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0.06.01 22:28

자기와 자기실현

조회 수 887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0
저자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출판사 한길사
발표자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일자 2010-06-23
장소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323234?scode=032&srank=1

책소개


이부영 교수의 <분석심리학의 탐구> 시리즈 제3권. 제1권 『그림자』, 제2권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이어 이번 책에서는 진정한 자기란 무엇이며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본다. '그림자'나 '아니마/아니무스'의 개념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래서 1권과 2권을 먼저 읽는 것이 바람직하긴 하다. 특히 여러 종교나 신화로부터 원형상의 개념과 이미지를 끌어오는 부분은 이런 주제에 익숙지 않은 사람에게는 다소 관념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그리 어렵지 않은 책이며, 저자가 직접 분석한 한국인들의 사례나 우리의 전통 설화를 통해 논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제가 우리에게 가깝게 느껴진다.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에서는 '자기' 및 '자기실현'의 개념, 2장에서는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을 통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이미지, 3장에서는 한국의 민담, 설화 등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상징을 탐구한다.



 저자 : 이부영


李符永 이부영은 한국 융학파의 태두로서 한국에 분석심리학의 씨앗을 뿌리고 분석심리학이 하나의 분과 학문이자 정통한 정신치료술의 하나로 인식되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의 관심사는 1차적으로는 당연히 환자의 치료에 있겠으나, 학문적 성취가 깊어짐에 따라 문학이나 예술 분야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징 체계를 해석하고 그를 통해 한국인의 집단무의식 세계를 해명하는 일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쏟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그동안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단행본을 출간하였다. 단행본 중에서는 분석심리학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심층을 밝혀보려는 의도를 가진 '분석심리학 3부작'이 유명하며, 그 중에서도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외 한국의 민담을 통해 한국인의 무의식을 탐구한 『한국 민담의 심층분석』도 주목할 만한 책이다.

현재 제대로 된 융 선집을 출간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힘을 모으고 있는데, 번역에 충실을 기하기 위해 해마다 한권씩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작업이 완성되는 날 한국인도 비로소 융의 세계를 좀 더 직접적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자기는 모든 것이다

제1장 왜 자기실현인가?
1. 분석심리학에서 본 자아와 자기
자아란 무엇인가?
자기란 무엇인가
자기의 상징적 표현
자기와 신의 상

2. 자기실현 또는 개성화
자기실현이란 무엇인가?
자기실현은 언제 시작되는가?
자기실현의 진행과정
자기인식과 자아팽창의 위험성

제2장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에 나타난 자기와 자기실현의 상징

제3장 한국 전통 문화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상징
1. 신화와 민담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2. 전통 문화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오시는 길


 




 




 


 




 


  • ?
    연탄이정원 2010.06.01 22:28
    "날 유혹하는 서울 백북스"

    자꾸 자꾸 이래도 되는 겁니까? 내가 미쳐요.ㅋㅋ
    요즘 심리학과 철학에 푹 빠진 제게 마치 저를 알고 덤비기라도 하는 듯한 서울 백북스의 도서
    요즘 서울 백북스의 추천도서는,
    아주 "제 맘에 쏙~ 들려고 작정"이라도 한 듯합니다.^^
  • ?
    이기두 2010.06.01 22:28
    .

    연탄님 여러 곳 여행 많이 하시고, 사진 많이 올리시면서....

    서울도 자주 오세요.

    조금 일찍 오셔서
    미술관, 박물관,
    고궁사진도 찍고,
    예쁜 산들 둘러 보시고,

    길잃지 않게
    대전친구 한 분 더 오시면 좋을텐데....



    ^ ^
  • ?
    연탄이정원 2010.06.01 22:28
    이기두 선생님~
    반갑습니다.
    그렇잖아도 5월 31일이 월요일이라 참석하기 편했음에도
    한편으론 아쉬움이 많았답니다.
    미술관 관람이 불가능해서요.
    강신주님께서 말씀한 성곡미술관의 그 모라고 하셨드라... 무슨 차 마셔보라고 하셨는데...?
    그래도 그날 강의후 3호선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기위해 걸어가다가 한국화와 서예 전시회를 관람하기는 했답니다.
    우연히 거리미술전을 발견해서요.^^
    혹여 다음에 또 방문시엔 새벽에 출발해서 많은 것들을 얻어 오려고 합니다.^^
    서울지하철, 차차 익숙해 지겠지요.^^
  • ?
    이기두 2010.06.01 22:28
    .

    광화문 주변만 보아도,

    주변에 성곡미술관, 역사박물관, 시립미술관 등이 있지요.

    경복궁 동편의 미술관들도 보려면 한참 시간이 걸리지요.


    ^ ; ^
  • ?
    정지원 2010.06.01 22:28
    초보백북스회원입니다..^^
    가입만하고 제대로 활동도 못했습니다.문자로 연락받은지 2달정도 되는데..
    이번달도 어김없이 문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달엔 미리 선정도서를 체크하지못해서...다음달에 본격적으로 공부하러 가겠습니다
    비록 참석못하지만 모든분들 알찬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_^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8 지식의 대융합 1 file 송윤호 2010.10.04 8715 24 이인식 고즈윈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 2010-10-25 배움아카데미 저녁 7시
77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1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 자기와 자기실현 5 file 송윤호 2010.06.01 8873 20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한길사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2010-06-23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75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74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11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3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72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 2 file 홍경화 2011.03.27 12976 31 이강영(건국대 물리학부 교수) 사이언스북스 이강영(건국대 물리학부 교수) 2011-04-29 조계종 건너편 템플스테이 3층 '보현' 교육장 저녁 7시
71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70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 2 file 홍경화 2016.07.29 2029 95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6-08-19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69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0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68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67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393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66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17 file 홍경화 2013.02.25 8411 54 윌리엄 데이먼 한국경제신문 한혜민(공역자,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2013-03-19 하자센터(5호선 영등포시장역 1번 출구 or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저녁 7시
65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64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63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17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62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61 자연과학 통찰의 시대 file 홍경화 2015.09.30 1895 86 에릭 켄달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10-30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오후 7시 30분
60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44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59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