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14.09.26 02:51

언어의 탄생

조회 수 4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93
저자 필립 리버만
출판사 글로벌콘텐츠
발표자 역자 김형엽 교수
일자 2014-10-14
장소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908559

장소 유성도서관입니다.

<입장료>
직장인: 1만원
학생: 5천원 
*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백북스 대전지역간사 이근완: 010 4538 7435

<책소개>

본서의 저자 필립 리버만은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왜 인간만이? 

지금까지 여러 학문분야에서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무단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학자들 중에는 인간을 규명하고자 정의들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인간에게 특정한 별칭을 부여하여 인간만의 특성을 설명하려는 시도들도 수없이 반복되었다. 예를 들면, 인간을 가리켜 ‘사회적 동물’이라는 제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명칭은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간의 특성을 각자 제시하라고 한다면 단연코 ‘언어’라는 측면을 무엇보다도 우선시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왜 하필 언어? 

본서의 저자는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독자적으로 해당 질문에 대한 자료들을 조사하던 중 맞닥뜨린 필립 리버만(Philip Lieberman)의 저서는 바로 답을 찾아 헤매던 시기에 나타난 중요한 돌파구였다. 

왜 그 중 리버만? 

원서 내용을 읽어보면 인간이 어떤 경로로 지금과 같은 언어를 소유하게 된 원인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리버만 자신의 언어학적 배경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총망라하면서, 인간과 언어의 밀접한 관련성을 심오하고도 명쾌한 문체로 객관적이면서도 아주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설명 방법은 이전의 언어학자들이 취했던 견해와는 아주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기존의 언어학 분야에서는 인간과 언어의 관련성을 설명할 때는 주로 철학적 사상가들의 언어에 대한 설명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요점 정리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고대시대부터 근대시대까지 철학자들의 언어에 대한 인식 및 분석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였다. 그렇지만, 리버만의 저서 내용은 완전히 다른 관점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게 세 가지로 리버만의 특징을 꼽는다면,

첫째는 인간의 언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류의 조상을 조사하는 고고학적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이다.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데 최초 원시인들의 유골들을 분석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었다. 인간의 두개골에서 구강 부위에 초점을 두어 인간만이 언어를 소유하게 된 이유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각도의 언어적 기원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인간 두뇌의 신경구조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고려해 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 두뇌의 생체적 구조를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인간이 다른 기타 포유류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적 능력을 소지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지능은 언어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한 구조 형성에 핵심적인 토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능숙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셋째는 인간의 희생적 행동양식을 중심으로 인간에게만 높은 수준의 언어가 발생하는 이유를 찾으려고 한다. 우선 인간이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수행과정을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희생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오직 인간만이 해탈에 이르려는 노력을 오랜 세월동안 수없이 반복하여 시도하였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독특하면서도 무한정한 정신적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바로 이와 같은 엄청난 정신적 잠재력을 기초로 인간은 매우 정교하고 치밀한 구조의 언어를 생성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 저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 책! 

이 책의 역자는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하는가?>를 통하여 언어학자, 미래 언어학 연구자들 그리고 주변 관련 연구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인간과 언어와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전문 연구서를 마련해주려 한다. 그리고 일반인들 중 도대체 언어란 무엇이며, 인간이 왜 현재와 같은 형태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에게는 스스로 답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교양지침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60 90 유뇌론 file 관리자 2006.03.20 3647 요로다케시 재인 박문호 2006-03-28
359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8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4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7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6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55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4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4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53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2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51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50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49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348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79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47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346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8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345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3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4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43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42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41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5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340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18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39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20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8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7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36 85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file 관리자 2005.12.21 3612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강신철 2006-01-10
335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8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34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4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3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3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32 443 경영경제 [백북스시즌2 책밤3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실리콘 밸리 file 조수윤 2022.03.07 245 애덤 피셔 워터베어프레스 책밤지기 : 윤수영 트레바리 대표 2022-03-08 이도저도 오후 7:15
331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30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29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328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7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327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26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69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325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2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24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1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323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9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2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41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21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4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