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4.04.29 23:59

언어의 탄생

조회 수 74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9
저자 필립 리버만
출판사 글로벌콘텐츠
발표자 김형엽 교수
일자 2014-05-30
장소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8567443?scode=032&OzSrank=4

2014530일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선정도서는

필립 리버만 (Philip Lieberman)언어의 탄생입니다.

이 책의 역자이신 김형엽 교수님께서 강연해 주십니다
 


날 짜 : 2014530(금요일) 저녁 730


장 소 : 템플스테이(3)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 출구)


입 장 료 : 1만원 (학생 5천원)


강 연 자 : 김형엽 교수 (고려대 영문학과)


 


강 연 자(이 책의 역자) : 김 형 엽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에서 영어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영문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일본 中央大學校 人文科學 硏究所 객원교수, 현대영어교육학회 회장, 고려대학교 국제어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인간과 언어, 영문법의 실체와 이해, 언어의 산책, 고등학교 교과서등이 있다.



책 소 개

언어의 탄생은 세계적인 음성학의 권위자 필립 리버만 교수가 25년 동안의 연구를 집대성한 언어학 책이다. 저자는 진화론의 중요 요소인 자연도태를 토대로 복잡한 사고내용을 전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발성기관의 원활한 동작에 기초가 되지 못했던 초기 인류의 두뇌가 기민하게 작동되는 현대인간의 두뇌로 진화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논의한다. (교보문고 인용)


 


저 자 : 필립 리버만 (Philip Lieberman)


음성학을 전공. 연구를 지속하면서 언어의 진화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인간의 음성기관이 어떻게 진화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매사추세츠공대 전자공학 분야에 진학하였지만, 언어학 분야로 전과하면서 1966년에 억양에 대한 학위논문으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7년에 코네티컷 대학에서 근무를 시작하였고, 1974년부터는 브라운대학에서 교편생활을 시작하였다. 1999년부터 지금까지 브라운대학 인지언어학과 및 인류학과 양쪽 학과의 소속 교수로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목 차


1장 두뇌구조, 행동 그리고 회로


2장 인간의 말


3장 최신화된 인간 두뇌


4장 두뇌사전


5장 말하기 학습과 사고


6장 문화 그리고 이타적 행위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93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1 file 홍경화 2011.01.29 12645 28 김용규 박사 휴머니스트 김용규 박사 2011-02-11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시
92 자연과학 느끼는 뇌 1 file 송윤호 2011.03.04 12854 30 조셉 르두 (최준식 역) 학지사 최준식 교수 2011-03-25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1 자연과학 홍성욱의 과학에세이 file 박용태 2009.06.03 8474 8 홍성욱 동아시아 홍성욱 교수 2009-06-26 서울 조계사(맞은편) 템플스테이센터 3층 교육관 오후 7시
90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89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88 미토콘드리아 3 file 박용태 2009.06.29 10042 9 닉 레인 뿌리와 이파리 박문호 박사 2009-07-31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저녁 7시
87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86 모바일 이노베이션 1 file 홍경화 2010.11.02 9863 25 김지현 21세기북스 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2010-11-28 용산역 4층 KTX 별실 회의실 오후 4시
85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1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84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file 박용태 2009.08.31 9370 11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교수 2009-09-25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83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82 다윈의 식탁 file 박용태 2009.11.30 10815 14 장대익 김영사 장대익 교수 2009-12-18 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81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02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80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28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79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8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78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69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77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799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76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0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75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44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74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89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