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3.03.20 18:25

앎의 나무

조회 수 72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5
저자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출판사 갈무리
발표자 최호영
일자 2013-03-29
장소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시간 저녁 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2535236?scode=029

책소개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담은 책.

이 체계관은 생물학의 세계관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세계관까지 뒤엎고 있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 따르면 생물이란 환경에 되도록 완벽하게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은 객관적인 바깥세계에 노예처럼 얽매여 있다. 그러나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주장하는 체계생물학에서 ‘객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는 ― 따라서 또한 인간은 ― 삶에 필요한 근본조건들만 채운다면 이미 있는 것들에 그저 반응하는 대신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는 겉보기에 객관적인 실재의 창조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환히 밝히는 것이 바로 지은이들의 연구목표다.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현인과 신비주의자와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주체와 객체의 통일, 나눌 수 없는 존재의 전체성이 이제 여기서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증명된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역 : 최호영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온건구성주의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론심리학자다. 현재 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있으며 이론심리학, 현상학적 심리학, 감각과 매체의 심리학 등을 주요 관심 분야로 하고 있다.《인지와 자본》(공저)을 썼고, 《앎의 나무》, 《클루지》, 《지혜의 탄생》, 《뇌의식과 과학》, 《욕망의 유령들》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 : 움베르또 마뚜라나
1928년 9월 14일 칠레 산티아고 출생이며 인지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이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와 함께 베이트손, 비트겐슈타인의 경로들, 비코의 사회적 “의지”, 폴 바이스의 자기생산(self-production),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뒤를 이어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창안했다. 또한 신경생물학의 경험적 연구들을 기반으로 세워진 상대주의적 인식론인 급진적 구성주의의 정초자들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47년 리쎄오 마누엘 데 살라스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뒤에 칠레의 의과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했으나 같은 대학에서 생물학으로 학위를 마쳤다. 1954년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을 지원받아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해부학과 신경철학을 연구했다. 1958년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칠레 대학의 “인식 생물학” 센터에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연구 프로그램 속에서 자신의 이론을 정교화하는 데에 평생을 바치고 있다...주요 저서로 『자기생성과 인지』(Autopoiesis and Cognition, Varela와 공저, 1980), 『인식: 실재의 조직과 구현』(Erkennen: Die Organisation und Verkorperung von Wirklichkeit, 1982),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VOM SEIN ZUM TUN, 2004; 갈무리, 2006) 등이 있다.

저자 : 프란시스코 바렐라
칠레 태생으로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칠레,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스승이자 동료인 마뚜라나와 함께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생물학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 저서로 『생물학적 자율성의 원리』(Principles of Biological Autonomy, 1979), 『마음의 구현』(The Embodied Mind, Thompson & Rosch와 공저, 1991) 등을 꼽을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독일어판 옮긴이 머리말

1 앎을 알기
2 생명체의 조직
3 역사: 생식과 유전
4 ‘메타세포체’의 삶
5 생물의 자연표류
6 행동의 영역
7 신경계와 인식
8 사회적 현상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
10 앎의 나무



출판사 리뷰



생물은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적 자율적 체계다!

...생물학자인 지은이들의 관심은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체계’(autopoietic system)라고 본다. 자기생성체계는 자기 작업을 통해 자기를 정의하고 실현하므로 자율적인 체계다. 바렐라에 따르면 어떤 체계를 컴퓨터처럼 타율적 체계 또는 통제된 체계로 볼 때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우리의 근본 범주는 ‘명령’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잘못’이다. 반면에 자율적 체계로 볼 때 근본 범주는 ‘대화’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이해의 단절’이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서는 생물을 환경에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생성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각 종마다 독특한 자기의 환경을 산출(bring forth)하며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인지활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98 위대한 설계 11 file 홍경화 2012.01.02 7784 40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까치 이명현(천문학 박사/세티코리아 조직위원회 사무국장) 2012-01-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오후 7시 30분
97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96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1 file 관리자 2010.05.07 8688 19 강신주 동녘 강신주 2010-05-31 교보문고 본사 빌딩 지하 1층 문화이벤트홀 저녁 7시
95 자연과학 이종필의 아주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 4 file 홍경화 2015.06.30 2441 83 이종필 동아사이언스 이종필 (물리학 박사) 2015-07-17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7시30분
94 자연과학 홍성욱의 과학에세이 file 박용태 2009.06.03 8474 8 홍성욱 동아시아 홍성욱 교수 2009-06-26 서울 조계사(맞은편) 템플스테이센터 3층 교육관 오후 7시
93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홍경화 2014.12.05 5567 76 이종필 동아시아 이종필 교수 (저자) 2014-12-23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년 7시 30분
92 김대식의 빅퀘스천 file 홍경화 2014.12.26 3682 77 김대식 교수 동아시아 김대식 교수 2015-02-06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저녁7시 30분
91 자연과학 과학하고 앉아있네-김상욱의 양자역학 콕 찔러보기 2 file 홍경화 2015.08.29 1980 85 김상욱, 원종우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5-09-11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90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89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8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88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5 file 홍경화 2016.07.03 1612 94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6-07-22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87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2 file 홍경화 2017.03.05 1536 102 제임스 글릭 (James Gleick) 동아시아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2017-03-31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86 자연과학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 (Our Mathematical Universe) file 홍경화 2017.05.08 359 104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동아시아 김낙우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2017-05-26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전성기 캠퍼스' 저녁 7시30분
85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29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84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0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83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17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82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file 홍경화 2018.07.18 347 116 마쓰오 유카타 동아엠앤비 이정원( 전자통신연구원 선임 연구원) 2018-07-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81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80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79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