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3.03.20 18:25

앎의 나무

조회 수 72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5
저자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출판사 갈무리
발표자 최호영
일자 2013-03-29
장소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2535236?scode=029

책소개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담은 책.

이 체계관은 생물학의 세계관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세계관까지 뒤엎고 있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 따르면 생물이란 환경에 되도록 완벽하게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은 객관적인 바깥세계에 노예처럼 얽매여 있다. 그러나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주장하는 체계생물학에서 ‘객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는 ― 따라서 또한 인간은 ― 삶에 필요한 근본조건들만 채운다면 이미 있는 것들에 그저 반응하는 대신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는 겉보기에 객관적인 실재의 창조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환히 밝히는 것이 바로 지은이들의 연구목표다.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현인과 신비주의자와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주체와 객체의 통일, 나눌 수 없는 존재의 전체성이 이제 여기서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증명된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역 : 최호영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온건구성주의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론심리학자다. 현재 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있으며 이론심리학, 현상학적 심리학, 감각과 매체의 심리학 등을 주요 관심 분야로 하고 있다.《인지와 자본》(공저)을 썼고, 《앎의 나무》, 《클루지》, 《지혜의 탄생》, 《뇌의식과 과학》, 《욕망의 유령들》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 : 움베르또 마뚜라나
1928년 9월 14일 칠레 산티아고 출생이며 인지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이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와 함께 베이트손, 비트겐슈타인의 경로들, 비코의 사회적 “의지”, 폴 바이스의 자기생산(self-production),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뒤를 이어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창안했다. 또한 신경생물학의 경험적 연구들을 기반으로 세워진 상대주의적 인식론인 급진적 구성주의의 정초자들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47년 리쎄오 마누엘 데 살라스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뒤에 칠레의 의과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했으나 같은 대학에서 생물학으로 학위를 마쳤다. 1954년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을 지원받아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해부학과 신경철학을 연구했다. 1958년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칠레 대학의 “인식 생물학” 센터에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연구 프로그램 속에서 자신의 이론을 정교화하는 데에 평생을 바치고 있다...주요 저서로 『자기생성과 인지』(Autopoiesis and Cognition, Varela와 공저, 1980), 『인식: 실재의 조직과 구현』(Erkennen: Die Organisation und Verkorperung von Wirklichkeit, 1982),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VOM SEIN ZUM TUN, 2004; 갈무리, 2006) 등이 있다.

저자 : 프란시스코 바렐라
칠레 태생으로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칠레,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스승이자 동료인 마뚜라나와 함께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생물학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 저서로 『생물학적 자율성의 원리』(Principles of Biological Autonomy, 1979), 『마음의 구현』(The Embodied Mind, Thompson & Rosch와 공저, 1991) 등을 꼽을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독일어판 옮긴이 머리말

1 앎을 알기
2 생명체의 조직
3 역사: 생식과 유전
4 ‘메타세포체’의 삶
5 생물의 자연표류
6 행동의 영역
7 신경계와 인식
8 사회적 현상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
10 앎의 나무



출판사 리뷰



생물은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적 자율적 체계다!

...생물학자인 지은이들의 관심은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체계’(autopoietic system)라고 본다. 자기생성체계는 자기 작업을 통해 자기를 정의하고 실현하므로 자율적인 체계다. 바렐라에 따르면 어떤 체계를 컴퓨터처럼 타율적 체계 또는 통제된 체계로 볼 때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우리의 근본 범주는 ‘명령’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잘못’이다. 반면에 자율적 체계로 볼 때 근본 범주는 ‘대화’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이해의 단절’이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서는 생물을 환경에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생성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각 종마다 독특한 자기의 환경을 산출(bring forth)하며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인지활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1. 블랙홀과 시간여행

    Date2017.10.31 Category자연과학 By홍경화 Reply0 Views603 회차110 저자킵 S. 손 ( KIP S. THORNE) 출판사반니 발표자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일자2017-12-01 장소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시간저녁 7시30분 file
    Read More
  2. 다윈의 식탁

    Date2009.11.30 By박용태 Reply0 Views10815 회차14 저자장대익 출판사김영사 발표자장대익 교수 일자2009-12-18 장소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file
    Read More
  3. 상대성이론

