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2.04.25 19:34

김수영을 위하여

조회 수 5763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37
저자 강신주
출판사 천년의상상
발표자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일자 2012-05-08
장소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6870609
* * *

저자 초청 강연입니다.

입장료: 1만원 (대학생이하 5천원)


* * *



19세기 프랑스에는 자본주의라는 거대 구조를 파고드는 철학자 벤야민이 있었다. 그는 인간이 자본에 억눌리고 잠식되는 현실을 깨부수고자 당시 자본주의 최첨단의 도시였던 파리에 침투했다. 그는 거대 구조의 바깥에서 이를 적당히 관조하는 철학자에 머무르지 않았고, 현실에 침투하여 구조를 직시하는 글을 썼다. 결국 그는 강력한 인문학자로 남는다.

그런데 우리 곁에 그와 같은, 아니 그에 비할 수 없이 강력한 인문정신의 소유자가 있었다. 시인 김수영이다. 그는 참여 시인이나 모더니스트 시인으로 오랫동안 오해되어 왔다. 그러나 김수영은 시인이자 혁명가였고, 진정한 인문정신의 소유자였다. 이 책은 그를 바로 보고, 곧추세우는 책이다.

<김수영을 위하여>는 강신주가 본격적으로 자기 지향점을 드러내는 책이다. 즉 철학자로서 인문정신이라는 날카로운 잣대를 들이대며 '자기 이야기'를 써 내려간 책이다. 이 책은 시인 김수영을 이야기하지만 결코 문학비평서가 아니다. 민족주의 시인으로 오해 받았지만 실은 강력한 인문정신의 소유자였던 김수영을 통해 한국 인문학의 뿌리를 찾는 철학서이다. 다시 말해, 1960년대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한 이 땅의 자유와 인문정신에 대한 강신주의 철학적이고 문학적이며 인문적인 고백록이다.

'불온'이란 키워드를 통해 인문학의 주요한 정신과 본질을 제시한 김수영이 한국 인문학의 핵심적인 인물이라는 것을 직감한 철학자 강신주, 김수영의 글쓰기 원동력이었던 설움의 코드를 찾아내어 원고 집필을 제안한 편집자 김서연. 이 책은 지은이의 힘 있는 글쓰기와 편집자의 열망이 합쳐져서 완성되었다.


  • ?
    정남수 2012.04.25 19:34
    봄밤

    - 김수영

    애타도록 마음에 서둘지 말라
    강물 위에 떨어진 불빛처럼
    혁혁한 업적을 바라지 말라
    개가 울고 종이 들리고 달이 떠도
    너는 조금도 당황하지 말라
    술에서 깨어난 무거운 몸이여
    오오 봄이여

    한없이 풀어지는 피곤한 마음에도
    너는 결코 서둘지 말라
    너의 꿈이 달의 행로와 비슷한 회전을 하더라도
    개가 울고 종이 들리고
    기적소리가 과연 슬프다 하더라도
    너는 결코 서둘지 말라
    서둘지 말라 나의 빛이여
    오오 인생이여

    재앙과 불행과 격투와 청춘과 천만인의 생활과
    그러한 모든 것이 보이는 밤
    눈을 뜨지 않은 땅속의 벌레같이
    아둔하고 가난한 마음은 서둘지 말라
    애타도록 마음에 서둘지 말라
    절제여
    나의 귀여운 아들이여
    오오 나의 영감(靈感)이여.

    ------------------------------------

    오래 기억될 또 하나의 봄밤.
    기대됩니다.^^
  • ?
    임덕수 2012.04.25 19:34
    풀 /김수영
    .....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도 더 먼저 일어난다
    ....


    시인이여 침을 뱉어라 절규했던, 그 분
    김수영이 더 그리워집니다.
  • ?
    김소라 2012.04.25 19:34
    강신주 박사님을 직접 볼 수 있다니 아주 영광입니다. '피로사회'때도 꼭 참석하고 싶었는데 불가항력적 사유로 참석못해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이번에는 기필코 참석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강의 끝나고 뒷풀이같은게 있나요?
  • ?
    이서영 2012.04.25 19:34
    잡으니 끝까지 읽을 수 밖에 없게 만드는 강신주교수님의 글.
    자기글을 쓰겠다는
    언제까지나 남의 생각과 남의 표현에 얹혀서 살지 않겠다는 소신.
    저도 이제 그래야겠다는 생각에 부담은 크지만, 기분은 날아갈 것 같습니다.
  • ?
    임석희 2012.04.25 19:34
    아직 책을 열지도 못했지만..
    만나는 사람마다 강신주 교수님의 글 예찬이네요.
    비록 책은 못 읽었어도...
    내일 강연이 마구마구 기대됩니다.
    내일 뵈어요~ ^^
  • ?
    김미진 2012.04.25 19:34
    강신주 박사님의 강의 '세바시'를 통해 봤던 터라 너무 가고 싶네요. ㅠㅠ
    대전까지 가는 교통편이 좋지 않아 참석이 너무 어려워서 속상합니다. 흑흑흑....
    지난번 강의도 그렇지만, 반차를 써야만 갈 수 있어서....
    으윽..... 매일밤 꿈에 또 나올것 같아요. ㅠㅠ
  • ?
    이진경 2012.04.25 19:34
    아..아쉽네요..꼭 참석하고 싶은 시간인데..
    오늘은 어버이날이네요..ㅠㅠ
    부모님과 식사 자리를 하기로 한 터라..
    곧 일이 바빠질 예정이라 그 전에 정기모임 빠지지 말고 가리라 맘 먹었는데.
    어버이날하고 겹치다니..
    좋은 시간되시길 바랍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40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5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9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0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8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7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3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6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5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434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0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3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1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5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1 143 문학예술 가재미 3 file 박문호 2008.05.28 5279 문태준 문학과 지성 문태준 시인 2008-06-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0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4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9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8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3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7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6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5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4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423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2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3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1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0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7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9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8 155 뇌 생각의 출현 file 박문호 2008.11.26 5399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2-09
417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416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8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415 158 사라진 손바닥 file 박문호 2009.01.14 5111 나희덕 문학과지성사 나희덕 시인 2009-01-30
414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6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413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35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412 160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ile 박문호 2009.02.11 4516 앤드루 찰턴 지식의 숲 김홍기 교수 2009-02-24
411 161 최초의 3분 file 관리자 2009.02.25 5224 스티븐 와인버그 양문 김봉규 박사 2009-03-10
410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48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409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408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2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07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19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06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405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404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403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402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401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