끝에 만들어낸 아름다운 결과다. 이 책은 장황한 수식 없는, 각주 없는, 그들만의 외계(?) 언어 없는, 과학자들이 오로지 노력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꾼 이야기다.

우주의 끝을 찾는 여행은 우주의 시작과 미래를 동시에 만나는 가슴 뛰는 여정이다. 과거에서 온 ‘빛’에만 의지하여 끈질기게 거리를 측정해서 우주의 나이(무려 138억 년!)를 알아내고, 어떤 우주에서 살고 있는지 탐구한다. 빅뱅 이후 우주가 어떻게 팽창해왔는지 알아내려는 이 노력은 조금이라도 더 멀리 있는 은하의 거리를 조금이라도 더 정확하게 측정하는 과정의 연속이다. 우리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 별과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무수히 많은 과학자들이 관측하고 검증하여 쌓아 놓은 벽돌 위에 또 하나의 벽돌을 올려가는 무한히 성실한 과정이다.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역시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었던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팀’과 ‘높은 적색편이 초신성 탐색 팀’의 경쟁과 밤샘 관찰이 이루어낸,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한 편의 드라마다. 많은 사람들이 연구 결과에 환호하지만 직접 관측하고 연구하는 과정을 살피면 ‘결과의 놀라움’ 이상으로 일상의 영감을 얻고 감동받게 될 것이다. 풍부한 자료와 스토리를 바탕으로 재미있게 천문학을 소개하는 이 책은 한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내려놓기 어렵다! “번역서가 주를 이루는 지금 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 국내 저자의 책은 뜻 깊은 사례”(이형목 교수)이기도 하다. 

과학적인 관점을 익히는 것은 창의적인 사고를 펼치기 위한 튼튼한 기반이다. 가설을 세우고 이론을 증명해나가는 과정을 파악하면서 읽으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학생들에게 추상적으로만 생각하던 과학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과학자는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해 호기심을 자극할 뿐 아니라, 탐구에 대한 열정을 안겨줄 것이다. 그리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머리 위로 펼쳐진 우주에 대한 가슴 벅찬 희열을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끝이 없을지도 모르는 탐구 과정들, 이것이 바로 우주를 탐사하며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즐거움이 아닐까. 지구에 발을 딛고 고개를 들어 별을 관찰한 먼 옛날부터 시작된 ‘138억 광년의 탐험’은 계속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98 이보디보 file 홍경화 2011.05.04 8959 32 Sean B. Carroll 저/김명남 역 지호 엄준호 박사(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5-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 30분
97 현대예술 5 file 홍경화 2012.07.02 20472 4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7-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96 자연과학 고대예술(형이상학적 해명) 2 file 김홍섭 2016.02.04 12625 89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교수 2016-02-2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0번지 미금파크빌딩 오피스텔 703호 오후5시
95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file 홍경화 2017.06.01 369 105차 제랄드 폴락 지식을 만드는 지식 김홍표 (아주대 약학대 교수) 2017-06-30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저녁 7시30분
94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93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9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92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5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91 자연과학 생명의화학, 삶의화학 6 file 박용태 2009.04.29 8618 7 김희준 자유아카데미 김희준 교수 2009-05-29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90 뇌.인지 과학 심포지움 6 file 박용태 2010.03.08 10667 17 참가신청 자유게시판 공지글에 신청하세요 조장희 박사 외5명 2010-03-27 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11:00~18:30
89 자연과학 빨강 보기- 의식의 기원 file 한정규 2014.07.01 7305 71 니콜러스 험프리 이음 한정규 회원 2014-07-25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 30분
88 이기적 유전자 file 홍경화 2011.09.02 8950 36 리처드 도킨스 을유문화사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9-30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7시30분
87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6 file 박인순 2013.02.04 7287 53 헤닝 엥겔른 을유문화사 이정모 2013-02-22 서울 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19~21시
86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76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85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file 홍경화 2018.09.07 2216 118 김홍표 위즈덤하우스 김홍표 2018-09-28 한국인성개발원(고영빌딩 7층. 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나오자 마자 왼쪽에 보임) 저녁 7시 30분
84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46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83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82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21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1 자연과학 빅뱅 2 관리자 2009.02.02 6476 4 사이먼싱 영림카디널 곽영직 교수 2009-02-27
80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8 file 이병록 2012.10.31 8031 50 김운회 교수 역사의아침 김운회 교수 2012-11-30 조계사 템플스테이 교육관(3층)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9 인지과학혁명 file 홍경화 2010.12.20 12588 27 사에키 유타카 에이콘 출판사 이정모 교수 2011-01-26 광화문 교보문고 내 배움아카데미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