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7963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9
저자 한창훈
출판사 문학동네
발표자 한창훈 소설가
일자 2010-10-12
장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19시

http://www.yes24.com/24/goods/4157546?scode=029&srank=1



책소개


한 생계형 낚시꾼이 몸으로 기록한 바다의 별천지
웃음 양념장에 고추냉이 눈물 버무린 맛깔나는 바다 한 상, 인생 한 자락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거문도에서 태어나 평생 바다를 노래하며 이야기해 온 작가 한창훈. 그가 온몸에 문신처럼 새겨진 바다의 기억과 일곱 살 때부터 시작한 '생계형 낚시' 40년의 노하우를 토대로 새로운 바다이야기를 들려준다. 중앙일보 지면에 2009년 봄부터 2010년 여름까지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라는 제목하에 연재한 원고를 토대로 신문지상에서 못다 한 바닷속 숨은 이야기들과 직접 찍은 시원한 바다 사진들을 함께 담아냈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구수한 바다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만의 자산어보에서는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 들을 뿜어낸다. 육지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해산물 맛있게 즐기는 요령과 섬사람들만의 상차림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기까지 하다. 또한 이 책 속엔 깊은 바닷속에서 숨 참아가며 바다가 허락한 먹을거리 캐올리는 해녀들의 가쁜 숨비소리가 있고, 밤배 타고 나가 어린것들과 아낙을 먹이는 애비라는 이름을 지닌 어부들의 애틋한 사랑이 절절히 녹아 있다.

이 글이 신문에 연재될 당시 한 독자가 작가의 글을 가리켜 '술 맛 땡기는 글'이라고 했단다. 해산물 이야기를 하지만, 정작 그가 들려주는 것은 바다를 껴안고 바다에 기대 살아가는 '인간'의 이야기다. 바다와 섬과 해산물과 사람이 뒤엉켜 눈물과 웃음 범벅으로 한몸에 살아가는 신비한 '인어'와 같은 이야기다. 이는 마치 뼛 속까지 바다인 한 섬사람이 대도시에서 아옹다옹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바다 상차림 선물이라고나 할까.



저자 소개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세상에 나왔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넓고 푸른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했고 아홉 살 때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사십 전에는 기구할 거라는 사주팔자가 대략 들어맞는 삶을 살았다. 음악실 디제이, 트럭운전사, 커피숍 주방장, 이런저런 배의 선원, 건설현장 막노동꾼, 포장마차 사장 따위의 이력을 얻은 다음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 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에도 수시로 거문도를 드나들었다.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하며 근해에서만 머물렀던 답답증을 풀기도 했다. 특히 인도양과 수에즈운하 거쳐 지중해를 통과한 다음 북대서양으로 올라갔던 두번째 항해를 떠올리며 지금도 서쪽으로 눈길을 주곤 한다. 4년 전 고향으로 돌아왔다,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1992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단편 「닻」이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바다를 배경으로 둔 변방의 삶을 소설로 써왔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가던 새 본다』 『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 『청춘가를 불러요』 『나는 여기가 좋다』, 장편소설 『홍합』 『열여섯의 섬』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등을 썼으며, 어린이 책으로 『검은 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은 바 있다.


  • ?
    우성범 2010.09.29 20:37
    표지엔 농어 비늘이네요.
    어릴적 허기질 때 갱본에 가면 농어잡기는 아주 고난이도 작업..
    깔따구 몇마리 천대로 낚기는 쉬웠지만..

    어린시절 허기질 때 바다에서..

    홍합이랑 굴따다 깡통에 넣어 끓여 까먹고,
    미역줄기 따다먹고, 해삼 뻘 훑어내어 베어먹고,
    달밤 붕장어 띠빵에 끼울 찰갈구생이 좀 파다가 지치면
    복쟁이 몇마리 잡아다 해지는줄 모르고 약올리고
    지천에 널린 청각, 파래, 톳 한 망태 따서 집으로 돌아오던 기억이...

    바다는 참 풍요로운 곳이지만,
    生과 死가 만나는 곳이라는 느낌도...
    늘 죽음과 맞닿아있었고
    살풀이가 끊이지 않았다.

    기대되는 내용입니다.
    옆집 아저씨 만나는 기분이겠습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9.29 20:37
    http://www.100books.kr/?no=14642 강연장 오시는 길
    http://www.100books.kr/?no=15079 뒷풀이 오시는 길
  • ?
    김기우 2010.09.29 20:37
    인터넷으로 오래 전 가입만 하고 이번에 처음으로 나가보았는데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근데 정말 한작가님 말씀대로 느낌을 말하려니 말투가 바뀌네요. ㅋㅋㅋ
    정말 재미있었어요. 질문하고 싶은 게 있었는데 강연 도중에 대답을 해주셔서 질문 안했습니다. 완벽한 강연에 질문이 있을 리 없다는 이야기 맞네요. ^^ 마지막으로 해녀 옷갈아입는 이야기 듣고 싶었는데...안타깝지만 다음 기회에...ㅜ.ㅠ
    일찍 잠드는 어린이-_-; 라서 뒤풀이는 참가 못했지만 감사 인사 남깁니다.
  • ?
    오화정 2010.09.29 20:37
    소설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의 작가 한창훈 선생 초청 강연 - 안 갔다라면 좋은 말씀들을 놓칠 뻔했어요. 수염만 붙이면 어네스트 헤밍웨이를 닮은 용모에 소탈한 말투- 재미 있으면서 독특하고 배울점이 많은 글쓰기 강의였어요. 더하여 바다와 파도에 대하여 새로운 걸 배웠습니다. 누가 섭외 하셨는지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60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90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158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2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7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6 263 문학예술 카메라로 명상하기 1 file 유화현 2013.06.15 4802 임민수 작가님 비움과소통 임민수 작가님 2013-06-25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5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154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3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152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33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51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6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50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49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148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147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146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501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145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5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44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43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2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142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1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0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9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8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8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7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1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6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80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35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4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49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33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2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5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1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130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29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1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8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6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27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126 120 인문사회 총, 균, 쇠 file 박문호 2007.06.13 5251 제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정영옥 2007-06-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124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7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23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12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21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4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