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1.11.18 19:06

생명 40억년의 비밀

조회 수 66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27
저자 리처드포티
출판사 까치글방
발표자 문경수
일자 2011-12-06
장소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시간 저녁 7시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로 지구의 모든 것을 들려 준 리처드 포티는 이 책에서 40억 년에 걸쳐 일어난 지구 생명의 진화사를 총괄한다. 생명의 연대기와 자전적인 이야기를 병치시켜 생명 진화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다. 생명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질학적으로는 어제에 해당하는 인류의 탄생에서 끝나는 이 책은,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수석 연구원으로 고생물을 연구하며,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온 저자의 혜안이 엿보이는 대표작이다.



저자 : 리터드포티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수석 고생물학자로 30년 넘게 삼엽충을 연구해온 전문가다. 저서로는 『화석: 과거로 가는 열쇠』,『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 1993년에 '올해의 자연과학 책'으로 선정된 『숨겨진 경관』, 론플랑상 후보에 오른 『생명 : 40억 년의 비밀』, 삼엽충을 본격적으로 소개해 새뮤얼 존슨상 후보에 오른 『삼엽충 : 고생대 3억 년을 누빈 진화의 산증인』, 『런던 자연사 박물관』 등이 있다. 2002년에 브리스톨 대학교 고등과학연구소의 과학기술 대중화 담당 콜리어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3년에는 과학 저술 분야에서 이룬 공로로 루이스 록펠러 대학교가 수여하는 토머스 상을 수상했다.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출판사 Review

리처드 포티는 스피츠베르겐 섬으로 생의 첫 지질탐사를 떠났을 때, 섬에 날아든 보잘것없는 종잇조각이 자신의 인생을 바꾸었듯이 생명의 진화 역시 우연으로 점철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사소한 우연이 그의 인생을 바꾸었듯이 우리의 환경이 조금만 달랐다면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모든 생명들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우연들이 만든 생명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임에 틀림없다. 특히 지질 활동으로 인해서 살아남은 암석들이 전혀 없는 시대를 기술한다는 것은 상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자는 이렇듯 불확실한 시대에서부터 생명이 탄생되고 진화한 역사를 따라 내려오는 방식으로 생명을 이야기한다. 또한 40억 년의 생명의 역사 곳곳에 그와 관련된 일화들을 삽입하여 생동감을 더해준다. 

제1장과 2장은 지구의 탄생에서부터 먼지와 돌로 만들어진 지구가 오랜 시간을 거쳐 원시 수프를 만들고, 그 깔개 속에서 원시적인 조직이 탄생한 이야기를 다룬다. 생명은 성장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에너지를 일으키는 반응을 훔쳐와야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제3장부터는 본격적으로 생명의 진화 이야기가 시작된다. 원시적인 세포가 분화하여 점차 복잡한 구조를 띠며, 몸을 만들었다. 생명의 초기 역사는 모두 바다에서 일어났으며, 바다는 유례없는 풍요를 누렸다. 생명의 폭발적인 증가의 바탕이 된 바다에 위기가 닥치고, 그 위기는 생명에게 전화위복의 기회를 제공한다. 
제6장부터는 생명의 육지 정복과 대량 절멸의 역사를 다룬다. 지구가 푸르게 변한 것보다 더 중요한 사건은 없을 것이다. 구조상의 난점을 극복하고 육지를 정복한 식물을 따라 동물들이 뭍으로 올라왔고, 지구는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육지 정복은 생명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었다. 생명이 육지를 정복한 후부터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했던 수많은 생명들이 탄생과 멸종을 이어갔다. 그중에서도 공룡의 탄생과 멸종만큼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이야기는 없을 것이다. 거대 파충류의 멸종 원인을 두고,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으며, 그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제11장은 공룡이 사라진 세계를 지배한 포유류의 탄생과 번성을 다룬다. 제12장은 의식을 가진 존재인 인류의 이야기이다. 인류는 의식적으로 생명의 역사에 관여할 수 있는 최초의 생명으로 우리가 변화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다루어진 수많은 사건들과는 다르다. 변화는 계속되며, 인류는 그 변화의 추가적인 원인이 될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 저자는 라스베이거스의 도박판과 생명의 진화를 비교한다. 우연이 지배하는 세계라는 공통점은 여기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리처드 포티는 “살아 있는 삼엽충이 발견된다면, 나는 전쟁에서 죽었다고 여겼던 소중한 사촌이 살아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만큼이나 기뻐하면서 환영할” 것이라고 밝힐 만큼 고생물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다. 그는 이런 애정을 담아 화석으로밖에는 만나볼 수 없는 수많은 생명들을 생생하게 되살린다. 생명의 역사에는 확실한 것도, 완결판도 결코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생명이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며 앞으로 생명에게 닥칠 고난도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한다. 
저자 리처드 포티(Richard Fortey)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수석 고생물학자이다. 이 책은 론 플랑상 후보에 올랐고, ?삼엽충:진화의 목격자?(2001)는 새뮤얼 존슨상 후보에 올랐으며, ?숨겨진 경관?은 1993년 올해의 자연책으로 선정되었다.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가 있다. 2003년에는 과학 저술 분야에서 이룬 공로로 루이스 토머스 상을 수상했다. 2002년 대중 과학 이해라는 학과의 교수가 되었으며,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발표자 : 문경수

서울산업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 후, 플라스틱소프트웨어에서 SW 모델링 도구 개발에 참여했다. 그 뒤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과학동아 기자를 거쳐 지금은 탐사여행 코디네이터로 활동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76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99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1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398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302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397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396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6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95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6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4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7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393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7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2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7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91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31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390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9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9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105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8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8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387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405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6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385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6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84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37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83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6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382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7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1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23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380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9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379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221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8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5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77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68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76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8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5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74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9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3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7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2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63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1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6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370 103 인문사회 고수기행 file 관리자 2006.09.27 4935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조용헌 2006-10-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9 114 인문사회 얼굴, 한국인의 낯 file 관리자 2007.03.18 5160 조용진 사계절 조용진 2007-03-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8 446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3] 스토리텔링 애니멀 file 조수윤 2022.04.19 324 조너선 갓셜 민음사 책밤지기 : 백정민(방구석 살롱 대표) 2022-04-26 이도저도 오후 7:15
367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8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6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365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8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364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95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63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7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362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92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361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