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762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
저자 이덕일 저
출판사 옥당
발표자 이덕일
일자 2012-05-25
장소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시간 오후 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6717160?Acode=101

책소개


우리 역사와 함께 읽는 논어에서 인생의 살아 있는 지혜,
시공간을 초월한 내일의 인문정신을 배운다!


우리 시대 대표적 역사학자 이덕일. 지금까지 한국사의 뜨거운 쟁점에 정면 도전하는 역사 서술과 생존 당시 주목받지 못했던 비운의 천재나 왜곡됐던 인물을 재조명하여 역사의 교훈을 일깨웠던 그가 이번에는 동양학을 통한 시대정신 모색에 나섰다. 우리 역사에 천착했던 역사학자가 동양고전으로 영역을 넓혀 자기 성찰과 통찰, 현실 비판으로까지 사유의 폭을 넓힌 것이다.

책에서 저자는 우리 사회에서 공자는 서로 다른 얼굴을 지닌 두 사람이라고 지적한다. 한 명은 역사상 실존했던 인간 공자의 얼굴이고, 다른 한 명은 역사 속에서 만들어지 이미지의 공자, 즉 우리가 쉽게 떠올리는 성인 공자의 얼굴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사적 사료를 바탕으로 완벽한 성인으로서의 공자가 아닌 욕망하고 갈등하는 인간 공자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살았던 그의 인생을 학인(學人)의 길과 정인(政人)의 길로 나누어 접근한다.

공자의 삶을 따라가며 역사의 흐름 속에서 『논어』20편에 실린 공자 철학의 주요 조각들을 하나하나 맞추고, 공자가 어떤 맥락 어떤 역사적 상황에서 이런 말을 남겼는지를 이해하면 박제된 교훈을 얻는 데 그치지 않고 한층 다원적으로 『논어』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우리 역사 사례를 되돌아봄으로써 공자와 『논어』의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관심작가알림 신청 저 : 이덕일


李德一 1961년 충남 아산 출생. 숭실대 사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고 「동북항일군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를 필두로 한국사의 쟁점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대중역사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우리 역사의 온갖 미스터리를 객관적 사료를 토대로 선명하게 풀어낸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1~3』『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조선 왕 독살사건』 등의 문제작을 펴내면서 우리시대의 대표적 역사저술가로 자리매김했다.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이덕일의 여인열전』 등 생존 당시 주목 받지 못했던 불운한 천재들이나 역사 속에 안타깝게 묻혀버린 인물을 복원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이덕일은 객관적 사료에 근거하여 역사의 미스터리와 의문에 대한 문제제기로 새로운 형태의 역사서를 집필해왔다.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논쟁적인 주제로 새로운 역사해석의 선두에 서있다.

그는 최근 정치사 위주의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통해 제대로 주목 받지 못한 그 시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풍부하고 정확한 사
... 펼처보기



독자를 가르치려는 책은 오래 못가는 것 같아요. 전에는 제 주관과 판단을 글에 집어넣기도 했는데 몇년 지나 다시 읽어보니 그 부분들이 꼭 목에 딱딱하게 걸리더라구요.


사진 : 권태균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하고 뿌리 깊은 나무, 중앙일보 사진부 기자로 일했다. 일본 및 아시아권에서 사진을 요청해올 정도로 방대한 양의 한국사 사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 중 일의 역사 현장을 두루 섭렵하여 역사가 못지않은 지식을 갖춘 데다 발 빠른 취재력을 바탕으로 누구도 찍지 못한 역사 사진을 찍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신구대학 정보미디어학부 사진영상미디어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성공한 책 [논어], 실패한 인생 공자

1부 학인學人의 길
1장 학문의 즐거움
학이시습學而時習 학문은 해서 어디에 쓰겠는가?
십오지학十五志學 인생 역전의 길, 학문
우도불우빈憂道不憂貧 가난을 걱정하지 말고 도를 행하라
불여호학不如好學 학문을 즐겨라
- 책 읽는 횟수를 기록한 김득신
사해형제四海兄弟 세상 사람이 모두 나의 형제이다
- 이덕무와 박제가
안빈낙도安貧樂道 학문하는 사람이 어찌 가난을 두려워하랴?
- 원교 이광사의 안빈낙도
지지위지知之爲知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라

2장 배움과 가르침
인불양사仁不讓師 스승과도 다툰다
- 송시열에 맞선 백호 윤휴
극기복례克己復禮 사양하는 마음을 잃어버린 사회에
속수지례束脩禮 공자대학의 반값 등록금
유교무류有敎無類 사람은 누구나 평등하다
- 정약용의 귀천
절문근사切問近思 묻는 것이 학문의 시작이다
- 우리 교육을 망친 두 원흉
- 송시열 중심의 주자학 유일사상 체제
- 대한제국 말기의 사립학교령
구진유퇴求進由退 2,500년 전의 맞춤식 교육법

3장 1기, 제나라 망명기
군자정君子政 자신을 닦음으
... 펼처보기


  • ?
    정남수 2012.05.02 22:48
    지난번 백북스에서 "윤휴와 침묵의 제국"으로 강연 들었었습니다.
    그 때 이덕일 박사님께 반해버렸는데...
    종각역이 서울역에서 두 정거장.
    사무실은 대전역에서 한 정거장.
    아... 심히 갈등하게 하는군요.^^;;;;;
  • ?
    이병록 2012.05.02 22:48
    갈등할 때는 저질러 놓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홍경화 2014.12.05 5567 76 이종필 동아시아 이종필 교수 (저자) 2014-12-23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년 7시 30분
37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68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36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35 자연과학 블랙홀 전쟁 file 송윤호 2011.11.01 9593 38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 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 30분
34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8 file 송윤호 2012.02.02 7574 41 리언 레더먼,크리스토퍼 힐 공저 승산 이종필 박사 2012-02-24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33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2 無로부터의 우주 file 홍경화 2014.06.04 7615 70 로렌스 크라우스 ( Lawrence M. Krauss) 승산 이종필 박사 2014-06-27 템플스테이 교육관 저녁 7시 30분
31 자연과학 물리학 클래식 : 물리학 원전을 순례하다 5 file 박용태 2012.09.05 7014 48 이종필 박사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박사(물리학 박사/입자물리학 전공) 2012-09-2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0 멀티 유니버스 (원제 : The Hidden Reality, 2011) 8 file 홍경화 2012.02.29 7446 42 브라이언 그린 김영사 이종필 박사(물리학) 2012-03-30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30분
29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29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28 인문사회 인간존재의 의미 file 홍경화 2016.08.29 1185 96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한음 (역자) 2016-09-30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27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26 다윈의 식탁 file 박용태 2009.11.30 10815 14 장대익 김영사 장대익 교수 2009-12-18 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25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24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23 인문사회 공부도둑 관리자 2009.01.14 6706 3 장회익 생각의나무 장회익 2009-01-30
22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38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21 이기적 유전자 file 홍경화 2011.09.02 8941 36 리처드 도킨스 을유문화사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9-30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7시30분
20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19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