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14.09.26 02:51

언어의 탄생

조회 수 4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93
저자 필립 리버만
출판사 글로벌콘텐츠
발표자 역자 김형엽 교수
일자 2014-10-14
장소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908559

장소 유성도서관입니다.

<입장료>
직장인: 1만원
학생: 5천원 
*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백북스 대전지역간사 이근완: 010 4538 7435

<책소개>

본서의 저자 필립 리버만은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왜 인간만이? 

지금까지 여러 학문분야에서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무단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학자들 중에는 인간을 규명하고자 정의들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인간에게 특정한 별칭을 부여하여 인간만의 특성을 설명하려는 시도들도 수없이 반복되었다. 예를 들면, 인간을 가리켜 ‘사회적 동물’이라는 제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명칭은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간의 특성을 각자 제시하라고 한다면 단연코 ‘언어’라는 측면을 무엇보다도 우선시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왜 하필 언어? 

본서의 저자는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독자적으로 해당 질문에 대한 자료들을 조사하던 중 맞닥뜨린 필립 리버만(Philip Lieberman)의 저서는 바로 답을 찾아 헤매던 시기에 나타난 중요한 돌파구였다. 

왜 그 중 리버만? 

원서 내용을 읽어보면 인간이 어떤 경로로 지금과 같은 언어를 소유하게 된 원인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리버만 자신의 언어학적 배경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총망라하면서, 인간과 언어의 밀접한 관련성을 심오하고도 명쾌한 문체로 객관적이면서도 아주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설명 방법은 이전의 언어학자들이 취했던 견해와는 아주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기존의 언어학 분야에서는 인간과 언어의 관련성을 설명할 때는 주로 철학적 사상가들의 언어에 대한 설명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요점 정리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고대시대부터 근대시대까지 철학자들의 언어에 대한 인식 및 분석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였다. 그렇지만, 리버만의 저서 내용은 완전히 다른 관점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게 세 가지로 리버만의 특징을 꼽는다면,

첫째는 인간의 언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류의 조상을 조사하는 고고학적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이다.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데 최초 원시인들의 유골들을 분석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었다. 인간의 두개골에서 구강 부위에 초점을 두어 인간만이 언어를 소유하게 된 이유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각도의 언어적 기원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인간 두뇌의 신경구조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고려해 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 두뇌의 생체적 구조를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인간이 다른 기타 포유류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적 능력을 소지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지능은 언어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한 구조 형성에 핵심적인 토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능숙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셋째는 인간의 희생적 행동양식을 중심으로 인간에게만 높은 수준의 언어가 발생하는 이유를 찾으려고 한다. 우선 인간이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수행과정을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희생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오직 인간만이 해탈에 이르려는 노력을 오랜 세월동안 수없이 반복하여 시도하였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독특하면서도 무한정한 정신적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바로 이와 같은 엄청난 정신적 잠재력을 기초로 인간은 매우 정교하고 치밀한 구조의 언어를 생성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 저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 책! 

이 책의 역자는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하는가?>를 통하여 언어학자, 미래 언어학 연구자들 그리고 주변 관련 연구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인간과 언어와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전문 연구서를 마련해주려 한다. 그리고 일반인들 중 도대체 언어란 무엇이며, 인간이 왜 현재와 같은 형태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에게는 스스로 답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교양지침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41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3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240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239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238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237 33 대화의 법칙 file 관리자 2003.09.30 3972 래리 킹 청년정신 김홍범 2003-11-05
236 32 마당을 나온 암탉 file 관리자 2003.09.30 3945 황선미 사계절 아동문고 장미란 2003-10-25
235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35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234 41 처음 만나던 때 file 관리자 2004.02.26 3903 김광규 문학과 지성사 최종후 2004-03-09
233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1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232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7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231 36 생각이 솔솔 file 관리자 2003.12.09 3881 애드워드 드 보노 (주)한언 문경수 2003-12-20
230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229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71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228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71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227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8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226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4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225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1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224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0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223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222 47 유인원과의 산책 file 관리자 2004.05.25 3831 사이 몽고메리 르네상스 심정자 교수 2004-06-08
221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220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219 72 CEO 박정희 file 관리자 2005.06.14 3824 홍하상 국일미디어 이석봉 2005-06-28
218 88 (자연이 주는 최상의 약) 물 file 관리자 2006.02.09 3822 F.뱃맨겔리지 동도원 박성일 2006-02-28
217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216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5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215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214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213 30 최고경영자 예수 file 관리자 2003.08.29 3793 로리 베스 존스 한언 송윤호 2003-09-19
212 38 2막 file 관리자 2004.01.15 3791 스테판 M. 폴란,마크 레빈 명진출판 정유현 2004-01-27
211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85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210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209 56 영조와 정조의 나라 file 관리자 2004.10.11 3742 박광용 푸른역사 박문호 2004-10-26
208 73 나비효과 디지털 마케팅 file 관리자 2005.06.28 3741 안종배 미래의 창 이은석 2005-07-12
207 83 샤갈의 미술세계 file 관리자 2005.11.26 3734 이재흥 100 이재흥 2005-12-13
206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1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205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204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203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202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13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