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4.12.11 21:04

런던 미술관 산책

조회 수 369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98
저자 전원경
출판사 시공사
발표자 전원경 박사
일자 2014-12-16
장소 백북스홀(탄방동)
시간 오후 7시

http://www.yes24.com/24/Goods/4058836?Acode=101

***********  강연일시 : 2014년 12월 16일 ( 셋째 화요일)- 저자의 사정으로 1주 앞당깁니다.********


책소개



모든 그림은 저마다의 사연을 담고 있다



런던에 위치한 세계적 명성의 미술관을 소개하고, 그곳에서 만날 수있는 그림들의 독특한 사연을 전하는 미술 에세이. 영국에서 10여 년 동안 거주하며 꾸준히 갤러리를 드나들었던 저자는 자신의 기억 속에 오랫동안 남아 있는 그림들만을 골라 그 속에 숨은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내셔널 갤러리, 코톨드 갤러리, 국립 초상화 미술관, 테이트 브리튼, 테이트 모던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100여 점이 전해 주는 생생한 내력을 만나본다.



지금은 갤러리 벽에 점잖게 걸려 있는 작품들도 그 자리에 가기 전까지 나름의 역사와 다양한 내막을 겪어 왔다. 또한 르네상스의 대작들부터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라파엘 전파, 현대의 명화들까지, 책에 실린 그림들은 영국의 역사나 영국인들의 일상, 또는 유럽의 변화와 발전을 그대로 반영한다. 각양각색의 그림들이 어떻게 태어나서 여기까지 왔는지, 그 내밀한 사연과 여정들은 독자들의 마음에 커다란 울림을 준다. '사연'이 부족해 본문에서 미처 소개하지 못한, 그러나 런던에서 꼭 보아야 할 걸작들은 따로 모아 ‘이외에 꼭 보아야 할 그림’에서 안내한다. 책에 실린 다섯 군데 외에도 런던에서 방문해야 할 미술관 5곳을 추가로 추천해 준다.




저자 소개


저 : 전원경


그림에 대해 가장 지적이고 논리적인 글을 쓰는 예술 에세이스트.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런던 시티 대학교에서 예술경영 및 예술비평으로 석사 학위를,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문화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나이 마흔에 다시 올 수 없는 기회라는 생각에 두 아이를 데리고 영국 글래스고로 날아가 박사 학위를 시작했다. 늦은 나이에 말도 잘 통하지 않는 곳에서 공부를 하는 것만으로도 힘겨운 일인데, 두 아이 엄마 노릇까지 하며 살아가는 글래스고에서의 나날은 지치고 고된 일의 연속이었다. 그 시간들을 견딜 수 있었던 건 늘 위로가 되고 힘을 주는 그림 덕분이었다. 그림 속 아름다운 색채와 화가가 숨겨놓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은 늘 공감이 되고, 위로가 되었으며 내일을 살아갈 힘이 되었다. 그렇게 그림을 통해 받은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들을 나누고 싶은 마음에서 『목요일의 그림』은 시작되었다.



월간 「객석」과 「주간 동아」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는『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 『런던: 숨어있는 보석을 찾아서』 『예술가의 거리』 『짧은 영광 그래서 더 슬픈 영혼』 『역사가 된 남자』 『런던 미술관 산책』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런던에서 즐기는 고품격 산책


영국 런던은 여행자의 시선을 유혹하는 장소들로 넘쳐 난다. 그중에서도 특히 빠트리지 말아야 할 곳이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미술관들이다. 내셔널 갤러리, 코톨드 갤러리, 국립 초상화 미술관, 테이트 브리튼, 테이트 모던이 바로 그곳들로, 여기에서는 교과서에 실렸던 명화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 르네상스의 대작들부터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라파엘 전파, 그리고 현대의 명화들까지, 역사적인 걸작이 런던 여행자들의 산책길을 한층 더 즐겁고 의미 깊은 시간으로 채워 준다.



사연 있는 그림들을 만나다


이 책은 유명한 명화들을 많이 소개하고 있지만, 저자가 이 그림들을 선택한 이유는 명성이 아닌 특이한 ‘사연들’ 때문이다. 지금은 갤러리 벽에 다른 작품들과 함께 점잖게 걸려 있지만, 그림들은 이 자리에 오기 전까지 나름의 역사와 다양한 내막을 겪어 왔다.


모네의 서정적인 템스 강 풍경화에는 산업혁명의 여파로 당시 심각하게 오염되었던 런던의 역사가 숨겨져 있으며, 마네의 술집 장면에는 대도시의 고단한 노동에 지친 젊은 여급의 우울한 표정이 잘 포착되어 있다. 품위 있게 차려입은 어느 왕족의 초상화에서는 왕조 몇 대에 걸친 피비린내 나는 역사가 스멀거리기도 하고, 어떤 그림은 폐기될 기구한 운명에 처하기도 하며, 또 어떤 그림은 끔찍한 복수담이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각양각색의 그림들이 어떻게 태어나서 여기까지 왔는지, 그 내밀한 사연과 여정들은 우리의 마음에 커다란 울림을 준다.



