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3.07.02 01:13

편향

조회 수 611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9
저자 이남석
출판사 옥당
발표자 이남석
일자 2013-07-26
장소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952469

입장비^^
일반 : 만원
학생 : 오천원


저자 : 이남석


성균관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고, 인지과학과 협동과정을 거쳐 WCU 인터랙션 사이언스학과 박사 과정을 받았다. 한국인지과학회 간사, 한림대학교·서강대 심리학 강사, 미국 피츠버그대학 인지과학연구소 초빙 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WIST 정보운영실장 등을 거쳐 현재 심리변화행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며 긍정심리학과 행동심리학의 실제적 적용에 힘쓰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아빠, 게임할 땐 왜 시간이 빨리 가?, 논리를 찾아라!, 따분해, 뭘 해도 괜찮아, 주먹을 꼭 써야 할까?, 사랑을 물어봐도 될까요, 무삭제 심리학등이 있으며, 중국과 대만 등에 번역되기도 했다.


 


감수 : 이정모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캐나다 퀸즈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와 인지과학 협동과정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인지과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과거-현재-미래》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공저) 등이 있다.



 


< 출판사 책 소개 >
...
그때 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가에 관한 명쾌한 해답

누구나 한 번쯤 자신이 저지른 행동에 내가 왜 그랬을까?’라는 의문을 품은 적이 있을 것이다. 오늘 좋아한 것이 내일 싫어지기도 하고 명백하게 이익이 되는 일 앞에서 망설이면서 손해 볼 것이 뻔한 일은 아무렇지도 않게 선택하기도 한다. 왜 그럴까?


심리변화행동연구소 소장인 저자 이남석은 신간 나도 모르게 빠지는 생각의 함정, 편향에서 인지 편향이 바로 그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편향은 인간이 현실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왜곡 현상이다.


이 개념은 심리학자이면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대니얼 카너먼 교수가 주장한 개념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는 직관에 따라 판단하는 존재이다. 사람들은 보통 확률이나 이론 같은 합리적 이성을 통해 판단하기보다는 경험이나 직관으로 어림짐작해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것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직관적인 사고는 일상적인 사건의 처리에 능숙하고 단기적인 예측에서는 대부분 정확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왜곡된 사고, 즉 편향을 낳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수많은 편향적 사고에 묻혀 산다. 그럼에도 나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이며, 나의 판단과 결정은 늘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내 주장이나 내 생각은 옳다라고 믿고 산다. 심지어는 내 생각만 옳다라고 믿고 산다. 그래서 정치적?종교적 골수 진보, 골수 보수가 생긴다. 이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행동심리학과 인지심리학에서 강조하는 인생을 바꿀 수도 있는 치명적인 생각의 왜곡 현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면서 사람들이 시시때때로 저지르는 실수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 profile
    김형태 2013.07.02 01:13
    이남석 박사님의 귀한 강연에 감사드립니다.
    한 번의 인연을 평생 소중하게 간직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8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홍경화 2016.12.03 538 99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16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 6번출구) 저녁7시30분
77 법정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file 홍경화 2012.12.03 6851 51 문학의 숲 편집부 문학의숲 백북스 회원 2012-12-1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출구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 30분
76 자연과학 뇌 생각의 출현 관리자 2009.01.14 5971 1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1-14
75 멀티 유니버스 (원제 : The Hidden Reality, 2011) 8 file 홍경화 2012.02.29 7446 42 브라이언 그린 김영사 이종필 박사(물리학) 2012-03-30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30분
74 거의 모든것의 역사 7 file 박용태 2009.10.30 10548 13 빌 브라이슨 까치 역자 이덕환 교수 2009-11-27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 7시
73 인지과학혁명 file 홍경화 2010.12.20 12582 27 사에키 유타카 에이콘 출판사 이정모 교수 2011-01-26 광화문 교보문고 내 배움아카데미 오후 7시
72 자연과학 빅뱅 2 관리자 2009.02.02 6473 4 사이먼싱 영림카디널 곽영직 교수 2009-02-27
71 불멸의 이론 file 홍경화 2014.10.02 5323 7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4-10-31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30분
70 자연과학 최종이론의 꿈 관리자 2009.01.14 5948 2 스티븐 와인버그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2008-12-19
69 다윈 이후 file 홍경화 2011.10.05 7640 37 스티븐 제이 굴드 사이언스북스 홍욱희 박사(세민환경연구소 소장) 2011-10-28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 30분
68 위대한 설계 11 file 홍경화 2012.01.02 7784 40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까치 이명현(천문학 박사/세티코리아 조직위원회 사무국장) 2012-01-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오후 7시 30분
67 최초의3분 2 file 관리자 2009.04.02 6494 6 스티븐와인버그 양문 신상진 교수 2009-04-24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66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65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16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64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63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8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62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61 인문사회 인간존재의 의미 file 홍경화 2016.08.29 1185 96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한음 (역자) 2016-09-30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60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59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44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