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6811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30
저자 김현택
출판사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발표자 임석희
일자 2012-01-31
장소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7:30

http://www.yes24.com/24/Goods/2807397?Acode=101  



























발표자 : 임석희 (한국항공 우주연구원. 발사체 기술연구소 발사체 추진가관팀 선임연구원)

  책소개 
  문화를 통해 오늘날의 러시아를 살펴보는 책. 다양한 분야에서 러시아를 연구하는 다섯 명의 전공자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위치한 러시아 사회의 현재 모습을 우리의 시각에서 포착하고 설명하였다. 특히 각각의 주제를 다루면서 현재 상황과 유사한 역사적ㆍ문화적 패턴을 파악하는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변혁기의 러시아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전체적 방향성을 가늠해보고 있다.




머리말/ iii

서론/ 1

제1부 넘치는 자신감: 푸틴 신드롬/ 11

제1장 올리가르키와 실로비키/ 12
제2장 기업가로 변신한 마피아/ 36
제3장 KGB의 어두운 그림자/ 55
제4장 커져가는 루블의 힘/ 73

제2부 흔들리는 경계와 정체성의 혼란/ 95

제1장 이상에서 현실까지/ 96
제2장 구세주 사원의 부활/ 123
제3장 소비에트 노스탤지어/ 147
제4장 반유태주의와 스킨헤드/ 170

제3부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풍경/ 197

제1장 모스크바는 건설 중/ 198
제2장 상트 페테르부르크의 도전/ 229
제3장 다차에서 타운하우스로/ 257
제4장 기지개를 켜는 시베리아/ 276

제4부 소비하는 러시아/ 297

제1장 세계 명품의 메카 모스크바/ 298
제2장 카추샤에서 마돈나로/ 317
제3장 보드카에 도전하는 맥주/ 332
제4장 소비 시대의 러시아 문화/ 358

책속으로



러시아와 관련하여 공부하는 사람들끼리 모이면 곧잘 화제로 등장하는 것이 이 나라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이다. 최근 현지에 다녀온 동료의 말을 귀담아 듣다보면 몇 달 전 내가 경험한 것은 옛날 얘기에 불과하다는 느낌을 받는 일이 허다하다. 역사의 가속화 과정이 시작된 러시아 사회 전체가 변화로 요동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특파원들이 보내오는 기사나 한 때 유행하던 각종 러시아 방문 인상기들도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회 전반 모습을 그려보기에는 미흡하다. 러시아 사회의 포괄적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그 움직임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일이 지난한 작업이라는 것은 어느 러시아 연구자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러시아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쿠즈마-프루트코프의 재치 있는 표현대로 ‘껴안아 지지 않는 것을 껴안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소련 붕괴 이후 17년 동안 역사상 유례없는 급격한 변화의 격랑을 헤쳐 나온 오늘의 러시아는 몇 명의 러시아 연구자가 제 아무리 팔을 뻗어보아도 껴안을 수 없는 엄청난 거목이다.

이 무모한 일을 그래도 한번 시도해 보자는 몇몇 사람이 의기투합한 것이 이 책의 탄생 배경이다. 애초 목표는 나름의 안목을 가진 여러 분야의 러시아 전공자들이 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일반 독자들에게 최근 러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변화 추이와 그 의미를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멋진 책을 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이 체제 변화 이후 러시아 사회에 나타난 특징적 징후들을 지칭하는 개념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이었다. 여기까지는 그나마 순조로웠지만 소위 말하는 키워드들을 영역별로 분류하고 논리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다섯 명 집필자의 견해가 서로 엇갈리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학술 서적이 아닌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현대 러시아 사회 입문서’ 발간이 원래 취지라는 것을 구실삼아 통일된 시각의 부재 문제를 덮어 둔 채 등장한 골격이 현재 이 책의 모습이다.

