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3.09.03 03:14

과학을 성찰하다

조회 수 769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1
저자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표자 임경순 교수
일자 2013-09-27
장소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3715405&start=slayer

입장비^^
일반 : 만원
학생 : 오천원



책소개

한 권으로 담아낸 현대 과학 기술의 역사, 그리고 융합의 미래. 이 책의 주된 내용은 20세기 과학의 업적들이다. 1859년 다윈의 진화론 발표에서 1905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1926년 슈뢰딩거의 파동 역학, 1948년 가모브의 대폭발 이론, 1975년 에드워드 윌슨의 사회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이 책에는 현대인의 삶을 바꾸어 놓은 과학 기술에 얽힌 이야기가 가득하다.


현대 물리학의 총아라고 불리는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으로 시작된 물질 세계에 대한 연구는 원자·쿼크·뉴트리노 등 극미 세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성과를 올렸다. DNA 이중 나선의 실체를 밝혀내 인간 유전체 계획이 추진되고 1968년 미국 국방성이 핵전쟁에 대비코자 개발한 인터넷이 정보 통신 혁명의 불을 댕긴 것도 20세기 과학이 이뤄낸 업적이었다. 저자는 기업, 사회, 국가, 예술이라는 시각을 넘나들며 이런 업적의 이면에 어떤 요소가 작용했는지를 밝힌다.



목차


1부 현대 과학의 여명


 1장| 현대 과학의 고향, 괴팅겐
 2장| 핵 과학의 출현
 3장| 상대성 이론의 기원과 형성 
 
 4장| 양자 역학적 세계관의 형성 
 
 5장| 현대 우주론의 발전

 6장| 현대 생명 과학의 발전

2부 과학 기술과 산업

 7장| 정보 통신이라는 새로운 기술

 8장| 산업과 연구의 결합
 9장| 화학 공업과 연구 개발: 듀폰 사의 경우
 10장| 첨단 과학 산업 단지의 성장
 11장| 정보 통신 혁명에서 인터넷까지

3부 과학 기술은 국가를 등에 업고

 12장| 독일 제국의 과학 기술 연구 체계

 13장| 과학의 미국식 발전

 14장| 대학과 국가: MIT와 칼텍 

 15장| 과학 기술과 국방 연구
 16장| 노벨상으로 가는 길

4부 과학 성찰의 새로운 진화 

 
17장| 과학 기술은 언제나 변화한다
 
18장| 거대 과학의 시대
 
19장| 환경 사상의 부상
 
20장| 과학 기술과 예술의 만남
 
21장| 새로운 과학관


 


저자 : 임경순


: 서울 대학교 자연 과학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과학사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 브리태니커 과학 담당 책임 연구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융합문화사업단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과 한국과학기술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포항 공과 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과학사 교수(물리학과 및 환경공학부 겸임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20세기 과학의 쟁점』, 『21세기 과학의 ... 서울 대학교 자연 과학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과학사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 브리태니커 과학 담당 책임 연구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융합문화사업단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과 한국과학기술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포항 공과 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과학사 교수(물리학과 및 환경공학부 겸임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20세기 과학의 쟁점』, 『21세기 과학의 쟁점』, 『현대물리학의 선구자』, 『100년 만에 다시 찾는 아인슈타인』, 『과학사 신론』(공저), 번역서로 『과학과 인간의 미래』가 있다.『현대 사회와 과학』(http://www.postech.ac.kr/press/mss), 『과학사 개론』(http://www.postech.ac.kr/press/hs)을 전자책으 로 출간하기도 했다.


  • ?
    경호연 2013.09.03 03:14
    책을 열심히 읽고 있어야겠습니다. 아직 반도 못읽었네요 ^
  • ?
    이기두 2013.09.03 03:14
    과학사와 과학철학까지 폭넓게 펼쳐보여 주신 강의가
    감동이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18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file 홍경화 2018.07.18 346 116 마쓰오 유카타 동아엠앤비 이정원( 전자통신연구원 선임 연구원) 2018-07-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117 자연과학 리비트의 별 file 홍경화 2016.11.03 351 98 조지 존슨 (George Johnson) 궁리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2016-11-25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 30분
116 자연과학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 (Our Mathematical Universe) file 홍경화 2017.05.08 358 104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동아시아 김낙우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2017-05-26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전성기 캠퍼스' 저녁 7시30분
115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file 홍경화 2017.06.01 359 105차 제랄드 폴락 지식을 만드는 지식 김홍표 (아주대 약학대 교수) 2017-06-30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저녁 7시30분
114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8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113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112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393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111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16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110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28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109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0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108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89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107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17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106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29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05 자연과학 우주, 시공간과 물질 file 홍경화 2017.04.08 535 103 김항배 컬처룩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2017-04-28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오후 7시30분
104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홍경화 2016.12.03 538 99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16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 6번출구) 저녁7시30분
103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02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02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69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101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2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100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99 인문사회 인간존재의 의미 file 홍경화 2016.08.29 1185 96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한음 (역자) 2016-09-30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