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3.09.03 03:14

과학을 성찰하다

조회 수 769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1
저자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표자 임경순 교수
일자 2013-09-27
장소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3715405&start=slayer

입장비^^
일반 : 만원
학생 : 오천원



책소개

한 권으로 담아낸 현대 과학 기술의 역사, 그리고 융합의 미래. 이 책의 주된 내용은 20세기 과학의 업적들이다. 1859년 다윈의 진화론 발표에서 1905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1926년 슈뢰딩거의 파동 역학, 1948년 가모브의 대폭발 이론, 1975년 에드워드 윌슨의 사회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이 책에는 현대인의 삶을 바꾸어 놓은 과학 기술에 얽힌 이야기가 가득하다.


현대 물리학의 총아라고 불리는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으로 시작된 물질 세계에 대한 연구는 원자·쿼크·뉴트리노 등 극미 세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성과를 올렸다. DNA 이중 나선의 실체를 밝혀내 인간 유전체 계획이 추진되고 1968년 미국 국방성이 핵전쟁에 대비코자 개발한 인터넷이 정보 통신 혁명의 불을 댕긴 것도 20세기 과학이 이뤄낸 업적이었다. 저자는 기업, 사회, 국가, 예술이라는 시각을 넘나들며 이런 업적의 이면에 어떤 요소가 작용했는지를 밝힌다.



목차


1부 현대 과학의 여명


 1장| 현대 과학의 고향, 괴팅겐
 2장| 핵 과학의 출현
 3장| 상대성 이론의 기원과 형성 
 
 4장| 양자 역학적 세계관의 형성 
 
 5장| 현대 우주론의 발전

 6장| 현대 생명 과학의 발전

2부 과학 기술과 산업

 7장| 정보 통신이라는 새로운 기술

 8장| 산업과 연구의 결합
 9장| 화학 공업과 연구 개발: 듀폰 사의 경우
 10장| 첨단 과학 산업 단지의 성장
 11장| 정보 통신 혁명에서 인터넷까지

3부 과학 기술은 국가를 등에 업고

 12장| 독일 제국의 과학 기술 연구 체계

 13장| 과학의 미국식 발전

 14장| 대학과 국가: MIT와 칼텍 

 15장| 과학 기술과 국방 연구
 16장| 노벨상으로 가는 길

4부 과학 성찰의 새로운 진화 

 
17장| 과학 기술은 언제나 변화한다
 
18장| 거대 과학의 시대
 
19장| 환경 사상의 부상
 
20장| 과학 기술과 예술의 만남
 
21장| 새로운 과학관


 


저자 : 임경순


: 서울 대학교 자연 과학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과학사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 브리태니커 과학 담당 책임 연구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융합문화사업단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과 한국과학기술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포항 공과 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과학사 교수(물리학과 및 환경공학부 겸임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20세기 과학의 쟁점』, 『21세기 과학의 ... 서울 대학교 자연 과학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과학사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 브리태니커 과학 담당 책임 연구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융합문화사업단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사학회 논문상과 한국과학기술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포항 공과 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과학사 교수(물리학과 및 환경공학부 겸임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20세기 과학의 쟁점』, 『21세기 과학의 쟁점』, 『현대물리학의 선구자』, 『100년 만에 다시 찾는 아인슈타인』, 『과학사 신론』(공저), 번역서로 『과학과 인간의 미래』가 있다.『현대 사회와 과학』(http://www.postech.ac.kr/press/mss), 『과학사 개론』(http://www.postech.ac.kr/press/hs)을 전자책으 로 출간하기도 했다.


  • ?
    경호연 2013.09.03 03:14
    책을 열심히 읽고 있어야겠습니다. 아직 반도 못읽었네요 ^
  • ?
    이기두 2013.09.03 03:14
    과학사와 과학철학까지 폭넓게 펼쳐보여 주신 강의가
    감동이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18 삶으로서의 은유 9 file 홍경화 2012.05.30 8385 45 G. 레이코프,M. 존슨 공저 박이정출판사 나익주 박사 (역자) 2012-06-29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출구, 안국역) 오후 7시30분
117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116 자연과학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file 한정규 2015.04.02 1985 80 Gerhard Roth 시그마프레스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2015-04-24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115 이보디보 file 홍경화 2011.05.04 8959 32 Sean B. Carroll 저/김명남 역 지호 엄준호 박사(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5-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 30분
114 비극의 비밀 file 홍경화 2013.08.01 6820 60 강대진 문학동네 강대진 박사 2013-08-30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113 <철학vs철학> 4 file 박용태 2010.04.05 9254 18 강신주 그린비 강신주 2010-04-30 후빌딩3층 강연장 19:00
112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1 file 관리자 2010.05.07 8688 19 강신주 동녘 강신주 2010-05-31 교보문고 본사 빌딩 지하 1층 문화이벤트홀 저녁 7시
111 유레카 E=mc² 3 file 홍경화 2013.06.05 6223 58 고중숙 텔림 고중숙 교수 2013-06-28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 저녁 7시30분
110 김대식의 빅퀘스천 file 홍경화 2014.12.26 3682 77 김대식 교수 동아시아 김대식 교수 2015-02-06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저녁7시 30분
109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108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5 file 홍경화 2016.07.03 1612 94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6-07-22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107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801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06 자연과학 과학하고 앉아있네-김상욱의 양자역학 콕 찔러보기 2 file 홍경화 2015.08.29 1980 85 김상욱, 원종우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5-09-11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105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1 file 홍경화 2011.01.29 12645 28 김용규 박사 휴머니스트 김용규 박사 2011-02-11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시
104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8 file 이병록 2012.10.31 8027 50 김운회 교수 역사의아침 김운회 교수 2012-11-30 조계사 템플스테이 교육관(3층)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103 모바일 이노베이션 1 file 홍경화 2010.11.02 9863 25 김지현 21세기북스 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2010-11-28 용산역 4층 KTX 별실 회의실 오후 4시
102 자연과학 우주, 시공간과 물질 file 홍경화 2017.04.08 536 103 김항배 컬처룩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2017-04-28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오후 7시30분
101 기타 빛과 우주 1 관리자 2009.03.02 10261 5 김형진 화산문화 김형진 박사 2009-03-27
100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70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99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0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