정치 경제 분야를 다룬 제 1부 “넘치는 자신감: 푸틴 신드롬”은 러시아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박정호 박사가 담당했고, 러시아 사람들의 의식구조와 정체성 문제에 관한 제 2부 “흔들리는 경계와 정체성의 혼란”은 현지 감각이 탁월한 문준일 박사가 맡았다. 모스크바에서 상트 페테르부르크를 거쳐 지방 도시로 확산되는 삶의 변화 양식은 러시아 문화 연구에 조예가 있는 라승도 박사가 제 3부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풍경”에서 면밀하게 추적했으며, 후기 산업사회에 특징적인 소비문화가 러시아 땅에 갑자기 상륙하면서 나타난 변화무쌍한 현상들은 현대 대중문화에 관심이 많은 이희원 박사가 제 4부 “소비하는 러시아”라는 제목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전체 원고를 읽고 수정 보완하는 작업과 몇몇 장의 집필에는 필자가 직접 참여했다.

각 필자 고유의 문체적 특징에서 기인한 고르지 못한 글, 논지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사례의 부족, 부분적으로 겹치는 내용, 관점의 차이 등 개선의 여지가 많은 원고를 용기를 내어 출판하기로 한 것은 넓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러시아 입문서 발간 작업에 전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한-러 수교를 기점으로 일기 시작한 우리의 러시아에 대한 관심의 열기가 시들해진 지금 두 나라 사이의 다방면에 걸친 교류와 협력은 상호 탐색과 조정 단계를 거쳐 본격적 궤도에 진입하고 있다. 러시아의 역동적인 현재 모습을 조명한 이 책이 우리에게 이 나라가 갖는 구체적, 잠재적 의미들을 동시에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데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에는 여러 사람의 도움과 격려가 큰 힘이 되었다. 러시아 사회의 변화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는 김정기 박사와 서동주 박사 두 분은 집필진 토론회에 참가하여 책의 구성 틀을 구체화하는 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러시아 관련 실무에 밝은 강현진, 정혜숙 선생님은 해당분야의 최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책 내용의 현장감을 보완하는데 기여했다. 아울러 집필 작업에 대한 격려와 함께 이 책이 러시아연구소 기획도서로 발간되는 것을 허락해 주신 필자의 은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기연수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기획에서 출판까지 전 과정의 실무 작업을 총괄한 라승도 박사의 노력이 없었다면 이 책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꼼꼼하고 진지한 자세로 수고를 아끼지 않은 라 박사와 필자들의 까다로운 주문들을 늘 웃으면서 받아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의 탁경구 선생님께는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2007년 12월 31일 김 현 택 ---머리말 중에서


  • ?
    정남수 2012.01.12 02:46
    석희 언니의 이야기는 굉장한 마력이 있죠.
    듣는 사람을 레드썬!으로 만들어 몰입하게 하는~ㅎㅎ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저는 벌써 마감회식 날짜도 변경해놨습니다! 헤헤헤
  • ?
    이정원 2012.01.12 02:46
    @정남수, 미리 잡혀있다던 회식 날짜 진짜로 옮겨놨네~ 능력자! ㅎㅎ
  • ?
    조수윤 2012.01.12 02:46
    @이정원, 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ㅋㅋㅋ

    어쨌든 저도 모든 약속 뒤로 미루고 참석합니다
    무조건~ 무조건~~ 달려갑니다 ^^
  • ?
    강신철 2012.01.12 02:46
    임석희 씨 발표는 명쾌합니다. 특히 그녀가 난해한 물리공식을 풀어서 설명할 때는 한 편의 시를 읽는 듯합니다.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그녀의 언어 마력에 푹 빠져보고 싶은데 참석하지 못해 아쉽습니다. 누가 동영상 좀 찍어서 미국으로 공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김혜원 2012.01.12 02:46
    저도 달력에 빨간펜으로 크게 동그라미 쳐놨습니다~^^
  • ?
    임석희 2012.01.12 02:46
    오랜만에 왔더니 매달 두번 열리는 정기강연회의 장소가 바뀐다는 걸 첨 알았습니다.
    둘째주에 하는 강연은 유성도서관,
    네째주에 하는 강연은 백북스홀(둔산에 있는 박성일 한의원빌딩 6층)이네요.
    그리고, 이번 달만 설때문에 1주 연기.

