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68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4
저자 피터 워드
출판사 뿌리와 이파리
발표자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일자 2013-12-20
장소 템플스테이 ( 종각역 3번 출구 or 안국역 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7072946?Acode=101


12월 20일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선정도서는 피터워드의 <진화의 키, 산소의 농도>
입니다. 지난 2월 서울 백북스에서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강연으로 큰 박수를 받으셨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이정모 박사께서 강연해 주십니다.

아울러 이번 서울백북스 정기모임은 2013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송년회를 겸해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참석하시어 함께 하는 기쁨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날 짜 : 2013년 12월 20일 (금요일) 저녁 7시



장 소 : 템플스테이(3층)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 출구)



입 장 료 : 1만원 (학생 5천원)







강연자 : 이정모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본 대학교 화학과에서 ‘곤충과 식물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했다. 안양대 교양학부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관장으로 있다. 저서로 《바이블 사이언스》, 《삼국지 사이언스》, 《달력과 권력》, 《그리스 로마 신화 사이언스》, 《원소》, 《물질의 반응》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소중한 우리 몸 이야기》, 《놀라운 우리 몸 이야기》, 《매드 사이언스 북》, 《청소년을 위한 교양》, 《생명의 음악》, 《마법의 용광로》가 있다.




책 소개


모든 진화의 방향은 산소의 농도가 결정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동을 보여주는 CEOCARBSULF로 그려낸 진화와 대멸종의 파노라마 『진화의 키, 산소 농도』. 이 책은 동물의 진화라는 5억 4,000만 년 대항해를 산소 농도가 어떻게 조종해왔는지 자세하게 알아본다. 저자는 시간대별 대기의 산소 수준 역사가 지구상에서 동물의 본성-형태와 기본 몸 설계, 생리, 진화사, 다양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가설을 세우고, 동물의 문들 사이에 진화적 변화를 일으킨 주요 자극은 변동하는 산소 수준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적응이었다고 믿는 이유를 연대기 방식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공룡의 사례를 포함한 진화사의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산소 농도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다양한 사례와 치밀한 자료로 입증하며, 행성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의 역사, 그중에서도 지구 대기의 조성, 산소 수준에서 일어난 변화를 살펴보는 기회를 전해준다. (교보문고 책소개 인용 )



목 차
제1장 호흡과 동물의 몸 설계
제2장 시간대별 산소 변화
제3장 진화하던 호흡계가 캄브리아기 폭발의 원인?
제4장 오르도비스기: 캄브리아기 폭발 제II부
제5장 실루리아기-데본기: 산소 급등이 최초의 육지정복을 허락하기까지
제6장 석탄기-페름기 초: 저산소, 불, 거구들
제7장 페름기 멸종과 내온성의 진화
제8장 트라이아스기
제9장 쥐라기: 저산소 세계를 제패한 공룡
제10장 백악기 멸종과 대형 포유류의 부상
제11장 우리가 산소의 미래를 두려워해야 할까?


저자 : 피터 워드 Peter Ward
백악기-제3기 대멸종,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등 지구상의 대멸종을 전공한 고생물학자로서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의 지구우주과학 학부 교수이며, 동물학과 천문학 겸임교수이기도 하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미항공우주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맥마스터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연구하거나 가르쳤다. 『진화의 종말The End of Evolution』(1995), 『희귀한 지구Rare Earth』(2000), 『행성 지구의 삶과 죽음The Life and Death of Planet Earth』(2003), 『우리가 모르는 생명체Life as We Do Not Know It』(2005), 『푸른 하늘 아래서Under a Green Sky』(2007), 『물에 잠긴 지구The Flooded Earth』(2010) 등 여러 저서가 있다.



역자 : 김미선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한 후 대덕연구단지 내 LG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숙명여대 TESOL 과정 수료 후 영어강사로 일하기도 했다. 뇌과학에 특히 관심이 많으며, 현재 과학 분야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의식의 탐구』, 『기적을 부르는 뇌』, 『뇌과학의 함정』 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9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홍경화 2014.12.05 5567 76 이종필 동아시아 이종필 교수 (저자) 2014-12-23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년 7시 30분
108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6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107 불멸의 이론 file 홍경화 2014.10.02 5323 7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4-10-31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30분
106 자연과학 칼세이건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5.06.05 1846 82 칼세이건 사이언스북스 이명현(천문학 박사) 2015-06-26 템플스테이(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105 자연과학 이종필의 아주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 4 file 홍경화 2015.06.30 2441 83 이종필 동아사이언스 이종필 (물리학 박사) 2015-07-17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7시30분
104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2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103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102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홍경화 2016.12.03 538 99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16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 6번출구) 저녁7시30분
10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5 file 홍경화 2016.07.03 1612 94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6-07-22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100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69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99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0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98 김대식의 빅퀘스천 file 홍경화 2014.12.26 3682 77 김대식 교수 동아시아 김대식 교수 2015-02-06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저녁7시 30분
97 자연과학 리비트의 별 file 홍경화 2016.11.03 351 98 조지 존슨 (George Johnson) 궁리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2016-11-25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 30분
96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95 공감의 시대 5 file 홍경화 2011.02.15 12153 29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백북스 운영위원, 대전 한마음정신병원 원장) 2011-02-25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
94 멀티 유니버스 (원제 : The Hidden Reality, 2011) 8 file 홍경화 2012.02.29 7446 42 브라이언 그린 김영사 이종필 박사(물리학) 2012-03-30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30분
93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38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92 자연과학 물리학 클래식 : 물리학 원전을 순례하다 5 file 박용태 2012.09.05 7014 48 이종필 박사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박사(물리학 박사/입자물리학 전공) 2012-09-2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91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90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8 file 이병록 2012.10.31 8027 50 김운회 교수 역사의아침 김운회 교수 2012-11-30 조계사 템플스테이 교육관(3층)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