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8411 추천 수 0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4
저자 윌리엄 데이먼
출판사 한국경제신문
발표자 한혜민(공역자,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일자 2013-03-19
장소 하자센터(5호선 영등포시장역 1번 출구 or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시간 저녁 7시


서울백북스에서는 3월부터 월 2회로 정기 모임이 진행됩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의 공역자 한혜민 선생님을 모십니다.
스탠포드대에서 현재 유학 중인 한혜민씨의 방문 일정에 맞춰 3월 19일(화요일) 세미나를 갖습니다. 한혜민씨는 과거에 인천백북스에서 발표를 해주신 경험이 있어 백북스와는 친숙한 분입니다. 뜻깊은 자리를 많은 분들과 함께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세미나 내용은 '인간발달연구'에 대한 책 내용과 현재 연구 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날짜 : 2013년 3월 19일 (화요일)  저녁 7시-9시

장소 : 하자센터(서울 영등포, 아래 약도 참조)

회비 : 1만원 (학생 무료)




문의 : 한정규( tandoori@ymail.com ), 
         (
https://100books.kr/bbs/board.php?bo_table=01Board02&wr_id=45853
          에 댓글로 참석을 알려주시면 준비에 더욱 도움이 되겠습니다.)



저자 : 윌리엄 데이먼 William Damon


스탠포드 대학교 교육학 교수이며 미국 최고 청소년연구소인 스탠포드 청소년센터의 장이다. 하버드대와 UC 버클리에서 발달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서부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국제 현안 공공정책 전문연구기관인 ‘후버 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인간발달 연구의 세계 3대 석학으로 손꼽히는 윌리엄 데이먼 교수의《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는 그의 30년에 걸친 인간발달 연구에 관한 기념비적인 책이다. 이 책에서 그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의 삶을 가장 짓누르는 문제인 “왜 그렇게 많은 청소년들이 첫 걸음을 내딛는 데 실패하는가?”에 대해 날카롭게 탐구한다.



강 연 자 : 한 혜 민


한혜민은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KAIST)에서 과학철학 및 과학사회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현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윌리엄 데이먼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최근 도덕성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에 몰두하고 있고, 주요 저서로는 《천재는 없다 - 서울대 최연소 합격생 한혜민의 베이직 학습법》 등이 있다.



  • ?
    홍경화 2013.02.25 21:21
    이번 세미나는 백북스생물학소모임을 맡아 진행해주시는 한정규 총무님이 추진해 주십니다. 감사드립니다. 장소 제공 및 세미나 진행을 위해 애써주시는 '하자센터'의 김령은 회원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전에 3월 15일로 공지되었던 유창복 선생님과의 '성미산 밥상'시간은 선생님의 개인 일정에 변동이 생겨 3월 23일 토요일 저녁 6시 '서울 사랑방'모임으로 진행하게되었음을 말씀드립니다. 참여 댓글은 아래로 해 주세요.
    http://www.100books.kr/bbs/board.php?bo_table=02Board03&wr_id=2420)
  • ?
    문경수 2013.02.25 21:21
    놀러 가겠습니다.
  • ?
    이병록 2013.02.25 21:21
    논문에 전력집중하고 있지만, 매월 2주차 모임에는 관심을 안 가질 수 없습니다.
  • ?
    이정원여 2013.02.25 21:21
    시도가 좋습니다. 월 2회 모임도 밥을 먹으면서 대화도 모임장소도. 밥먹으러 가겠습니다.
  • ?
    서동희 2013.02.25 21:21
    착한 밥상과 좋은 사람들^^ 기대됩니다.
    참가신청합니다.
  • ?
    이병록 2013.02.25 21:21
    유창복 님의 가정사 일정으로 15일을 다른 날로 변경하자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22일과 23일 중 망설이다가 에라! 이왕 늦추는 것이니 주말에 하면 다른 참석자의 부담이 줄지 않겠냐는 의미에서 23일로 변경하였습니다.
  • ?
    이정원여 2013.02.25 21:21
    아쉽지만 저는 참석이 불가능하겠습니다. 23일은 1년 전 부터 예약된 서인 작은사람&종인 작은사람 첫 번째 생일을 맞이하여 돌잔치를 합니다. 어차피 22일이라도 잔치 전날이라 분주해서 참석이 불가능하겠고... 주말이면 부담이 주는것은 사실이지만 하필 23일! 아쉽습니다. 좋은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댓글을 안 보는 사람도 있을수 있으니 위의 날짜를 수정하셔야겠습니다. 서울백북스 월 2회 모임의 발대식을 축하합니다.
  • ?
    이병록 2013.02.25 21:21
    돌잔치 초청 안 하나요? 독서모임도 하나의 공동체인데...
    대전에서 강의 들으셨으니 덜 섭섭하시겠습니다.
  • ?
    강세욱 2013.02.25 21:21
    그때 마침 서울출장이 있어서 오랜만에 참석해볼까 합니다.^^

