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2.05.09 17:49

남극은 왜?

조회 수 596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38
저자 장순근
출판사 지성사
발표자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일자 2012-05-25
장소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저녁 7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8892396
꼭 모시고 싶었던
장순근 박사님의 일정으로 인해
날짜가 5/25 금요일로 조정되었습니다.
장소는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입니다.

입장료: 1만원 (대학생 5천원)

저자소개

장순근
서울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친 뒤, 프랑스 보르도 I 대학교에서 미고생물학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세종기지 건설과 남극 연구에 앞장선 공로로 1986년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으며,『비글호 항해기』를 번역하여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습니다. 또 2009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도서 부문)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극지연구소 명예연구원으로 계십니다.『남극은 왜?』를 비롯해 극지에 대한 많은 책을 쓰고 번역했습니다.

책소개
사람들의 관심만큼 세상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남극에 대한 이야기와 잘못 알려져 있는 내용들을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꾸민 남극에 관한 해설서이다. 세종기지 월동대 대장으로 남극에서 네 번이나 겨울을 보냈으며, 오랫동안 극지 연구를 해 온 ‘남극박사’ 장순근 선생님이 남극의 자연과 생물 그리고 그곳에 사는 사람과 환경 등 남극에 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준다. 

세상과 동떨어져 아직도 원초적 자연을 유지하고 있는 남극에 어떤 사람들이 발을 디뎠으며, 어떤 탐험이 있었는지, 그리고 지금 그곳에서 사람들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풀 수 있다. 비행장을 건설할 수 없는 환경을 역으로 이용하여 블루 아이스를 활주로로 활용하는 등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의 순리를 따르며 극지에서 사는 사람들과 그들의 생활을 만날 수 있다. 

다른 나라들에 비해 다소 늦게 남극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적극적으로 기지를 세우고 연구원을 상주시키며 남극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남극 연구사를 중심으로 제2 기지를 계획하고, 쇄빙선을 건조해 연구원들의 극지 연구를 돕는 등 남극에서 거두고 있는 과학적 성과를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관심 갖고 있는 만큼 실제 탐험의 기회가 많지 않은 현실 속에서 남극에 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독자들, 특히 청소년 독자들로 하여 아직은 미지의 세계인 남극에 대한 꿈을 갖게 하고 그들의 도전 정신을 자극하고 있다.
  • ?
    임석희 2012.05.09 17:49
    갑자기 남극에서 생활했던 백북스 회원.. 생각이 났습니다.
    보고싶은 닥터 리!
  • ?
    정남수 2012.05.09 17:49
    미지의 세계 남극!
    완전 기대됩니다!!^^
  • ?
    박성혜 2012.05.09 17:49
    아~~ 그럼 저의 발표도 미루어지는 건가요?? ㅋㅋ

  1. 피로사회

  2. 김수영을 위하여

  3.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4.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5. 삶의 정도

  6.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7. 공감의 시대

  8. 남극은 왜?

  9.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10.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11. 여행하는 인문학자

  12. 우린 마을에서 논다

  13. 예수전

  14.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15.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16. 인류의 발자국

  17. 근대예술

  18. 만지고 싶은 기분

  19. 은유가 만드는 삶

  20. 여행준비의 기술

  21. 교양 고전 독서

  22.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23.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24.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25.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26. 미술관에 간 의학자

  27.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28.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29. 바리연가집

  30.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31. 호모 코뮤니타스

  32.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33.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34. 아이투아이(itoi)

  35. 담금질

  36. 물속의 발자국

  37. 생강 발가락

  3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39. 돌아다보면 문득

  40. 삶을 위한 철학수업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