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14.09.26 02:51

언어의 탄생

조회 수 4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93
저자 필립 리버만
출판사 글로벌콘텐츠
발표자 역자 김형엽 교수
일자 2014-10-14
장소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908559

장소 유성도서관입니다.

<입장료>
직장인: 1만원
학생: 5천원 
*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백북스 대전지역간사 이근완: 010 4538 7435

<책소개>

본서의 저자 필립 리버만은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왜 인간만이? 

지금까지 여러 학문분야에서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무단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학자들 중에는 인간을 규명하고자 정의들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인간에게 특정한 별칭을 부여하여 인간만의 특성을 설명하려는 시도들도 수없이 반복되었다. 예를 들면, 인간을 가리켜 ‘사회적 동물’이라는 제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명칭은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간의 특성을 각자 제시하라고 한다면 단연코 ‘언어’라는 측면을 무엇보다도 우선시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왜 하필 언어? 

본서의 저자는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과 언어의 긴밀성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고자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아울러 교육의 장에서도 이런 점을 부각시키는데 수많은 시간과 노력하였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에서 ‘영어’가 사회적 진출을 보장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이 되어 버린 현실을 접하면서, 도대체 언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유독 인간만이 복잡한 구조의 언어적 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 나름대로 고심에 빠지기도 하였다.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말을 할 수 있는가?>는 바로 이런 학문적 고심에 저자가 해답을 찾아가며, 나아가서는 여러 사람들에게도 언어와 인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독자적으로 해당 질문에 대한 자료들을 조사하던 중 맞닥뜨린 필립 리버만(Philip Lieberman)의 저서는 바로 답을 찾아 헤매던 시기에 나타난 중요한 돌파구였다. 

왜 그 중 리버만? 

원서 내용을 읽어보면 인간이 어떤 경로로 지금과 같은 언어를 소유하게 된 원인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리버만 자신의 언어학적 배경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총망라하면서, 인간과 언어의 밀접한 관련성을 심오하고도 명쾌한 문체로 객관적이면서도 아주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설명 방법은 이전의 언어학자들이 취했던 견해와는 아주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기존의 언어학 분야에서는 인간과 언어의 관련성을 설명할 때는 주로 철학적 사상가들의 언어에 대한 설명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요점 정리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고대시대부터 근대시대까지 철학자들의 언어에 대한 인식 및 분석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였다. 그렇지만, 리버만의 저서 내용은 완전히 다른 관점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게 세 가지로 리버만의 특징을 꼽는다면,

첫째는 인간의 언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류의 조상을 조사하는 고고학적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이다.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데 최초 원시인들의 유골들을 분석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었다. 인간의 두개골에서 구강 부위에 초점을 두어 인간만이 언어를 소유하게 된 이유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각도의 언어적 기원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인간 두뇌의 신경구조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과 언어의 연관성을 고려해 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 두뇌의 생체적 구조를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인간이 다른 기타 포유류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적 능력을 소지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지능은 언어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한 구조 형성에 핵심적인 토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능숙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셋째는 인간의 희생적 행동양식을 중심으로 인간에게만 높은 수준의 언어가 발생하는 이유를 찾으려고 한다. 우선 인간이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수행과정을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희생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오직 인간만이 해탈에 이르려는 노력을 오랜 세월동안 수없이 반복하여 시도하였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독특하면서도 무한정한 정신적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바로 이와 같은 엄청난 정신적 잠재력을 기초로 인간은 매우 정교하고 치밀한 구조의 언어를 생성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 저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 책! 

이 책의 역자는 <언어의 탄생: 왜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하는가?>를 통하여 언어학자, 미래 언어학 연구자들 그리고 주변 관련 연구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인간과 언어와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전문 연구서를 마련해주려 한다. 그리고 일반인들 중 도대체 언어란 무엇이며, 인간이 왜 현재와 같은 형태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에게는 스스로 답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교양지침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07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1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06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60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05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49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304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303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0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302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301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30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299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298 352 인문사회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file 이근완 2017.04.13 294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1세기북스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017-04-27 스페이스 C#4층 강당(대전 한국 화학연구원 정문) 2017년 4월 27일 오후 7시
297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1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296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295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294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6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293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292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26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291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2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290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7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289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5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288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287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6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301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5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284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3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283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282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65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281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14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280 42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1]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file 조수윤 2021.04.14 222 구정은 후마니타스 책밤지기 : 정혜승 2021-04-27 이도저도 오후 7:15
279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85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278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3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277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276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9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275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2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274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273 433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0] 모스크바의 신사 1 file 조수윤 2021.10.05 300 에이모 토울스 현대문학 책밤지기 : 최진영(과학과 사람들 대표) 2021-10-12 이도저도 오후 7:15
272 43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1] 슬픈 불멸주의자 file 조수윤 2021.10.18 254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흐름출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2021-10-26 이도저도 오후 7:15
271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8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270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2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269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76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268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4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