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1.06.25 19:08

마이크로 코스모스

조회 수 103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4
저자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출판사 김영사
발표자 홍욱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
일자 2011-07-29
장소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시간 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5075905?scode=032&OzSrank=1

책소개


미생물에서 시작하는 놀랍고도 스펙터클한 생명의 대서사시!

『마이크로코스모스』는 생물진화사의 논의를 다윈의 『종의 기원』보다 40억 년 전까지 앞당긴 화제작이다. 저자들은 인간 중심의 진화사에서 주연의 위치를 인간에게서 자연에게 넘겨줌으로써, 생명과 자연 앞에 겸손할 줄 아는 인간 그리고 과학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한다.

『마이크로코스모스』는 단순한 생물학 서적을 넘어서, 위대한 자연철학사상서로 자리매김하여 지금까지 사랑받고 잇다. 또 정치·군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핵무기 개발이나 인류 수명연장을 위한 유전공학 연구가 생명윤리를 도외시하고 있는 오늘날 이 책의 메시지는 더욱 강렬하다. 1986년 발간 당시에도 우리를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세계로 안내했고, 21세기인 지금에도 여전히 가치 있는 이 책은 현대의 고전이 되기에 손색이 없다.





저자 소개


저자 : 린 마굴리스 Lynn Margulis


미국의 생물학자로 메사추세츠 앰허스트대학교의 교수이다. 세포생물학과 미생물 진화에 대해 연구, 지구 시스템 과학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미항공우주국 우주과학국의 지구 생물학과 화학진화에 관한 상임위원회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NASA의 지구생물학에 관한 실험들을 지도하고 있다. 공생진화론과 같은 충격적인 가설로 생물학계를 놀라게 했을 뿐만 아니라, 지칠 줄 모르는 연구로 19개의 상을 수상했으며 수많은 국제학술 강연, 100종이 넘는 논문과 더불어 10권이 넘는 책을 펴냈다. 영구그이 대기과학자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 이론에 공헌한 바가 크다. 아들인 도리언 세이건과 함께 책들을 펴냈으며, 『진핵세포로의 진화』, 『공생과 세포진화』 등의 저술이 있다.


저자 : 도리언 세이건 Dorion Sagan


사이언스라이터의 공동경영자로, 『생물권, 행성 지구의 변신』의 저자이다. 어머니인 린 마굴리스와 함께 『소우주』, 『성의 기원』, 『미생물의 낙원』, 『수수께끼 춤: 인류의 성 진화에 대하여』 등을 저술했다.


역자 : 홍욱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생물공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 KIST에서 환경공학부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환경학 박사학위를 받고 동대학 연구원을 거쳐, 한국전력공사에서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으로, 환경과 과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저술 활동을 하고 잇다. 지은 책으로는 『위기의 환경주의 오류의 환경정책』, 『3조원의 환경논쟁 새만금』, 『21세기 국가수자원정책』, 『『생물학의 시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20세기 환경의 역사』, 『다윈 이후』, 『가이아: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회의적 환경주의자』 등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저자 서문

개론 미생물 우주란 무엇인가?
1 지구의 탄생
2 생명의 기원
3 자연의 언어
4 미생물우주
5 범지구적인 유전자의 교환
6 산소의 대재앙
7 새로운 세포의 출현
8 상생을 위한 세포간 협력
9 공생하는 두뇌
10 성의 수수께끼
11 동식물의 뒤늦은 번성
12 이기적인 인간
13 미래의 초우주

옮긴이의 글
용어해설

찾아보기



책속으로


인간과 자연은 어떤 관계일까? 인간의 과학적 명칭, 즉 린네식 학명은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 다시 말해서 “인간, 현명하고 또 현명한”이다. 하지만 더 겸손한 명칭 또는 신랄한 명칭을 붙인다면 호모인사피엔스, 즉 “인간, 현명함과는 거리가 멀고 멋도 없는”이 적격이겠다. 우리는 스스로 자연의 지배자라고 생각한다. 지금으로부터 2400년 전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모든 것의 척도이다”라고 이미 선언했다. 하지만 우리가 그렇게 당당할 수만은 없는 것 아닌가. 이 책은 우리 스스로 강화했던 그런 허상에서 과감히 탈피해 인간은 지구 행성의 한 바보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 p.12

인간은 지구에서 태어나서 종족을 널리 퍼뜨리는 데 크게 성공했지만 이것을 정복의 역사로 말하기는 곤란하다. 마치 부유한 집안의 건방진 상속자처럼 우리는 지구의 대규모적인 멸종의 재해에서 살아남았던 동물들에서 풍부한 유전물질을 상속받은 것에 불과하다. 생물 역사에서 유명한 동물 대멸종 사건은 약 66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일어났는데, 이때 공룡뿐만 아니라 수많은 포유동물과 해양성 플랑크톤 종이 지상에서 사라졌다. --- p.273
... 펼처보기 --- p.36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9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88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26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7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12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6 비극의 비밀 file 홍경화 2013.08.01 6820 60 강대진 문학동네 강대진 박사 2013-08-30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85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84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3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1 file 홍경화 2013.10.01 7350 62 한스 크리스티안 폰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13-10-25 템플스테이(조계사 맞은 편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2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81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80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9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78 유레카 E=mc² 3 file 홍경화 2013.06.05 6223 58 고중숙 텔림 고중숙 교수 2013-06-28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 저녁 7시30분
77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76 자연과학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file 한정규 2015.04.02 1985 80 Gerhard Roth 시그마프레스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2015-04-24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75 자연과학 뇌처럼 현명하게 file 홍경화 2015.02.08 1832 78 패트리샤 처질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5-02-27 템플스테이 3층( 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74 자연과학 생물학 산책 file 홍경화 2015.04.28 1814 81 이일하 궁리 이일하 교수(서울대 생물학) 2015-05-29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73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2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8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71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4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70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 2 file 홍경화 2016.07.29 2029 95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6-08-19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