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835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5
저자 김운회
출판사 동아일보사
발표자 김운회 교수
일자 2010-08-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19:00

http://www.yes24.com/24/Goods/3968014

책소개


'한인동족론'으로 한일고대사를 재해석하다

전통사회에서 근대로 넘어가며 발생한 독도 문제가 한일 양국의 쟁점이지만 양국 고대사 서술도 두 나라간 날을 세우는 논쟁거리다. 주지하다시피 일본은 제국주의 시절, 일선동조론을 내세우며 일본이 본가이고 조선은 분가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형, 조선은 동생이라는 식으로 일본우위론을 말했다.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일선동조론이 허구라고 말하며 대안으로 '한인동족론'을 들고 나왔다. 저자에 따르면, 일선동조론은 정치적 냄새가 짙게 베인 선전일 뿐, 한인동족론이야말로 과학적인 설명이다.

한일동족론은 한반도에서 이주한 일단의 무리가 일본을 구성했다고 말한다. 즉, 일선동조론에서 이야기하는 형·동생의 관계가 바뀐 것이다. 한국이 형이고 일본이 동생이라는 인식인데, 과연 이러한 인식은 무엇을 의미할까. 저자는 과학적인 고대사 서술으로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 부여 등 잊혀진 한국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



저자 소개


김운회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양대학교 경영관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가 본격적으로 고대사 연구에 나선 것은 2000년대에 들어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이후부터다. ‘역사의 상실은 민족의 소멸’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중, 한·일 간 역사적 논쟁들을 정사(正史)를 중심으로 문헌적으로 고증하고 정면으로 파헤쳐서 사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04년 1월부터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에 ‘삼국지 바로 읽기’를 연재해 10만여 명에 달하는 《삼국지》 마니아들 사이에서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저자는 한국인이 널리 읽는 《삼국지》가 중화주의의 산물임을 밝혀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감춰진 고구려 역사를 찾아냈다.
2006년에는 《대쥬신을 찾아서1,2》를 통해 우리 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문헌적으로 고증하여 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책 역시 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북방 유목민을 중심으로 한 한국사 인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사학계는 북방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고, 동이족 전반의 관계사에 대한 지평이 확
...  



목차


한일 고대사를 다시 쓰며
이 책을 읽기 전에 알아둘 사항들

1장 다시 보는 일선동조론
들어가는 글 불함문화론
01 일선동조론: 일본은 본가, 한국은 분가 | 02 “여기서 한국이 보이니까 좋네”

2장 도래인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연오랑·세오녀
01 열도를 뒤덮은 한국 이름 | 02 한일동족론

3장 태양의 아들, 부여
들어가는 글 프리기아와 부여
01 부여의 새벽: 발, 박, 백에서 부여까지 | 02 부여의 아들, 고구려와 백제

4장 백제는 신화다
들어가는 글 역사가 된 신화
01 백제의 산화 | 02 일본(日本), 왜(倭)를 정벌하다

5장 안개 속의 그 이름, 백제와 구다라
들어가는 글 왕비의 꽃밭
01 고도(Godot)를 기다리며 | 02 위례로 가는 길 | 03 백제의 근거지 요서 지역 | 04 구다라, 곰나루인가 스마트 빌딩인가

6장 끝없는 전쟁의 시작
들어가는 글 닮은 그대, 주몽과 김누루하치
01 쥬신류어와 까오리류어 | 02 쥬신 분열의 시작, 씨앗 싸움 | 03 고구려와 부여, 끝없는 전쟁의 시작 | 04 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7장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들어가는 글 어디로 가는가 구름들이여
01 부여의 세 차례 남하 | 02 험난한 부여의 여정 | 03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8장 근초고왕, 야마토 왕조를 열다
들어가는 글 진구 황후의 두 얼굴 192
01 진구 황후, 고구려와 신라를 정벌하다 | 02 야마토 왕조의 시조, 근초고왕

9장 부여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부여와 곰 고을의 사람들
01 고마와 담로 | 02 부여의 나라, 일본: 범부여 연합국가의 성립

10장 한 줄기, 두 연꽃
들어가는 글 새롭게 열리는 일본의 역사
01 열도로, 열도로 | 02 무령왕과 닌도쿠 천황 | 03 오진 천황은 곤지왕? | 04 다시 안개 속으로

11장 의문의 고리, 곤지왕
들어가는 글 왕의 부인과 결혼한 곤지 왕자
01 곤지와 개로왕의 관계 | 02 열도로 간 곤지

12장 곤지왕이 유라쿠 천황인 까닭
들어가는 글 한눈으로 보는 백제사
01 곤지왕과 왜 5왕 | 02 왜 왕 무=유라쿠 천황=곤지왕

13장 개로왕을 위한 만사(輓詞)
들어가는 글 개로왕을 위하여
01 현 일본 천황가의 개조, 개로왕 | 02 게이타이 천황은 무령왕의 아우 | 03 베일에 싸인 천황가