    유성도서관으로 갈뻔!한 오래된 초자회원이라, 저처럼 혹시 헷갈리시는 분들 계실까하여 남깁니다.
    지금 발표 자료는 정리중인데, 15년을 압축하는게 만만치 않은 작업이네요.
    31일에 뵈어요~ ^^*
  • ?
    조성희 2012.01.12 02:46
    송윤호 회원님과 어제 문자 주고 받았습니다. 생소한 주제이나 재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친한 동생이 함께 하고 싶어해 일단 가기로 했으나, 제 건강상 리모델링을 할 수가 있어서 변수가 있습니다. 그때 확실해 지면 송윤호회원님께 문자 메세지 취하겠습니다.
  • ?
    서진호 2012.01.12 02:46
    안녕하세요 어제 막 가입한 따끈따끈한 신입회원 입니다.
    고미숙 선생님 책보고 가입했습니다.
    이번 모임에 참석코자 하는대 따로 준비할 거라도 있나요? ^^
  • ?
    이정원 2012.01.12 02:46
    @서진호 님, 책 읽고 오시면 좋구요~ 회비 말고는 따로 준비하실 거 없습니다. ㅎㅎ 대학생 5천원 직장인 1만원입니다. ^^
  • ?
    임석희 2012.01.12 02:46
    반갑습니다. 서진호 회원님..
    백북스에서 활동하실 마음 가지고 오시면 됩니다.. ^^*
    그럼,정기 모임때 뵈어요~
  • ?
    박성혜 2012.01.12 02:46
    똑똑!
    참여하고픈 신입회원, 문 두드려 봅니다.
    저도 환영해 주실꺼지요?

    보태기: 대학원생은... 회비가.. ^^;
  • ?
    임석희 2012.01.12 02:46
    위에 말씀 드렸듯이 짧은 시간에 러시아를 압축해서 설명하려다보니, 쉽지 않은 작업이예요.
    가장 최신의 변화를 잘 보여준 책으로선정했는데,
    (현재 모습과 가장 비슷한 사진들도 잘 나와있구요)
    모든 선정도서가 마찬가지이겠지만,
    이해를 돕기위해 미리 읽고 오셔야
    제가 들려드릴 앞부분의 이야기와 매치가 될 것 같습니다.

    정기강연까지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지만,
    이왕 오시는거.. 책 읽고 오시길... 부탁~ 드려요.

    와우, 떨린다~ ^^
  • ?
    서진호 2012.01.12 02:46
    어제 책 받아서 읽고있는대 은근 재밌네요 ㅎㅎ
    옛날 생각두 나구 ㅋ
    화욜날 뵐께요 ^^
  • ?
    김혜원 2012.01.12 02:46
    오늘 벼락치기로 읽어야겠네요.. 배송은 2주전에 받았는데;; 꼭 읽고 나갈께요~ 다들 내일보아요~
  • ?
    박성혜 2012.01.12 02:46
    저는 벼락치기로 다 읽었습니다. ^^
    어떤 내용의 강연일지... 무척 기대됩니다.
  • ?
    서진호 2012.01.12 02:46
    어제 발표는 넘넘 잘 들었습니다.
    책에서는 느낄수 없었던 팔딱팔딱 뛰는 생동감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
  • ?
    임석희 2012.01.12 02:46
    서진호 회원님, 좋으셨다니 다행이예요. ^^
    약속 지켜주셔서(오겠다는) 고맙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다음 모임에도 나오실거죠? ^^
  • ?
    서진호 2012.01.12 02:46
    그럼요 참석 해야죠 ㅎㅎ
    벌써 다음 강연이 궁금 하네요
    그럼 다음 강연때 뵐께요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5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20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5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8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7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2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116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5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5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4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13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5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2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1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1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10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9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71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108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07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0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16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4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79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3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3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1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10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99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8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4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97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96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9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4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94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79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3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92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4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91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90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0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8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2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88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87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86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85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2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84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8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7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