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10.06.01 22:28

자기와 자기실현

조회 수 887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0
저자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출판사 한길사
발표자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일자 2010-06-23
장소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323234?scode=032&srank=1

책소개


이부영 교수의 <분석심리학의 탐구> 시리즈 제3권. 제1권 『그림자』, 제2권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이어 이번 책에서는 진정한 자기란 무엇이며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본다. '그림자'나 '아니마/아니무스'의 개념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래서 1권과 2권을 먼저 읽는 것이 바람직하긴 하다. 특히 여러 종교나 신화로부터 원형상의 개념과 이미지를 끌어오는 부분은 이런 주제에 익숙지 않은 사람에게는 다소 관념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그리 어렵지 않은 책이며, 저자가 직접 분석한 한국인들의 사례나 우리의 전통 설화를 통해 논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제가 우리에게 가깝게 느껴진다.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에서는 '자기' 및 '자기실현'의 개념, 2장에서는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을 통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이미지, 3장에서는 한국의 민담, 설화 등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상징을 탐구한다.



 저자 : 이부영


李符永 이부영은 한국 융학파의 태두로서 한국에 분석심리학의 씨앗을 뿌리고 분석심리학이 하나의 분과 학문이자 정통한 정신치료술의 하나로 인식되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의 관심사는 1차적으로는 당연히 환자의 치료에 있겠으나, 학문적 성취가 깊어짐에 따라 문학이나 예술 분야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징 체계를 해석하고 그를 통해 한국인의 집단무의식 세계를 해명하는 일에도 깊은 관심과 애정을 쏟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그동안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단행본을 출간하였다. 단행본 중에서는 분석심리학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심층을 밝혀보려는 의도를 가진 '분석심리학 3부작'이 유명하며, 그 중에서도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외 한국의 민담을 통해 한국인의 무의식을 탐구한 『한국 민담의 심층분석』도 주목할 만한 책이다.

현재 제대로 된 융 선집을 출간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힘을 모으고 있는데, 번역에 충실을 기하기 위해 해마다 한권씩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작업이 완성되는 날 한국인도 비로소 융의 세계를 좀 더 직접적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자기는 모든 것이다

제1장 왜 자기실현인가?
1. 분석심리학에서 본 자아와 자기
자아란 무엇인가?
자기란 무엇인가
자기의 상징적 표현
자기와 신의 상

2. 자기실현 또는 개성화
자기실현이란 무엇인가?
자기실현은 언제 시작되는가?
자기실현의 진행과정
자기인식과 자아팽창의 위험성

제2장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에 나타난 자기와 자기실현의 상징

제3장 한국 전통 문화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상징
1. 신화와 민담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2. 전통 문화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오시는 길


 




 




 


 




 


  • ?
    연탄이정원 2010.06.01 22:28
    "날 유혹하는 서울 백북스"

    자꾸 자꾸 이래도 되는 겁니까? 내가 미쳐요.ㅋㅋ
    요즘 심리학과 철학에 푹 빠진 제게 마치 저를 알고 덤비기라도 하는 듯한 서울 백북스의 도서
    요즘 서울 백북스의 추천도서는,
    아주 "제 맘에 쏙~ 들려고 작정"이라도 한 듯합니다.^^
  • ?
    이기두 2010.06.01 22:28
    .

    연탄님 여러 곳 여행 많이 하시고, 사진 많이 올리시면서....

    서울도 자주 오세요.

    조금 일찍 오셔서
    미술관, 박물관,
    고궁사진도 찍고,
    예쁜 산들 둘러 보시고,

    길잃지 않게
    대전친구 한 분 더 오시면 좋을텐데....



    ^ ^
  • ?
    연탄이정원 2010.06.01 22:28
    이기두 선생님~
    반갑습니다.
    그렇잖아도 5월 31일이 월요일이라 참석하기 편했음에도
    한편으론 아쉬움이 많았답니다.
    미술관 관람이 불가능해서요.
    강신주님께서 말씀한 성곡미술관의 그 모라고 하셨드라... 무슨 차 마셔보라고 하셨는데...?
    그래도 그날 강의후 3호선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기위해 걸어가다가 한국화와 서예 전시회를 관람하기는 했답니다.
    우연히 거리미술전을 발견해서요.^^
    혹여 다음에 또 방문시엔 새벽에 출발해서 많은 것들을 얻어 오려고 합니다.^^
    서울지하철, 차차 익숙해 지겠지요.^^
  • ?
    이기두 2010.06.01 22:28
    .

    광화문 주변만 보아도,

    주변에 성곡미술관, 역사박물관, 시립미술관 등이 있지요.

    경복궁 동편의 미술관들도 보려면 한참 시간이 걸리지요.


    ^ ; ^
  • ?
    정지원 2010.06.01 22:28
    초보백북스회원입니다..^^
    가입만하고 제대로 활동도 못했습니다.문자로 연락받은지 2달정도 되는데..
    이번달도 어김없이 문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달엔 미리 선정도서를 체크하지못해서...다음달에 본격적으로 공부하러 가겠습니다
    비록 참석못하지만 모든분들 알찬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_^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9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48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25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7 편향 1 file 홍경화 2013.07.02 6111 59 이남석 옥당 이남석 2013-07-26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6 비극의 비밀 file 홍경화 2013.08.01 6820 60 강대진 문학동네 강대진 박사 2013-08-30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45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44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3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1 file 홍경화 2013.10.01 7350 62 한스 크리스티안 폰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13-10-25 템플스테이(조계사 맞은 편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2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1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40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9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38 유레카 E=mc² 3 file 홍경화 2013.06.05 6223 58 고중숙 텔림 고중숙 교수 2013-06-28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 저녁 7시30분
37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36 자연과학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file 한정규 2015.04.02 1985 80 Gerhard Roth 시그마프레스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2015-04-24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35 자연과학 뇌처럼 현명하게 file 홍경화 2015.02.08 1831 78 패트리샤 처질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5-02-27 템플스테이 3층( 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34 자연과학 생물학 산책 file 홍경화 2015.04.28 1813 81 이일하 궁리 이일하 교수(서울대 생물학) 2015-05-29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33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2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31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2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30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 2 file 홍경화 2016.07.29 2029 95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6-08-19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