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2.07.02 23:10

그림과 눈물

조회 수 470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41
저자 제임스 엘킨스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일자 2012-07-10
장소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오후7시

http://www.yes24.com/24/Goods/2790114?Acode=101

책소개


거두절미하고 묻자, 당신은 그림 앞에서 울어본 적이 있는가? 그림을 보고 울 수도 있느냐고, 외려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이상할 것 없는
반응이다. 미술관만 가 봐도 그렇다. 얼굴 가득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채 사람들은 귓속말로 예의 바르게 속삭이고 “아름답다!” 감탄사를 내뱉기도
하면서, 부드럽고 단정한 몸짓으로 일관한다. 그림 앞에서 흥분을 한다거나 당혹스러워한다거나 심지어 눈물을 흘린다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어떻게 모든 사람이, 그렇게 많은 그림 앞에서, 똑같이 반응하는 일이 가능하단 말인가. 성격도 취향도 배경도 경험도 모두
다른 사람들이, 주제도 내용도 양식도 그린 사람도 모두 다른 그림들 앞에서, 어떻게 한결같은 반응을 보일 수 있단 말인가.


책을 쓴 제임스 엘킨스도 그것이 궁금했다. 정말 그림 앞에서 우는 사람도 있을까, 그것이 가능한 일일까. 그래서 찾아보기로 했다. 그는 각종
신문과 잡지에 ‘그림 앞에서 눈물을 흘린 경험담을 들려달라’는 설문을 싣고 소식이 오기를 기다렸다. 답장을 많이 받으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는데,
뜻밖의 결과에 놀랐다. 전화와 이메일, 편지 등 모두 4백 통이 넘는 회신이 왔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고, 분석하고,
그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궁금증을 풀어갔다. 그렇게 2년여에 걸친 밀도 있는 연구 끝에, 이 책이 탄생했다.

『그림과 눈물』은 그림
앞에서 울어본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그들의 심리를 분석하고 눈물의 원인을 추적하는 한편, 역사를 되짚어 눈물이 마르게 된 다양한 계기를
찾아낸다. 그림을 보며 꼭 울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울지 못한 우리를 탓하거나, 우는 방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왜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그림을 감상하고, 운다는 것을 뜻밖의 반응이라고 여기게 되었는지, 눈물이 말라버린 21세기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하나씩 짚어가며
그림에 대한 인식과 감상 태도를 점검한다. 운다는 것은 어떤 경험인지 들어보고, 울지 않는 우리는 제대로 보고 느끼고 있는 것인지 되돌아보면서,
혹시 뭔가가 우리의 눈물을 억누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당신이 원한다면) 울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보자고 손을 내민다.


Who's 김홍섭

profile

불꽃은 완전 연소를 꿈꾼다

백북스 웹마스터

Atachment
첨부 '1'
  • ?
    정남수 2012.07.02 23:10
    거두절미하고 답하면 저는 아직 그림 앞에서 울어본 적이 없습니다.ㅎㅎ
    너무 몰라서 그렇기도 했고,
    너무 아는척 하고싶어서 그러기도 했고^^

    A&U 시사 모임 통해서 그림에 대해 발만 담가보고는 알았지요.
    하아~ 내가 완전 건방졌구나ㅋㅋㅋㅋㅋ

    이번 강연도 기대됩니다~
  • ?
    박주한 2012.07.02 23:10
    오호..오늘 책을 받았습니다. 두께 아주 좋습니다. ㅋㅋㅋ
    그럼 얼마 안남은 모임까지..최선을 다해 ..ㅋㅋ
  • ?
    정근원 2012.07.02 23:10
    저는 로댕 박물관 후원에서 조각을 본 후 울었습니다. 1980년 11월 초였지요. 사진으로만 본 로댕의 조각을 본다는 셀렘으로 정문을 들어가자 화집에서 본 조각들이 정원에서 시작해서 넓은 박물관에 엄청난 양의 조각품이 있었습니다. 후원으로 난 문을 나서자 넓은 정원에도 조각들이 있었습니다. 로댕의 정신이 내 속에서 움직였는지 잘 오지 않는 함박눈이 펑펑 내리는데 아무도 없는 정원에서 대성통곡을 했답니다.
    또 한번은 프랑스 북동쪽의 작은 도시 콜마의 미술관에서 '돈키호테와 산초' 그림을 보고 공원에서 또 대성통곡을 했습니다. 아마 지나가는 사람들이 좀 돌았나 했을지 모르지만 그렇게 울었습니다. 둘다 슬픔 때문이 아니라 가누기 힘든 정서적인 격정(?)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이왕 나온김에 모네 전시장에서 몽마르뜨르 공원을 배경으로 소녀의 슬픈 눈을 한 그림 앞에서 등골을 타고 격렬하게 흐르는 강한 에너지를 느꼈었습니다. 너무도 강해서 미술관을 갈 때는 때로 걱정을 하기도 한답니다. 독일의 미술관에서도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에라 또 다른 경험도 쓰고 싶네요. 저는 예술가가 아니어서 이런 경험은 무엇인지 궁금한데, 전문가가 저의 의문에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맘이 들어서입니다.
    음악을 들으면서도 이와 비슷한 경험들이 있었습니다. 음악 얘기는 분야가 다르니까 이만 줄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지, 이럴 때 드는 의문을 어떻게 풀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저의 글에 의견을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20 161 최초의 3분 file 관리자 2009.02.25 5224 스티븐 와인버그 양문 김봉규 박사 2009-03-10
319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48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318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317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2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16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19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15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14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313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312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311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10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09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08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07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06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5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05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04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03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2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02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301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75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00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19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99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98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97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9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5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95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94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93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92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291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90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5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89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8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7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86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85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84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3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7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282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281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