    백북스 때문에 논문이 진도가 안나가시는건 아닌지?ㅋㅋ
  • ?
    이병록 2013.02.25 21:21
    모임의 이름을 '서울 사랑방'으로 하자는 의견이 있는데, 좋은 의견인 것 같습니다.
    일단 정식모임이 정해지기 전 '서울 사랑방'으로 이름을 부여합니다.
  • ?
    이정원여 2013.02.25 21:21
    선정도서가 갑자기 바뀌어 버렸네요? 그럼 월 2회 모임이 아닌거네요? 다양성을 기대해보았는데 아쉽습니다. 저 대전강의 안들었는데...
  • ?
    홍경화 2013.02.25 21:21
    네~~선정도서를 19일 세미나모임의 도서로 바꾸어 올리게 되었습니다. 유창복 선생님과의 대화는 일정 변동에 대한 양해를 구해 오셔서 3월23일 토요일 사랑방 모임으로 날짜를 바꾸어 그대로 진행합니다. 이번 3월에는 19일과 29일의 정기모임 두번, 23일 사랑방 모임이 한번. 이렇게 모임이 세번 있습니다.
  • ?
    조철한 2013.02.25 21:21
    백북스에 처음 가입하였습니다.
    이번 모임에 참석하고 싶습니다.
  • ?
    이정원여 2013.02.25 21:21
    저는 어젯밤 당황스러웠습니다. 댓글은 그대로인데 선정도서만 바뀌어 버렸기 때문이였습니다.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저는 한참을 생각했습니다.
  • ?
    백윤숙 2013.02.25 21:21
    모임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 ?
    홍종근 2013.02.25 21:21
    어제 강의에 참석했었습니다. 좋은 강의였습니다. 혹시 어제 강의하신 자료를 pdf라도 받아볼수 있을가요?
  • ?
    한혜민 2013.02.25 21:21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부족한 강연이었는데 끝까지 자리를 지켜 주시고 또 많은 좋은 질문들을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강연 당시 사용한 슬라이드의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정식으로 자료를 게시판에 올리는 것은 스탭 분들께서 해 주셔야겠습니다만, 일단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https://docs.google.com/file/d/0B7d0K6pqVbHHWUZKNHF5SW5RcEE/edit?usp=sharing

    다시 한 번 좋은 자리를 마련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드리며, 또 다시 찾아뵙길 고대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자연과학 칼세이건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5.06.05 1846 82 칼세이건 사이언스북스 이명현(천문학 박사) 2015-06-26 템플스테이(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37 자연과학 이종필의 아주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 4 file 홍경화 2015.06.30 2441 83 이종필 동아사이언스 이종필 (물리학 박사) 2015-07-17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7시30분
36 자연과학 어메이징 그래비티 file 한정규 2015.08.06 1735 84 조진호 궁리 조진호 2015-08-28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35 자연과학 과학하고 앉아있네-김상욱의 양자역학 콕 찔러보기 2 file 홍경화 2015.08.29 1980 85 김상욱, 원종우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5-09-11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4 자연과학 통찰의 시대 file 홍경화 2015.09.30 1895 86 에릭 켄달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10-30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오후 7시 30분
33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2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31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2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30 자연과학 고대예술(형이상학적 해명) 2 file 김홍섭 2016.02.04 12618 89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교수 2016-02-2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0번지 미금파크빌딩 오피스텔 703호 오후5시
29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6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28 자연과학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file 홍경화 2016.03.31 1635 91 최덕근 휴머니스트 최덕근 교수 2016-04-29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 30분
27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26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2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25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5 file 홍경화 2016.07.03 1612 94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6-07-22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24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 2 file 홍경화 2016.07.29 2029 95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6-08-19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23 인문사회 인간존재의 의미 file 홍경화 2016.08.29 1185 96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한음 (역자) 2016-09-30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22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21 자연과학 리비트의 별 file 홍경화 2016.11.03 351 98 조지 존슨 (George Johnson) 궁리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2016-11-25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 30분
20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홍경화 2016.12.03 538 99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16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 6번출구) 저녁7시30분
19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69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