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835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5
저자 김운회
출판사 동아일보사
발표자 김운회 교수
일자 2010-08-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19:00

http://www.yes24.com/24/Goods/3968014

책소개


'한인동족론'으로 한일고대사를 재해석하다

전통사회에서 근대로 넘어가며 발생한 독도 문제가 한일 양국의 쟁점이지만 양국 고대사 서술도 두 나라간 날을 세우는 논쟁거리다. 주지하다시피 일본은 제국주의 시절, 일선동조론을 내세우며 일본이 본가이고 조선은 분가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형, 조선은 동생이라는 식으로 일본우위론을 말했다.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일선동조론이 허구라고 말하며 대안으로 '한인동족론'을 들고 나왔다. 저자에 따르면, 일선동조론은 정치적 냄새가 짙게 베인 선전일 뿐, 한인동족론이야말로 과학적인 설명이다.

한일동족론은 한반도에서 이주한 일단의 무리가 일본을 구성했다고 말한다. 즉, 일선동조론에서 이야기하는 형·동생의 관계가 바뀐 것이다. 한국이 형이고 일본이 동생이라는 인식인데, 과연 이러한 인식은 무엇을 의미할까. 저자는 과학적인 고대사 서술으로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 부여 등 잊혀진 한국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



저자 소개


김운회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양대학교 경영관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가 본격적으로 고대사 연구에 나선 것은 2000년대에 들어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이후부터다. ‘역사의 상실은 민족의 소멸’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중, 한·일 간 역사적 논쟁들을 정사(正史)를 중심으로 문헌적으로 고증하고 정면으로 파헤쳐서 사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04년 1월부터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에 ‘삼국지 바로 읽기’를 연재해 10만여 명에 달하는 《삼국지》 마니아들 사이에서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저자는 한국인이 널리 읽는 《삼국지》가 중화주의의 산물임을 밝혀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감춰진 고구려 역사를 찾아냈다.
2006년에는 《대쥬신을 찾아서1,2》를 통해 우리 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문헌적으로 고증하여 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책 역시 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북방 유목민을 중심으로 한 한국사 인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사학계는 북방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고, 동이족 전반의 관계사에 대한 지평이 확
...  



목차


한일 고대사를 다시 쓰며
이 책을 읽기 전에 알아둘 사항들

1장 다시 보는 일선동조론
들어가는 글 불함문화론
01 일선동조론: 일본은 본가, 한국은 분가 | 02 “여기서 한국이 보이니까 좋네”

2장 도래인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연오랑·세오녀
01 열도를 뒤덮은 한국 이름 | 02 한일동족론

3장 태양의 아들, 부여
들어가는 글 프리기아와 부여
01 부여의 새벽: 발, 박, 백에서 부여까지 | 02 부여의 아들, 고구려와 백제

4장 백제는 신화다
들어가는 글 역사가 된 신화
01 백제의 산화 | 02 일본(日本), 왜(倭)를 정벌하다

5장 안개 속의 그 이름, 백제와 구다라
들어가는 글 왕비의 꽃밭
01 고도(Godot)를 기다리며 | 02 위례로 가는 길 | 03 백제의 근거지 요서 지역 | 04 구다라, 곰나루인가 스마트 빌딩인가

6장 끝없는 전쟁의 시작
들어가는 글 닮은 그대, 주몽과 김누루하치
01 쥬신류어와 까오리류어 | 02 쥬신 분열의 시작, 씨앗 싸움 | 03 고구려와 부여, 끝없는 전쟁의 시작 | 04 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7장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들어가는 글 어디로 가는가 구름들이여
01 부여의 세 차례 남하 | 02 험난한 부여의 여정 | 03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8장 근초고왕, 야마토 왕조를 열다
들어가는 글 진구 황후의 두 얼굴 192
01 진구 황후, 고구려와 신라를 정벌하다 | 02 야마토 왕조의 시조, 근초고왕

9장 부여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부여와 곰 고을의 사람들
01 고마와 담로 | 02 부여의 나라, 일본: 범부여 연합국가의 성립

10장 한 줄기, 두 연꽃
들어가는 글 새롭게 열리는 일본의 역사
01 열도로, 열도로 | 02 무령왕과 닌도쿠 천황 | 03 오진 천황은 곤지왕? | 04 다시 안개 속으로

11장 의문의 고리, 곤지왕
들어가는 글 왕의 부인과 결혼한 곤지 왕자
01 곤지와 개로왕의 관계 | 02 열도로 간 곤지

12장 곤지왕이 유라쿠 천황인 까닭
들어가는 글 한눈으로 보는 백제사
01 곤지왕과 왜 5왕 | 02 왜 왕 무=유라쿠 천황=곤지왕

13장 개로왕을 위한 만사(輓詞)
들어가는 글 개로왕을 위하여
01 현 일본 천황가의 개조, 개로왕 | 02 게이타이 천황은 무령왕의 아우 | 03 베일에 싸인 천황가

14장 안동장군 신라제군사 왜국 왕
들어가는 글 대국 왜의 정체
01 안동대장군 왜 국왕/ 02 부여계 내부의 권력투쟁 | 03 부여의 대고구려전 군사전력 | 04 반도에서 열도로, 헤게모니의 이전