    Date2010.01.01 By박용태 Reply6 Views12296 회차15 저자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출판사지만지고전천줄 발표자이종필 박사 일자2010-01-29 장소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file
    Read More
  4.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Date2009.08.31 By박용태 Reply0 Views9370 회차11 저자조중걸 출판사베아르피 발표자조중걸 교수 일자2009-09-25 장소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file
    Read More
  5.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Date2009.09.27 By박용태 Reply2 Views10361 회차12 저자이시형 출판사중앙북스 발표자이시형 박사 일자2009-10-27 장소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file
    Read More
  6. 모바일 이노베이션

    Date2010.11.02 By홍경화 Reply1 Views9864 회차25 저자김지현 출판사21세기북스 발표자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일자2010-11-28 장소용산역 4층 KTX 별실 회의실 시간오후 4시 file
    Read More
  7. 앎의 나무

    Date2013.03.20 By홍경화 Reply0 Views7294 회차55 저자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출판사갈무리 발표자최호영 일자2013-03-29 장소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시간저녁 7시30분 file
    Read More
  8. 미토콘드리아

    Date2009.06.29 By박용태 Reply3 Views10044 회차9 저자닉 레인 출판사뿌리와 이파리 발표자박문호 박사 일자2009-07-31 장소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9. 야생사과

    Date2009.08.03 By박용태 Reply3 Views8099 회차10 저자나희덕 출판사창비 발표자나희덕 시인 일자2009-08-28 장소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0.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Date2014.08.04 By한정규 Reply0 Views6468 회차72 저자한스 라이헨바흐 출판사지만지 발표자강형구 역자 일자2014-08-29 장소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시간오후 7시30분 file
    Read More
  11. 홍성욱의 과학에세이

    Date2009.06.03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Reply0 Views8474 회차8 저자홍성욱 출판사동아시아 발표자홍성욱 교수 일자2009-06-26 장소서울 조계사(맞은편) 템플스테이센터 3층 교육관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2.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Date2011.01.29 By홍경화 Reply1 Views12645 회차28 저자김용규 박사 출판사휴머니스트 발표자김용규 박사 일자2011-02-11 장소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시간저녁 7시- 9시 file
    Read More
  13. 느끼는 뇌

    Date2011.03.04 Category자연과학 By송윤호 Reply1 Views12854 회차30 저자조셉 르두 (최준식 역) 출판사학지사 발표자최준식 교수 일자2011-03-25 장소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4.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Date2013.02.04 By박인순 Reply6 Views7283 회차53 저자헤닝 엥겔른 출판사을유문화사 발표자이정모 일자2013-02-22 장소서울 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시간19~21시 file
    Read More
  15. 거의 모든것의 역사

    Date2009.10.30 By박용태 Reply7 Views10548 회차13 저자빌 브라이슨 출판사까치 발표자역자 이덕환 교수 일자2009-11-27 장소서울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문화이벤트홀(예정)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6. 뇌.인지 과학 심포지움

    Date2010.03.08 By박용태 Reply6 Views10667 회차17 저자참가신청 출판사자유게시판 공지글에 신청하세요 발표자조장희 박사 외5명 일자2010-03-27 장소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시간11:00~18:30 file
    Read More
  17. 야성적충동

    Date2010.07.02 By송윤호 Reply0 Views9102 회차21 저자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출판사랜덤하우스코리아 발표자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일자2010-07-25 장소삼일아카데미 시간오후 4시 30분 file
    Read More
  18. 지식의 대융합

    Date2010.10.04 By송윤호 Reply1 Views8715 회차24 저자이인식 출판사고즈윈 발표자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 일자2010-10-25 장소배움아카데미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9. 진화하는 물

    Date2017.06.01 Category자연과학 By홍경화 Reply0 Views360 회차105차 저자제랄드 폴락 출판사지식을 만드는 지식 발표자김홍표 (아주대 약학대 교수) 일자2017-06-30 장소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시간저녁 7시30분 file
    Read More
  20.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Date2010.05.07 By관리자 Reply1 Views8688 회차19 저자강신주 출판사동녘 발표자강신주 일자2010-05-31 장소교보문고 본사 빌딩 지하 1층 문화이벤트홀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