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09.02.02 20:37

빅뱅

조회 수 647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회차 4
저자 사이먼싱
출판사 영림카디널
발표자 곽영직 교수
일자 2009-02-27





책소개









빅뱅 이론이 무엇이고 어떤 사람들이 연구했는지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우주학자들이 왜 빅뱅 이론이 우주의 기원을 명확하게 밝히는 것으로 믿는지를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출발하여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 케플러, 뉴턴 에서부터 허블, 아인슈타인, 가모브, 호일 등의 과학자들까지 짚어보면서 우주에 대한 인간의 인식이 수정되어온 과정으로 차근차근 안내하고 있다.

고대 문명의 우주관을 시작으로 지구중심 모델에서 태양중심 모델로 이동하는 변화를 다루고, 빛의 속도 측정부터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을 거쳐 상대성이론을 통해 새로워진 우주에 대한 연구가 정적인 우주론에 대항하는 역동적인 우주론을 낳는 과정도 소개한다. 그리고 망원경의 발달에 따른 발견을 다루면서 은하의 크기와 속도 등을 기초로 ‘우주의 팽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모델과 정상우주 모델의 발전, 근거와 약점을 소개하고 두 모델 사이의 논쟁도 정리하고 있으며, 원자핵물리학과 전파천문학의 발전과 우주배경복사의 관측이 빅뱅 모델을 어떻게 뒷받침하는지 알려준다. 물론 빅뱅 이론에 남아 있는 문제와 보완된 이론, 더 나은 관측에 대한 기대도 소개하며 어려운 현대우주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 사이먼 싱






인도 펀자브 근처 서머싯에서 태어나 런던 왕립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BBC 프로듀서였던 그는 The BAFTA Award를 수상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연출 및 공동 제작했고, 이를 같은 제목의 책으로 출간해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현재 런던에서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역 : 곽영직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와 미국 켄터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현재 수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일하면서 자연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저서에『곽영직의 과학 캠프』『자연과학의 올바른 이해』『자연과학의 역사』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빅뱅』『오리진』『괴델과 아인슈타인』『거울 속 물리학』『그레이트 비욘드』를 비롯한 다수가 있다.







 






 






목차



















• 목차보기
 







제1장_시작 : 신화에서 우주학으로
제2장_우주에 대한 이론들 :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이 어떻게 창조의 순간을 잉태했는가?
제3장_대논쟁 : 우주에 대한 관측이 어떻게 우주의 팽창을 알게 해주었는가?
제4장_우주의 외톨이 : 이론과 관측이 어떻게 빅뱅 모델을 만들어 냈는가?
제5장_패러다임의 전환 : 우주론 사이의 전투가 마침내 끝나다
에필로그_빅뱅 모델에 남아 있는 과제는 무엇인가?

오시는 길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건물 지하1층 이벤트홀인데


경희궁의 아침 4단지에서 1층에 신한은행이 있는 건물을 찾으시면 됩니다.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교보문고 매장으로 가시면 안됩니다. 


오시는 길은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8번 출구에서 200미터 정도 됩니다.


 





문의 사항



문경수 : 010-9047-3150

전재영 : 011-9948-4480
  • ?
    김성영 2009.02.02 20:37
    빅뱅강의에 참석하고 싶은데 시간이 안나와 있네요?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세요?
  • ?
    최정수 2009.02.02 20:37
    참가 신청합니다. 너무 늦게 글을 올려서 송구합니다.
    그리고 모임 시간을 문의하신 김성영님, 금요일 (2월27일) 저녁 7시 입니다.
    한눈에 보는 백북스 2월 모임 일정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8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7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57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400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56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9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55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14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54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8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53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52 거의 모든것의 역사 7 file 박용태 2009.10.30 10551 13 빌 브라이슨 까치 역자 이덕환 교수 2009-11-27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 7시
51 이보디보 file 홍경화 2011.05.04 8959 32 Sean B. Carroll 저/김명남 역 지호 엄준호 박사(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5-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 30분
50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6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49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26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48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7 최초의3분 2 file 관리자 2009.04.02 6499 6 스티븐와인버그 양문 신상진 교수 2009-04-24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46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52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45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30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44 법정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file 홍경화 2012.12.03 6851 51 문학의 숲 편집부 문학의숲 백북스 회원 2012-12-1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출구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 30분
43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42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41 자연과학 뇌처럼 현명하게 file 홍경화 2015.02.08 1833 78 패트리샤 처질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5-02-27 템플스테이 3층( 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40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7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39 미토콘드리아 3 file 박용태 2009.06.29 10047 9 닉 레인 뿌리와 이파리 박문호 박사 2009-07-31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