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4.02.02 20:35

퀀텀스토리

조회 수 65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6
저자 짐 배것 (Jim Baggott)
출판사 반니
발표자 이강영(경상대 물리학과 교수)
일자 2014-02-28
장소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 30분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1185435026

2014년 2월 28일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선정도서는 짐 배것의 『퀀텀스토리』입니다.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과 《보이지 않는 세계》 저자로서 서울백북스에서 이미

두 차례 명강을 해주셨던 이강영 교수님께서 다시 한번 강연을 해 주십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하셔서 더욱 기쁜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날     짜  : 2014년 2월 28일 (금요일) 저녁 7시 30분

장     소  : 템플스테이(3층)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 출구)


입 장 료  : 1만원 (학생 5천원)






강연자 : 이 강 영



1988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이론물리학연구센터,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고등과학원 연구원, KAIST, 고려대학교 물리학과와 건국대학교 물리학부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과 《보이지 않는 세계》 등이 있다. 이 책 <퀀텀스토리>의 해제를 직접 쓰셨다.




책소개



양자역학 100년 역사의 결정적 순간을 담은『퀀텀스토리』. 정교한 논리로 구축되어 우주와 물질을 설명하는데 성공적으로 적용되는 양자역학의 활약과 그 실체와 의미를 우리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를 고민하게 되는 양자역학의 문제들을 소개하고 있다. (교보문고)





저자 : 짐 배것 (Jim Baggott)



과학과 과학사 및 과학철학에 관한 글들을 주로 쓰며 과학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물리화학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이수하였다. 영국 리딩대학교 화학과에서 얼마간 강의를 하였으나, 상업적 세계에서 경험을 쌓기 위해 종신 교수직을 포기하고 셸 사(Shell International Petroleum Company)로 자리를 옮겨 비즈니스 컨설턴트와 교육 전문가로 일해왔다. 저서로 《힉스(Higgs)》, 《원자(Atomic)》, 《관측을 넘어서(Beyond Mesure)》, 《진실로 가는 초보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A Beginners Guide to Reality)》 등이 있다.




역자 : 박병철



연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초빙교수이며 번역 및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엘러건트 유니버스》, 《우주의 구조》, 《평행우주》, 《미래의 물리학》, 《멀티 유니버스》 등




목차


프롤로그 : 폭풍전야 1900년 4월, 런던




제1부 작용양자 : 양자역학의 탄생

1900년에 있었던 막스 플랑크의 발견부터 아인슈타인의 광양자가설과 보어의 원자모형, 루이 드 브로이의 파동-입자이중성가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 그리고 볼프강 파울리의 배타원리 등 초기 양자역학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다. 1925년 ‘에로틱한 폭탄선언’으로 유명했던 에르빈 슈뢰딩거의 파동역학도 다룬다.



1. 필생의 역작


2. 기적의 해


3. 약간의 진실


4. 코메디 프랑세즈


5. 기묘하고도 아름다운 내부


6. 스스로 회전하는 전자


7. 에로틱한 대사건




제2부 양자적 해석

양자역학에 대한 코펜하겐 학파의 관점을 다룬다. 슈뢰딩거방정식이 발표된 직후, 보어와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는 양자도약의 실체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고, 그 와중에 하이젠베르크는 ‘불확정성원리’라는 놀라운 결론에 도달했다. 그 후 1926년에 막스 보른은 슈뢰딩거의 파동함수에 물리적 해석을 내렸으며, 1927년 9월에 이탈리아 코모 호 근처에서 개최된 보어의 강연은 양자역학의 앞날을 결정하는 이정표가 되었다.


9. 빌어먹을 양자도약!

10. 불확정성원리


11. 코펜하겐 정신


12. 존재하지 않는 양자 세계




제3부 양자 논쟁

초기 양자역학의 원조 중 한 사람이었던 아인슈타인은 후에 양자역학의 가장 신랄한 비판자가 되었다. 보어와 아인슈타인의 논쟁은 과학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격렬하면서 의미심장했다. 1927년 제5회 솔베이회의에서 아인슈타인이 제안한 사고실험을 소개하고, 1935년에 발표된 아인슈타인-포돌스키-로젠의 이론과 유명한 슈뢰딩거의 고양이 역설을 다룬다. 또한 물리학자들 사이에 ‘절대적 경외감’을 불러일으켰던 폴 디랙의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간략히 소개한다.


13. 논쟁의 시작


14. 경이로움의 극치


15. 광자상자


16. 청천벽력


17. 슈뢰딩거의 고양이 역설


막간 제1차 물리학전쟁


1938년 크리스마스~1945년 8월




제4부 양자장

양자역학이 기본입자의 세계에 적용되어 양자장이론이 만들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기본입자를 묘사하는 표준모형이 출현하는 과정이 그려진다....이후 1963년 머리 겔만이 쿼크와 자발정 대칭성 붕괴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1967년에 피터 힉스가 힉스 메커니즘을 도입하면서 이론물리학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18. 셸터 섬


19. 모호한 대상을 생생한 그림으로 표현하다


20. 아름다운 아이디어


21. 약간의 기묘함


22. 머스터마크를 위한 세 개의 쿼크!


23. 신의 입자




제5부 양자적 입자

거대한 가속기 실험에서 표준모형이 검증되어가는 과정을 박진감 있게 그린다...표준모형에는 3세대에 걸친 물질 입자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렙톤(전자와 뉴트리노)과 쿼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자, W, Z, 글루온 등 매개 입자를 통해 상호작용을 교환한다. 그러나 네 가지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인 중력은 아직도 표준모형에 합류하지 못하고 있다.



24. 심층 비탄성산란


25. 맵시 있고 약한 중성흐름


26. 색의 마술


27. 11월 혁명


28. 매개 벡터보존


29. 표준모형




제6부 양자적 실체

양자적 실체가 무엇인가를 놓고 최근까지 벌어진 논의와, 발달된 기술을 이용해 그 미묘한 개념들을 검증하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코펜하겐 해석을 싫어했던 데이비드 봄은 아인슈타인에게 용기를 얻어 아인슈타인-포돌스키-로젠의 역설적 사고실험을 현실 세계에서 구현하고, 전통적인 양자역학의 대안으로 ‘숨은변수이론’을 개발했다. 그 뒤 자연의 물리적 실체를 탐구하는 실험이야기가 이어진다.



30. 숨은 변수


31. 베르틀만의 양말


32. 아스페의 실험


33. 양자지우개


34. 실험실의 고양이


35. 한결같은 환영




제7부 양자적 우주론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하나로 통합한 양자중력이론 또는 ‘만물의 이론’의 가능성을 타진해본다. 이 두 이론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이론이지만,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휠러-디윗 방정식과 정준양장중력, 미래를 향해 열린 주제로서 지금 현재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양자적 우주론 분야와 초끈이론 등을 소개한다.



36. 우주의 파동함수


37. 호킹복사


38. 초끈이론의 1차 혁명


39. 시간과 공간의 양자


40. 위기? 무슨 위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8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57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56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19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55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54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1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53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52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51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2 file 홍경화 2014.04.02 6462 68 호아킨 M. 푸스테르 휴먼사이언스 한정규 회원 2014-04-25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50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49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29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48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47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46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45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44 자연과학 어메이징 그래비티 file 한정규 2015.08.06 1735 84 조진호 궁리 조진호 2015-08-28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43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2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9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41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40 에덴의 강 : 유전자와 진화의 진실 2 file 송윤호 2011.12.04 6589 39 리처드 도킨스 사이언스북스 이일준, 한정규 회원 2011-12-22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30분
39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