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1.11.18 19:06

생명 40억년의 비밀

조회 수 66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27
저자 리처드포티
출판사 까치글방
발표자 문경수
일자 2011-12-06
장소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시간 저녁 7시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로 지구의 모든 것을 들려 준 리처드 포티는 이 책에서 40억 년에 걸쳐 일어난 지구 생명의 진화사를 총괄한다. 생명의 연대기와 자전적인 이야기를 병치시켜 생명 진화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다. 생명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질학적으로는 어제에 해당하는 인류의 탄생에서 끝나는 이 책은,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수석 연구원으로 고생물을 연구하며,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온 저자의 혜안이 엿보이는 대표작이다.



저자 : 리터드포티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수석 고생물학자로 30년 넘게 삼엽충을 연구해온 전문가다. 저서로는 『화석: 과거로 가는 열쇠』,『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 1993년에 '올해의 자연과학 책'으로 선정된 『숨겨진 경관』, 론플랑상 후보에 오른 『생명 : 40억 년의 비밀』, 삼엽충을 본격적으로 소개해 새뮤얼 존슨상 후보에 오른 『삼엽충 : 고생대 3억 년을 누빈 진화의 산증인』, 『런던 자연사 박물관』 등이 있다. 2002년에 브리스톨 대학교 고등과학연구소의 과학기술 대중화 담당 콜리어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3년에는 과학 저술 분야에서 이룬 공로로 루이스 록펠러 대학교가 수여하는 토머스 상을 수상했다.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출판사 Review

리처드 포티는 스피츠베르겐 섬으로 생의 첫 지질탐사를 떠났을 때, 섬에 날아든 보잘것없는 종잇조각이 자신의 인생을 바꾸었듯이 생명의 진화 역시 우연으로 점철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사소한 우연이 그의 인생을 바꾸었듯이 우리의 환경이 조금만 달랐다면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모든 생명들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우연들이 만든 생명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임에 틀림없다. 특히 지질 활동으로 인해서 살아남은 암석들이 전혀 없는 시대를 기술한다는 것은 상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자는 이렇듯 불확실한 시대에서부터 생명이 탄생되고 진화한 역사를 따라 내려오는 방식으로 생명을 이야기한다. 또한 40억 년의 생명의 역사 곳곳에 그와 관련된 일화들을 삽입하여 생동감을 더해준다. 

제1장과 2장은 지구의 탄생에서부터 먼지와 돌로 만들어진 지구가 오랜 시간을 거쳐 원시 수프를 만들고, 그 깔개 속에서 원시적인 조직이 탄생한 이야기를 다룬다. 생명은 성장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에너지를 일으키는 반응을 훔쳐와야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제3장부터는 본격적으로 생명의 진화 이야기가 시작된다. 원시적인 세포가 분화하여 점차 복잡한 구조를 띠며, 몸을 만들었다. 생명의 초기 역사는 모두 바다에서 일어났으며, 바다는 유례없는 풍요를 누렸다. 생명의 폭발적인 증가의 바탕이 된 바다에 위기가 닥치고, 그 위기는 생명에게 전화위복의 기회를 제공한다. 
제6장부터는 생명의 육지 정복과 대량 절멸의 역사를 다룬다. 지구가 푸르게 변한 것보다 더 중요한 사건은 없을 것이다. 구조상의 난점을 극복하고 육지를 정복한 식물을 따라 동물들이 뭍으로 올라왔고, 지구는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육지 정복은 생명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었다. 생명이 육지를 정복한 후부터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했던 수많은 생명들이 탄생과 멸종을 이어갔다. 그중에서도 공룡의 탄생과 멸종만큼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이야기는 없을 것이다. 거대 파충류의 멸종 원인을 두고,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으며, 그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제11장은 공룡이 사라진 세계를 지배한 포유류의 탄생과 번성을 다룬다. 제12장은 의식을 가진 존재인 인류의 이야기이다. 인류는 의식적으로 생명의 역사에 관여할 수 있는 최초의 생명으로 우리가 변화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다루어진 수많은 사건들과는 다르다. 변화는 계속되며, 인류는 그 변화의 추가적인 원인이 될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 저자는 라스베이거스의 도박판과 생명의 진화를 비교한다. 우연이 지배하는 세계라는 공통점은 여기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리처드 포티는 “살아 있는 삼엽충이 발견된다면, 나는 전쟁에서 죽었다고 여겼던 소중한 사촌이 살아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만큼이나 기뻐하면서 환영할” 것이라고 밝힐 만큼 고생물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다. 그는 이런 애정을 담아 화석으로밖에는 만나볼 수 없는 수많은 생명들을 생생하게 되살린다. 생명의 역사에는 확실한 것도, 완결판도 결코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생명이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며 앞으로 생명에게 닥칠 고난도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한다. 
저자 리처드 포티(Richard Fortey)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수석 고생물학자이다. 이 책은 론 플랑상 후보에 올랐고, ?삼엽충:진화의 목격자?(2001)는 새뮤얼 존슨상 후보에 올랐으며, ?숨겨진 경관?은 1993년 올해의 자연책으로 선정되었다.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가 있다. 2003년에는 과학 저술 분야에서 이룬 공로로 루이스 토머스 상을 수상했다. 2002년 대중 과학 이해라는 학과의 교수가 되었으며,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발표자 : 문경수

서울산업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 후, 플라스틱소프트웨어에서 SW 모델링 도구 개발에 참여했다. 그 뒤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과학동아 기자를 거쳐 지금은 탐사여행 코디네이터로 활동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61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260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7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59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1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8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7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8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6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6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55 307 인문사회 모델링 file 강신철 2015.05.04 1243 강신철 글누리 강신철 2015-05-12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4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3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3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2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51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1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250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49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249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248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247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26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24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1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245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1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244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5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243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242 284 영혼의 미술관 file 유화현 2014.04.24 4853 알랭 드 보통 (Alain de Botton) 문학동네 이보경 박사(큐레이터) 2014-05-13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41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8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40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5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9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8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7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9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6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235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5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234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5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233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9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232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231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230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229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228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8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227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6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6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6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25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4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91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223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2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222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6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