그림에서 영국을 읽다


어떤 그림이든 간에 그것이 그려진 시대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런던 미술관에서 만난 그림들 역시 자신을 탄생시킨 영국과 런던의 역사, 문화, 생활 풍습을 잘 반영하여 우리에게 전해 준다.


부엉이처럼 매서운 눈을 가진 헨리 8세의 초상은 왕비를 여섯 명이나 갈아 치우고 그중 두 명을 처형한 무서운 전제 군주의 시절을 연상시키며, 페미니즘 문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일컬어지는 버지니아 울프의 모습은 당대에 급진적인 지식인 모임이었던 블룸스버리 그룹을 떠오르게 한다. 성서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관능성을 숨기지 못하는 라파엘 전파의 그림들에서는 빅토리아 시대의 이중성을 느낄 수 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초상화에서는 영...런던에서 즐기는 고품격 산책


영국 런던은 여행자의 시선을 유혹하는 장소들로 넘쳐 난다. 그중에서도 특히 빠트리지 말아야 할 곳이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미술관들이다. 내셔널 갤러리, 코톨드 갤러리, 국립 초상화 미술관, 테이트 브리튼, 테이트 모던이 바로 그곳들로, 여기에서는 교과서에 실렸던 명화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 르네상스의 대작들부터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라파엘 전파, 그리고 현대의 명화들까지, 역사적인 걸작이 런던 여행자들의 산책길을 한층 더 즐겁고 의미 깊은 시간으로 채워 준다.



사연 있는 그림들을 만나다


이 책은 유명한 명화들을 많이 소개하고 있지만, 저자가 이 그림들을 선택한 이유는 명성이 아닌 특이한 ‘사연들’ 때문이다. 지금은 갤러리 벽에 다른 작품들과 함께 점잖게 걸려 있지만, 그림들은 이 자리에 오기 전까지 나름의 역사와 다양한 내막을 겪어 왔다.


모네의 서정적인 템스 강 풍경화에는 산업혁명의 여파로 당시 심각하게 오염되었던 런던의 역사가 숨겨져 있으며, 마네의 술집 장면에는 대도시의 고단한 노동에 지친 젊은 여급의 우울한 표정이 잘 포착되어 있다. 품위 있게 차려입은 어느 왕족의 초상화에서는 왕조 몇 대에 걸친 피비린내 나는 역사가 스멀거리기도 하고, 어떤 그림은 폐기될 기구한 운명에 처하기도 하며, 또 어떤 그림은 끔찍한 복수담이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각양각색의 그림들이 어떻게 태어나서 여기까지 왔는지, 그 내밀한 사연과 여정들은 우리의 마음에 커다란 울림을 준다.



그림에서 영국을 읽다


어떤 그림이든 간에 그것이 그려진 시대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런던 미술관에서 만난 그림들 역시 자신을 탄생시킨 영국과 런던의 역사, 문화, 생활 풍습을 잘 반영하여 우리에게 전해 준다.


부엉이처럼 매서운 눈을 가진 헨리 8세의 초상은 왕비를 여섯 명이나 갈아 치우고 그중 두 명을 처형한 무서운 전제 군주의 시절을 연상시키며, 페미니즘 문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일컬어지는 버지니아 울프의 모습은 당대에 급진적인 지식인 모임이었던 블룸스버리 그룹을 떠오르게 한다. 성서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관능성을 숨기지 못하는 라파엘 전파의 그림들에서는 빅토리아 시대의 이중성을 느낄 수 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초상화에서는 영국 문화의 뿌리와 힘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림들의 각기 다른 일화를 친근하게 전해 주는 이 책은 본문에서 미처 소개하지 못한 명화들을 따로 모아 ‘이외에 꼭 보아야 할 그림’에서 소개하고 있으며, 내셔널 갤러리, 코톨드 갤러리, 국립 초상화 미술관, 테이트 브리튼, 테이트 모던 외에도 런던에서 꼭 방문해야 할 미술관 5곳을 추가로 추천해 준다.


  • ?
    송윤호 2014.12.13 12:16
    회원님들 드릴 책 선물 가지고 참석하겠습니다. ^^
  • ?
    이근완 2014.12.13 12:16
    2014 마무리를 좋은 강의로 할 수 있어서 너무 기대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61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4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360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9 265 나는 왜 일하는가 file 유화현 2013.07.11 4756 헬렌 S. 정 인라잇먼트 문경목 회원님 2013-07-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8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29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7 73 나비효과 디지털 마케팅 file 관리자 2005.06.28 3741 안종배 미래의 창 이은석 2005-07-12
356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9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355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7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54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53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52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5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51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38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0 264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4 file 유화현 2013.06.28 4540 알렉산더 즈본킨 양철북 역자 박병하 박사님 2013-07-09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349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80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48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47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346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301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45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9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344 122 인문사회 논어 file 박문호 2007.07.13 4958 동양고전연구회 지식산업사 이숙희 2007-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3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4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2 155 뇌 생각의 출현 file 박문호 2008.11.26 5400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2-09
341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2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340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8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339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38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7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0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36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88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5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6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4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2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333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2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2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4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331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30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14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329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9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28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3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27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326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2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25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5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324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7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23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8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22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7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