14장 안동장군 신라제군사 왜국 왕
들어가는 글 대국 왜의 정체
01 안동대장군 왜 국왕/ 02 부여계 내부의 권력투쟁 | 03 부여의 대고구려전 군사전력 | 04 반도에서 열도로, 헤게모니의 이전

15장 우리의 이름, 왜(wa)
들어가는 글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01 왜, 한국인들의 이름 | 02 광개토대왕비의 왜

16장 왜의 뿌리를 찾아서
들어가는 글 한족(漢族)의 나라 일본?
01 왜의 뿌리를 찾아서 | 02 고대 사서에 나타난 왜의 실체 | 03 왜, 쥬신의 또 다른 이름

17장 야마토 다마시
들어가는 글 한국과 일본, 갈 수 없는 나라
01 기마민족국가와 범부여연합 | 02 일본의 시작, 야마토의 실체 438

18장 백제 성왕이 긴메이 천황
들어가는 글 “사실 우리 조상은 백제인입니다”
01 성왕, 두 얼굴의 대왕/ 02 성왕, 성명왕 긴메이 천황

19장 성왕과 가야(임나) 삼총사
들어가는 글 미소라 히바리의 꿈
01 임나 삼총사: 성왕, 소가씨, 긴메이 천황 | 02 모쿠마치의 후예, 천황 위에 군림하다

20장 천황가의 조상신, 성왕 이마키오오가미
들어가는 글 비다쓰 천황의 비밀
01 백제 성왕, 천황가의 조상신 | 02 부여계의 성지 히라노 신사 | 03 성명왕의 후예들

21장 미녀와 영웅
들어가는 글 아지매, 오세요
01 아스카 문화의 스이코 천황에서 사이메이 천황까지 | 02 백제 구원의 여신, 사이메이 천황|03 영웅의 등장, 덴지 천황

22장 덴지 천황과 덴무 천황
들어가는 글 진신의 쿠데타
01 백강 전투를 위해 태어난 덴지 천황 | 02 덴지와 난무, 난형난제 | 03 덴무 천황의 비밀

23장 덴무, 세상을 속이다
들어가는 글 “폐하, 논어(論語)라도”
01 천황의 탄생 | 02 우지노카미와 무쿤다 | 03 《일본서기》의 역사적 의미

글을 마치며


  • ?
    강신철 2010.07.28 08:04
    2007년11월 동해안에서 이병록 제독님의 초청으로 이루어진 제4회 독서여행 가셨던 분들 기억하십니까? 해군회관에서 열린 강연에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아 한국 고대사를 새로 쓰신 김운회 교수님의 열강을. "대쥬신을 찾아서 1,2권" 그날의 감동을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3년이 지난 지금 김운회 교수님을 다시 모시고 명강을 들고자 합니다. 그 분의 새로운 저서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아직도 일제의 식민지 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역사학계에 일침을 가하는 명저입니다.

    "삼국지 바로 읽기"도 한 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김운회 교수님의 책은 마치 무협지를 읽듯 술술 익히고 문장 하나하나가 통쾌합니다.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말고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주욱 읽어야 제 맛이 나는 책들입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7.28 08:04
    <2007년 11월, 제4회 독서여행>

    군함 타고 '쥬신'을 논하다…독서클럽의 '乘船'
    [현장취재]'대쥬신을 찾아서' 저자 김운회 교수 강연
    '해군 제1함대' 방문… 충주·진주·부산함 등 함상체험

    전승민입니다- 4번째 독서여행 후기 및 사진 2007-11-26 11:12
    전승민 ( enhanced ) | 조회: 1,256 댓글: 10 http://www.100books.kr/?no=6481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첫째날) 2007-11-26 12:04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281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2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둘째날) 2007-11-26 13:07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319 댓글: 6 http://www.100books.kr/?no=6483

