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2.07.02 23:10

그림과 눈물

조회 수 470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41
저자 제임스 엘킨스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일자 2012-07-10
장소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오후7시

http://www.yes24.com/24/Goods/2790114?Acode=101

책소개


거두절미하고 묻자, 당신은 그림 앞에서 울어본 적이 있는가? 그림을 보고 울 수도 있느냐고, 외려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이상할 것 없는
반응이다. 미술관만 가 봐도 그렇다. 얼굴 가득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채 사람들은 귓속말로 예의 바르게 속삭이고 “아름답다!” 감탄사를 내뱉기도
하면서, 부드럽고 단정한 몸짓으로 일관한다. 그림 앞에서 흥분을 한다거나 당혹스러워한다거나 심지어 눈물을 흘린다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어떻게 모든 사람이, 그렇게 많은 그림 앞에서, 똑같이 반응하는 일이 가능하단 말인가. 성격도 취향도 배경도 경험도 모두
다른 사람들이, 주제도 내용도 양식도 그린 사람도 모두 다른 그림들 앞에서, 어떻게 한결같은 반응을 보일 수 있단 말인가.


책을 쓴 제임스 엘킨스도 그것이 궁금했다. 정말 그림 앞에서 우는 사람도 있을까, 그것이 가능한 일일까. 그래서 찾아보기로 했다. 그는 각종
신문과 잡지에 ‘그림 앞에서 눈물을 흘린 경험담을 들려달라’는 설문을 싣고 소식이 오기를 기다렸다. 답장을 많이 받으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는데,
뜻밖의 결과에 놀랐다. 전화와 이메일, 편지 등 모두 4백 통이 넘는 회신이 왔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고, 분석하고,
그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궁금증을 풀어갔다. 그렇게 2년여에 걸친 밀도 있는 연구 끝에, 이 책이 탄생했다.

『그림과 눈물』은 그림
앞에서 울어본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그들의 심리를 분석하고 눈물의 원인을 추적하는 한편, 역사를 되짚어 눈물이 마르게 된 다양한 계기를
찾아낸다. 그림을 보며 꼭 울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울지 못한 우리를 탓하거나, 우는 방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왜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그림을 감상하고, 운다는 것을 뜻밖의 반응이라고 여기게 되었는지, 눈물이 말라버린 21세기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하나씩 짚어가며
그림에 대한 인식과 감상 태도를 점검한다. 운다는 것은 어떤 경험인지 들어보고, 울지 않는 우리는 제대로 보고 느끼고 있는 것인지 되돌아보면서,
혹시 뭔가가 우리의 눈물을 억누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당신이 원한다면) 울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보자고 손을 내민다.


Who's 김홍섭

profile

불꽃은 완전 연소를 꿈꾼다

백북스 웹마스터

Atachment
첨부 '1'
  • ?
    정남수 2012.07.02 23:10
    거두절미하고 답하면 저는 아직 그림 앞에서 울어본 적이 없습니다.ㅎㅎ
    너무 몰라서 그렇기도 했고,
    너무 아는척 하고싶어서 그러기도 했고^^

    A&U 시사 모임 통해서 그림에 대해 발만 담가보고는 알았지요.
    하아~ 내가 완전 건방졌구나ㅋㅋㅋㅋㅋ

    이번 강연도 기대됩니다~
  • ?
    박주한 2012.07.02 23:10
    오호..오늘 책을 받았습니다. 두께 아주 좋습니다. ㅋㅋㅋ
    그럼 얼마 안남은 모임까지..최선을 다해 ..ㅋㅋ
  • ?
    정근원 2012.07.02 23:10
    저는 로댕 박물관 후원에서 조각을 본 후 울었습니다. 1980년 11월 초였지요. 사진으로만 본 로댕의 조각을 본다는 셀렘으로 정문을 들어가자 화집에서 본 조각들이 정원에서 시작해서 넓은 박물관에 엄청난 양의 조각품이 있었습니다. 후원으로 난 문을 나서자 넓은 정원에도 조각들이 있었습니다. 로댕의 정신이 내 속에서 움직였는지 잘 오지 않는 함박눈이 펑펑 내리는데 아무도 없는 정원에서 대성통곡을 했답니다.
    또 한번은 프랑스 북동쪽의 작은 도시 콜마의 미술관에서 '돈키호테와 산초' 그림을 보고 공원에서 또 대성통곡을 했습니다. 아마 지나가는 사람들이 좀 돌았나 했을지 모르지만 그렇게 울었습니다. 둘다 슬픔 때문이 아니라 가누기 힘든 정서적인 격정(?)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이왕 나온김에 모네 전시장에서 몽마르뜨르 공원을 배경으로 소녀의 슬픈 눈을 한 그림 앞에서 등골을 타고 격렬하게 흐르는 강한 에너지를 느꼈었습니다. 너무도 강해서 미술관을 갈 때는 때로 걱정을 하기도 한답니다. 독일의 미술관에서도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에라 또 다른 경험도 쓰고 싶네요. 저는 예술가가 아니어서 이런 경험은 무엇인지 궁금한데, 전문가가 저의 의문에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맘이 들어서입니다.
    음악을 들으면서도 이와 비슷한 경험들이 있었습니다. 음악 얘기는 분야가 다르니까 이만 줄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지, 이럴 때 드는 의문을 어떻게 풀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저의 글에 의견을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81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3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80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50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9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5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478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21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477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8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6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81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5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40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474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83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3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6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472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30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471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8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0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54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9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7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468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7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467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95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466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61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5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9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64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40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463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9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2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61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7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0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5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9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5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58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22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7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6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5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454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62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3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5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52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7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1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6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50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9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8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71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7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9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46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8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5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4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9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3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7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2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6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