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2009.06.29 22:50

미토콘드리아

조회 수 10044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
저자 닉 레인
출판사 뿌리와 이파리
발표자 박문호 박사
일자 2009-07-31
장소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3262417

책소개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시리즈의 일곱 번째 책인 『미토콘드리아: 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는 첨단연구로부터 나온 퍼즐조각을 함께 맞추면서 생물학에 흥미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짜릿함을 느낄 수 있는 그림과 내용이 실려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가 쓰는 에너지의 거의 전부를 생산하는 아주 작은 세포기관으로, 이 작은 발전소가 우리 삶을 조절하는 방식은 놀랍기만 하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마다 평균 300~400개씩 들어 있으며 몸 전체로 따지면 그 수가 모두 1경 개에 이른다.

과학자들은 미토콘드리아의 노예화가 없었다면 우리 모두는 지금도 단세포 생물인 세균을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사실, 미토콘드리아의 중요성은 상상 그 이상이다. 오늘날 선사인류학, 유전질환, 세포자살, 불임, 노화, 생체에너지학, 성, 진핵세포를 다루는 다양한 연구 분야의 중심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있다. 저자 닉 레인은 우리가 사는 세상을 미토콘드리아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복잡성의 형성, 생명의 기원, 성과 생식력, 죽음, 영원한 생명에 대한 기대 같은, 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난제들의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저 : 닉 레인


Nick Lane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의 명예 선임연구원이자 의학 멀티미디어 회사 아델피메디슨의 전前 전략이사다. 2002년에 출간된 첫 번째 책인 『산소: 세상을 만든 분자Oxygen: the Molecule that made the World』로 크게 호평을 얻었다. 그 외 저서로는 『영하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생명Life in the Frozen State』이 있으며 『사이언티픽아메리카』, 『뉴사이언티스트』, 『란셋』, 『브리티시메디컬저널』에 수많은 글을 발표했다.


작가파일보기 역 : 김정은


성신여대에서 생물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펍헙 번역그룹’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믿음 소망 치유 이야기』가 있다. ‘펍헙 번역그룹’(www.pubhub.co.kr)은 뜻있는 번역가들이 모여 전 세계의 좋은 작품들을 소개하고, 기획·번역하는 일을 하고 있는 전문 번역그룹이다.



  • ?
    정수임 2009.06.29 22:50
    임진왜란때 피난하여 산속에 홀로묻혀지내다가 바로 서울한복판에 서 있는 느낌입니다.
    눈이 휘둥그레 졌습니다.안내글 정말 멋져요.
    7월 31일 미토콘드리아 잊지않고 있겠습니다.
  • ?
    서지미 2009.06.29 22:50
    7월의 마지막주 금요일.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있는 날.
    7월의 금요일은 매주 서울 하늘 아래서 보내야 할 듯.
    미토콘드리아를 한국세라믹기술원에서 만날수 있는 기회.
    이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네요.
    존경하는 김경회원장님 계신 곳이라 더욱.
  • ?
    정수임 2009.06.29 22:50
    가고싶은 마음 굴뚝같으나...날아갈 새가없어서....
    그래서 비행기표 예매했
    어요.김포 5시30분도착인데 늦지않을지모르겠어요.
    앗! 대중교통자료 꼼꼼히 필기해서 들고가야겠어요.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8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77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70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76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5 자연과학 어메이징 그래비티 file 한정규 2015.08.06 1735 84 조진호 궁리 조진호 2015-08-28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74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73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2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72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71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70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31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69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68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2 file 홍경화 2014.04.02 6463 68 호아킨 M. 푸스테르 휴먼사이언스 한정규 회원 2014-04-25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67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66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65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1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64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63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21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62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61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60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26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59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1 file 홍경화 2011.01.29 12645 28 김용규 박사 휴머니스트 김용규 박사 2011-02-11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