    생애 최고의 여행!! 2007-11-26 14:44
    김홍섭 ( hero8403 ) | 조회: 1,359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6
  • ?
    이병록 2010.07.28 08:04
    어제 밤에 독파했습니다.
    대쥬신을 찾아서의 기초상식이 있으니 이해가 더욱 잘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중국역사에 대해서는 그럭저럭 접할 기회가 많이 있었으나
    이제는 일본역사에도 관심을 많이 가져야 하겠습니다.
  • ?
    강신철 2010.07.28 08:04
    김운회 교수님의 연구자료 및 방송프로그램 등은 http://www.ebiz114.net 에서 무료로 볼 수있습니다.
  • ?
    김정수 2010.07.28 08:04
    뿌리를 찾아서~^~
    먼저 긋은 날씨에도 먼길와 주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
    김수아 2010.07.28 08:04
    예전에 미야자끼 난고촌에 다녀온 적이 있었어요. 한글 간판, 사물놀이하는 일본 사람들,백제왕을 모시고 있는 신사, 백제관련 자료들이 전시된 박물관(한복 옷고름이 잘못 됐길래 몰래 바로 매어 놓고 왔죠.ㅋ).. 그때 보았던 모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아직 못읽은 뒷부분 얼른 다 읽어야겠어요~^^;; 비때문에 먼길오시기 힘드셨을텐데...저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0 446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3] 스토리텔링 애니멀 file 조수윤 2022.04.19 312 조너선 갓셜 민음사 책밤지기 : 백정민(방구석 살롱 대표) 2022-04-26 이도저도 오후 7:15
59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58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290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57 44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6] 우아한 우주 file 조수윤 2022.05.30 315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프시케의숲 책밤지기 : 궤도(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2022-06-14 이도저도 오후 7:15
56 45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8]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file 조수윤 2022.06.30 261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사상사 책밤지기 : 곽한영 교수(부산대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2022-07-12 이도저도 오후 7:15
55 45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9]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file 조수윤 2022.07.16 246 마쓰이에 마사시 비채 책밤지기 : 도헌정(폴인 에디터) 2022-07-26 이도저도 오후 7:15
54 45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0] 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file 조수윤 2022.08.03 223 김정후 21세기북스 책밤지기 : 유정미(대전대 교수 및 이유출판 대표) 2022-08-09 이도저도 오후 7:15
53 45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1] 욕망의 모호한 대상 file 조수윤 2022.08.11 268 피에르 루이스 불란서책방 책밤지기 : 조진주 바이올리니스트 2022-08-23 이도저도 오후 7:15
52 45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2] 모던 팝 스토리 file 조수윤 2022.08.30 209 밥 스탠리 북라이프 책밤지기 : 정일서 PD 2022-09-13 이도저도 오후 7:15
51 45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3] 페퍼민트 file 조수윤 2022.09.14 293 백온유 작가 창비 책밤지기 : 오세란 작가 2022-09-27 이도저도 오후 7:15
50 45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file 조수윤 2022.09.29 253 이언 매큐언 한겨레출판 책밤지기 : 정여울 작가 2022-10-11 이도저도 오후 7:15
49 45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file 조수윤 2022.10.12 233 클라우디아 골딘 생각의힘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2022-10-25 이도저도 오후 7:15
48 45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6] 해부학자 file 조수윤 2022.10.26 249 빌 헤이스 알마 책밤지기 : 이지유 작가 2022-11-08 이도저도 오후 7:15
47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5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46 461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8] 소년이 온다 file 조수윤 2022.11.24 273 한강 창비 책밤지기 : 편성준 작가 2022-12-13 이도저도 오후 7:15
45 46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9] 생명이란 무엇인가 file 조수윤 2022.12.16 280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리수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2022-12-27 이도저도 오후 7:15
44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43 46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1] 빼앗긴 자들 file 조수윤 2023.01.30 231 어슐러 K. 르 귄 황금가지 책밤지기 : 복도훈 문학평론가 2023-02-14 이도저도 오후 7:15
42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65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41 41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1 file 조수윤 2020.12.23 278 로빈 월 키머러 에이도스 책밤지기 :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2021-01-12 이도저도 오후 7:15
40 42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file 조수윤 2021.02.10 304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책밤지기 : 김겨울 2021-02-23 이도저도 오후 7:15
39 423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0] 지구인의 우주공부 file 조수윤 2021.03.24 309 이명현 박사 바다출판사 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2021-04-13 이도저도 오후 7:15
38 42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3] 이제 당신의 손을 보여줘요 file 조수윤 2021.05.17 250 알렉상드르 타로 풍월당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5-25 이도저도 오후 7:15
37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480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36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35 44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file 조수윤 2022.02.08 216 데이비드 콰먼 꿈꿀자유 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2022-02-08 이도저도 오후 7:15
34 443 경영경제 [백북스시즌2 책밤3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실리콘 밸리 file 조수윤 2022.03.07 244 애덤 피셔 워터베어프레스 책밤지기 : 윤수영 트레바리 대표 2022-03-08 이도저도 오후 7:15
33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0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32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1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30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4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9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8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2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7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19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6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75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5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4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3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5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22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21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