15장 우리의 이름, 왜(wa)
들어가는 글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01 왜, 한국인들의 이름 | 02 광개토대왕비의 왜

16장 왜의 뿌리를 찾아서
들어가는 글 한족(漢族)의 나라 일본?
01 왜의 뿌리를 찾아서 | 02 고대 사서에 나타난 왜의 실체 | 03 왜, 쥬신의 또 다른 이름

17장 야마토 다마시
들어가는 글 한국과 일본, 갈 수 없는 나라
01 기마민족국가와 범부여연합 | 02 일본의 시작, 야마토의 실체 438

18장 백제 성왕이 긴메이 천황
들어가는 글 “사실 우리 조상은 백제인입니다”
01 성왕, 두 얼굴의 대왕/ 02 성왕, 성명왕 긴메이 천황

19장 성왕과 가야(임나) 삼총사
들어가는 글 미소라 히바리의 꿈
01 임나 삼총사: 성왕, 소가씨, 긴메이 천황 | 02 모쿠마치의 후예, 천황 위에 군림하다

20장 천황가의 조상신, 성왕 이마키오오가미
들어가는 글 비다쓰 천황의 비밀
01 백제 성왕, 천황가의 조상신 | 02 부여계의 성지 히라노 신사 | 03 성명왕의 후예들

21장 미녀와 영웅
들어가는 글 아지매, 오세요
01 아스카 문화의 스이코 천황에서 사이메이 천황까지 | 02 백제 구원의 여신, 사이메이 천황|03 영웅의 등장, 덴지 천황

22장 덴지 천황과 덴무 천황
들어가는 글 진신의 쿠데타
01 백강 전투를 위해 태어난 덴지 천황 | 02 덴지와 난무, 난형난제 | 03 덴무 천황의 비밀

23장 덴무, 세상을 속이다
들어가는 글 “폐하, 논어(論語)라도”
01 천황의 탄생 | 02 우지노카미와 무쿤다 | 03 《일본서기》의 역사적 의미

글을 마치며


  • ?
    강신철 2010.07.28 08:04
    2007년11월 동해안에서 이병록 제독님의 초청으로 이루어진 제4회 독서여행 가셨던 분들 기억하십니까? 해군회관에서 열린 강연에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아 한국 고대사를 새로 쓰신 김운회 교수님의 열강을. "대쥬신을 찾아서 1,2권" 그날의 감동을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3년이 지난 지금 김운회 교수님을 다시 모시고 명강을 들고자 합니다. 그 분의 새로운 저서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아직도 일제의 식민지 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역사학계에 일침을 가하는 명저입니다.

    "삼국지 바로 읽기"도 한 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김운회 교수님의 책은 마치 무협지를 읽듯 술술 익히고 문장 하나하나가 통쾌합니다.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말고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주욱 읽어야 제 맛이 나는 책들입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7.28 08:04
    <2007년 11월, 제4회 독서여행>

    군함 타고 '쥬신'을 논하다…독서클럽의 '乘船'
    [현장취재]'대쥬신을 찾아서' 저자 김운회 교수 강연
    '해군 제1함대' 방문… 충주·진주·부산함 등 함상체험

    전승민입니다- 4번째 독서여행 후기 및 사진 2007-11-26 11:12
    전승민 ( enhanced ) | 조회: 1,256 댓글: 10 http://www.100books.kr/?no=6481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첫째날) 2007-11-26 12:04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281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2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둘째날) 2007-11-26 13:07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319 댓글: 6 http://www.100books.kr/?no=6483

    생애 최고의 여행!! 2007-11-26 14:44
    김홍섭 ( hero8403 ) | 조회: 1,359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6
  • ?
    이병록 2010.07.28 08:04
    어제 밤에 독파했습니다.
    대쥬신을 찾아서의 기초상식이 있으니 이해가 더욱 잘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중국역사에 대해서는 그럭저럭 접할 기회가 많이 있었으나
    이제는 일본역사에도 관심을 많이 가져야 하겠습니다.
  • ?
    강신철 2010.07.28 08:04
    김운회 교수님의 연구자료 및 방송프로그램 등은 http://www.ebiz114.net 에서 무료로 볼 수있습니다.
  • ?
    김정수 2010.07.28 08:04
    뿌리를 찾아서~^~
    먼저 긋은 날씨에도 먼길와 주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
    김수아 2010.07.28 08:04
    예전에 미야자끼 난고촌에 다녀온 적이 있었어요. 한글 간판, 사물놀이하는 일본 사람들,백제왕을 모시고 있는 신사, 백제관련 자료들이 전시된 박물관(한복 옷고름이 잘못 됐길래 몰래 바로 매어 놓고 왔죠.ㅋ).. 그때 보았던 모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아직 못읽은 뒷부분 얼른 다 읽어야겠어요~^^;; 비때문에 먼길오시기 힘드셨을텐데...저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0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199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8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6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7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96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5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8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4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1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3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9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91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90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89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188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7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186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5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184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3 271 수학 읽는 CEO file 유화현 2013.10.10 4855 박병하 21세기북스 박병하 박사 2013-10-22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2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1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2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80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0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9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29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178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7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79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6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6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75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1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4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73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172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71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1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70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169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168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7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6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165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87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164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39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163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162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3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1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5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