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0.10.04 05:10

지식의 대융합

조회 수 871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4
저자 이인식
출판사 고즈윈
발표자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
일자 2010-10-25
장소 배움아카데미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3100073?scode=032&OzSrank=1

책소개


미래 지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융합 지식’과 ‘융합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개론서로서, ‘지식의 대융합’을 이루는 학문 간 연구의 성과와 새롭게 출현한 융합 학문의 탄생 과정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인지과학과 지식 융합, 뇌 과학의 발달에 따른 신생 학문, 마음의 연구에 진화론이 적용되면서 주목을 받게 된 신생 학문, 복잡성과학과 융합 학문, 인공생명의 진화 과정과 창발과정, 기술 융합의 여러 측면과 환경 문제를 비롯한 사이보그 사회와 포스트휴먼 시대까지 아우르고 있다.또한 책의 뒤쪽에 ‘지식 융합 도표’를 별도로 넣어, 지식 융합의 전모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으며, ‘에필로그’에는 우리나라의 지식 융합 역사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자연과학, 인문학, 경제학, 예술, 종교, 환경 등을 통합하는 지식의 융합 과정과 역사, 새로운 지식의 탄생 과정을 흥미롭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학문 간의 경계를 뛰어넘어 지식의 영역을 넓혀 온 연구자들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대한민국 과학칼럼니스트 '1호'로서 최신 과학·공학 지식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독창적이고 흥미롭게 소개해 왔다. 그동안 전혀 다뤄지지 않았던 새로운 주제를 찾아 사적 경험담을 배제한 정통 글쓰기로 국내 과학 출판의 토대를 마련해 왔다. 20년 넘게 그가 신문, 잡지에 쓴 원고만도 1만 매(200자 원고지)를 상회한다.

1945년 광주에서 출생하여 광주 서중, 광주 제일고,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 금성반도체 최연소 부장으로 승진, 서른일곱 살이 되던 해에 대성산업 상무이사가 되었지만, 글쓰기에 대한 열정을 포기할 수 없어 전업 과학저술가가 되었다.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과학문화연구소 소장이며, 한국 과학 출판의 산파 역할을 해온 장본인으로 20여 년 동안 전업 과학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부산일보> 등 신문에 300편 이상의 고정칼럼을, <과학동아>, <주간동아>, <시사저널> 등 잡지에 150편 이상의 기명칼럼을 연재하였다. 특히 <동아일보>의 오피니언 면에 2년 3개월간 연재한 "이인식의 과학생각"은 국내 일간지 최초의 시사과학칼럼으로 자리매김되었다. 또한 《21세기 키워드》가 '한국인이 쓴 최초의 21세기 예측서'(중앙일보)로 평가된 것처럼 국내에서 미래예측서를 집필하는 유일무이한 저술가이다. 2003년부터는 청소년을 위한 교양과학도서를 펴내기 시작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저술 부문), 2006년 《과학동아》 창간 20주년 최다기고자 감사패, 2008년 서울대 자랑스런 전자동문상을 수상했다.

세계적인 공학기술 저술가로서 생활 속에서 지나치기 쉬운 공학의 세계를 문학적으로 설명하는 페트로스키처럼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들에게 공학의 재미를 전해 주고자 책을 쓰는 그를 독자들은 '한국의 헨리 페트로스키'라 칭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오늘의 세계를 만든 현대 문명의 뿌리와 인간의 마음 및 의식의 메커니즘을 추적하고 있으며,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경계를 뛰어넘는 지식의 대통합을 위해 새로운 밑그림을 그려 나가고 있다.

저서로는 『사람과 컴퓨터』, 『미래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21세기 키워드』, 『제2의 창세기』, 『신화 상상 동물 백과사전』, 『미래신문』, 『현대 과학의 쟁점』, 『나노 기술이 미래를 바꾼다』 『미래과학의 세계로 떠나보자』, 『새로운 인문주의자는 경계를 넘어라』, 『미래 교양 사전』, 『유토피아 이야기』 『짝짓기의 심리학』, 『이인식의 세계신화여행』등이 있다.

제1회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기술문화 부문),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저술 부문)을 수상했고, 2006년 <과학동아> 창간 20주년 최다기고자 감사패를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8 멀티 유니버스 (원제 : The Hidden Reality, 2011) 8 file 홍경화 2012.02.29 7446 42 브라이언 그린 김영사 이종필 박사(물리학) 2012-03-30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30분
77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1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76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75 삶으로서의 은유 9 file 홍경화 2012.05.30 8385 45 G. 레이코프,M. 존슨 공저 박이정출판사 나익주 박사 (역자) 2012-06-29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출구, 안국역) 오후 7시30분
74 현대예술 5 file 홍경화 2012.07.02 20466 4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7-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73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38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72 자연과학 물리학 클래식 : 물리학 원전을 순례하다 5 file 박용태 2012.09.05 7014 48 이종필 박사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박사(물리학 박사/입자물리학 전공) 2012-09-2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1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70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8 file 이병록 2012.10.31 8027 50 김운회 교수 역사의아침 김운회 교수 2012-11-30 조계사 템플스테이 교육관(3층)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69 법정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file 홍경화 2012.12.03 6851 51 문학의 숲 편집부 문학의숲 백북스 회원 2012-12-1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출구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 30분
68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67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6 file 박인순 2013.02.04 7283 53 헤닝 엥겔른 을유문화사 이정모 2013-02-22 서울 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19~21시
66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17 file 홍경화 2013.02.25 8411 54 윌리엄 데이먼 한국경제신문 한혜민(공역자,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2013-03-19 하자센터(5호선 영등포시장역 1번 출구 or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저녁 7시
65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64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25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63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62 유레카 E=mc² 3 file 홍경화 2013.06.05 6223 58 고중숙 텔림 고중숙 교수 2013-06-28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 저녁 7시30분
61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11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60 비극의 비밀 file 홍경화 2013.08.01 6820 60 강대진 문학동네 강대진 박사 2013-08-30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59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