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796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9
저자 한창훈
출판사 문학동네
발표자 한창훈 소설가
일자 2010-10-12
장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19시

http://www.yes24.com/24/goods/4157546?scode=029&srank=1



책소개


한 생계형 낚시꾼이 몸으로 기록한 바다의 별천지
웃음 양념장에 고추냉이 눈물 버무린 맛깔나는 바다 한 상, 인생 한 자락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거문도에서 태어나 평생 바다를 노래하며 이야기해 온 작가 한창훈. 그가 온몸에 문신처럼 새겨진 바다의 기억과 일곱 살 때부터 시작한 '생계형 낚시' 40년의 노하우를 토대로 새로운 바다이야기를 들려준다. 중앙일보 지면에 2009년 봄부터 2010년 여름까지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라는 제목하에 연재한 원고를 토대로 신문지상에서 못다 한 바닷속 숨은 이야기들과 직접 찍은 시원한 바다 사진들을 함께 담아냈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구수한 바다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만의 자산어보에서는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 들을 뿜어낸다. 육지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해산물 맛있게 즐기는 요령과 섬사람들만의 상차림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기까지 하다. 또한 이 책 속엔 깊은 바닷속에서 숨 참아가며 바다가 허락한 먹을거리 캐올리는 해녀들의 가쁜 숨비소리가 있고, 밤배 타고 나가 어린것들과 아낙을 먹이는 애비라는 이름을 지닌 어부들의 애틋한 사랑이 절절히 녹아 있다.

이 글이 신문에 연재될 당시 한 독자가 작가의 글을 가리켜 '술 맛 땡기는 글'이라고 했단다. 해산물 이야기를 하지만, 정작 그가 들려주는 것은 바다를 껴안고 바다에 기대 살아가는 '인간'의 이야기다. 바다와 섬과 해산물과 사람이 뒤엉켜 눈물과 웃음 범벅으로 한몸에 살아가는 신비한 '인어'와 같은 이야기다. 이는 마치 뼛 속까지 바다인 한 섬사람이 대도시에서 아옹다옹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바다 상차림 선물이라고나 할까.



저자 소개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세상에 나왔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넓고 푸른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했고 아홉 살 때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사십 전에는 기구할 거라는 사주팔자가 대략 들어맞는 삶을 살았다. 음악실 디제이, 트럭운전사, 커피숍 주방장, 이런저런 배의 선원, 건설현장 막노동꾼, 포장마차 사장 따위의 이력을 얻은 다음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 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에도 수시로 거문도를 드나들었다.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하며 근해에서만 머물렀던 답답증을 풀기도 했다. 특히 인도양과 수에즈운하 거쳐 지중해를 통과한 다음 북대서양으로 올라갔던 두번째 항해를 떠올리며 지금도 서쪽으로 눈길을 주곤 한다. 4년 전 고향으로 돌아왔다,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1992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단편 「닻」이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바다를 배경으로 둔 변방의 삶을 소설로 써왔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가던 새 본다』 『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 『청춘가를 불러요』 『나는 여기가 좋다』, 장편소설 『홍합』 『열여섯의 섬』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등을 썼으며, 어린이 책으로 『검은 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은 바 있다.


  • ?
    우성범 2010.09.29 20:37
    표지엔 농어 비늘이네요.
    어릴적 허기질 때 갱본에 가면 농어잡기는 아주 고난이도 작업..
    깔따구 몇마리 천대로 낚기는 쉬웠지만..

    어린시절 허기질 때 바다에서..

    홍합이랑 굴따다 깡통에 넣어 끓여 까먹고,
    미역줄기 따다먹고, 해삼 뻘 훑어내어 베어먹고,
    달밤 붕장어 띠빵에 끼울 찰갈구생이 좀 파다가 지치면
    복쟁이 몇마리 잡아다 해지는줄 모르고 약올리고
    지천에 널린 청각, 파래, 톳 한 망태 따서 집으로 돌아오던 기억이...

    바다는 참 풍요로운 곳이지만,
    生과 死가 만나는 곳이라는 느낌도...
    늘 죽음과 맞닿아있었고
    살풀이가 끊이지 않았다.

    기대되는 내용입니다.
    옆집 아저씨 만나는 기분이겠습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9.29 20:37
    http://www.100books.kr/?no=14642 강연장 오시는 길
    http://www.100books.kr/?no=15079 뒷풀이 오시는 길
  • ?
    김기우 2010.09.29 20:37
    인터넷으로 오래 전 가입만 하고 이번에 처음으로 나가보았는데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근데 정말 한작가님 말씀대로 느낌을 말하려니 말투가 바뀌네요. ㅋㅋㅋ
    정말 재미있었어요. 질문하고 싶은 게 있었는데 강연 도중에 대답을 해주셔서 질문 안했습니다. 완벽한 강연에 질문이 있을 리 없다는 이야기 맞네요. ^^ 마지막으로 해녀 옷갈아입는 이야기 듣고 싶었는데...안타깝지만 다음 기회에...ㅜ.ㅠ
    일찍 잠드는 어린이-_-; 라서 뒤풀이는 참가 못했지만 감사 인사 남깁니다.
  • ?
    오화정 2010.09.29 20:37
    소설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의 작가 한창훈 선생 초청 강연 - 안 갔다라면 좋은 말씀들을 놓칠 뻔했어요. 수염만 붙이면 어네스트 헤밍웨이를 닮은 용모에 소탈한 말투- 재미 있으면서 독특하고 배울점이 많은 글쓰기 강의였어요. 더하여 바다와 파도에 대하여 새로운 걸 배웠습니다. 누가 섭외 하셨는지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61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1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0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20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9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6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58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57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9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3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155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3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4 307 인문사회 모델링 file 강신철 2015.05.04 1243 강신철 글누리 강신철 2015-05-12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3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5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2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1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50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150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9 306 문학예술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file 이정원 2015.04.20 1117 허나영 미진사 저자 허나영 2015-04-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8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2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47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2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46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145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80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4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733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43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8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142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7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1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20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40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9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2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8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64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37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59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36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5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35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5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4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38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3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494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2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6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1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81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130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8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9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75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28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70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27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8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126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6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5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64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24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23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3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2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7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